‘3만원 이상 코스닥 주식이 효자네’ 지난해 수익률 최고

중앙일보

입력

‘싼 게 비지떡이다’. 주식시장에서도 증명이 되는 격언이다. 지난해 주식시장에서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한 주식은 주당 1000원 미만의 동전주였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모두에서 그랬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상승할 때도 동전주의 평균 수익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동전주는 한 주를 동전 몇 개로도 살 수 있는 싼 주식을 말한다.

종목별 가격 구간에 따라 지난해 평균 상승률이 달랐다. [그래픽 연합뉴스]

종목별 가격 구간에 따라 지난해 평균 상승률이 달랐다. [그래픽 연합뉴스]

코스피 시장 내에서 가장 쏠쏠한 이익을 낸 건 주당 1만원 이상 5만원 미만 중간 가격의 주식이다. 코스닥 시장에선 주당 3만원 이상 가는 비싼 종목의 주가 상승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코스피 종목 가장 많이 몰려있는 가격대는 1만~5만원 #코스닥은 5000원 이상 1만원 미만에 쏠림 #가격대별 수익률 최상위 ‘3만원 이상 코스닥 주식’ #지수 상승 맞춰 상위 가격 종목 증가

한국거래소는 이 같은 내용의 ‘시장별 상장 종목 가격대 분포’ 집계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가장 많은 종목이 몰려있는 가격대는 1만원 이상 5만원 미만이다. 한 주당 값이 이 구간에 해당하는 종목은 지난 24일 기준 295개로 전체 코스피 시장에서 34.1%를 차지했다. 다음은 1000원 이상 5000원 미만(23.7%), 5000원 이상 1만원 미만(16.4%), 10만원 이상(11.8%), 5만원 이상 10만원 미만(10.8%) 등 순이다. 2016년 말과 견줘 상위 가격 종목의 수가 많이 늘었다.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종목 가격 구간별 종목 비중과 등락률 비교. [자료 한국거래소]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종목 가격 구간별 종목 비중과 등락률 비교. [자료 한국거래소]

코스피 종목을 가격대별로 나눈 다음 최근 1년간(2016년 12월 말부터 지난 24일까지)의 평균 수익률을 비교했더니 주당 1만원 이상 5만원 미만인 중간 가격대 주식이 26.91%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10만원 이상(23.89%), 5만원 이상 10만원 미만(22.09%)이 수익률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5000원 이상 1만원 미만 주식의 수익률은 6.58%에 그쳤다. 액면가(5000원)에 못 미치는 저가 종목의 평균 주가는 지난해 오히려 하락했다. 주당 가격이 쌀수록 수익률이 낮았다. 1000원 이상 5000원 미만은 3.82%, 1000원 미만은 25.75% 손실이 났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동전주의 배신’이 두드러졌다. 1000원 미만 종목의 1년 수익률은 -33.47%로 가장 낮았다. 한 해 사이 3분의 1토막이 났다. 1000원 이상 3000원 미만 주식도 13.56%, 3000원 이상 5000원 미만 주식도 3.43% 손실이 났다.

코스닥 종목 가격 구간별 종목 비중과 등락률 비교. [자료 한국거래소]

코스닥 종목 가격 구간별 종목 비중과 등락률 비교. [자료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에서 ‘빈익빈 부익부’는 뚜렷했다. 비싼 주식일수록 수익률은 높았다. 3만원 이상 종목의 1년 평균 수익률은 75.09%에 달했다.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등 코스닥 고가 종목의 지난해 상승률이 두드려졌던 게 평균 수익률을 높여놨다. 1만원 이상 3만원 미만(34.45%), 5000원 이상 1만원 미만(16.85%) 코스닥 종목의 수익도 나은 편이었다.

한편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은 종목이 몰려있는 가격대는 5000원 이상 1만원 미만(비중 23.9%)이다. 다음은 1000원 이상 3000원 미만(22.0%), 1만원 이상 3만원 미만(21.7%), 3000원 이상 5000원 미만(18.9%) 순서다. 3만원 이상 종목은 전체의 8.8%에 불과했다.

한국거래소 측은 “(지난 1년간) 상위 가격대 종목의 주가 상승이 두드러졌고 하위 가격대 종목의 주가 하락이 크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