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시기싸고 맞서|민정 2월, 야선 4월주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3대 국회의원총선거 실시시기를 놓고 여야가 현격한 이견을 보이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민정당은 국회의원선거법에 있어서는 야당의 소선거구제 주장까지 신축성있게 검토할수 있으나 총선시기만은 2월을 양보할수 없다는 입장인데 비해 민주·평민당은 4월총선을 목표로 여당의 2월총선 계획을 극력 저지한다는 방침이다.
또 민정당은 1월11일께1주간의 회기로 무조건 국회부터 열어 국회의원선거법·지자제관계법등을 심의하면서 정치협상을 병행하자는 입장인데 비해 민주·평민당은 구체적인 선거법안을 제시하지 않은채 4월총선을 위해 정치일정의 지연전술을 쓰고 있어 총선시기에 대한 전망을 어렵게 하고있다.
민정당은 30일 중앙집행위원회·국회의원 선거법소위·지구당 위원장회의등을 잇달아 열어 내년 2월총선실시를 당론으로 거듭 확인하고 총선체제의 가동에 들어갔다.
노태우총재는 지구당위원장회의에서 『총선시기는 국회의원선거법개정등 여야협상문제가 남아있지만 내년 2월중에 실시해 새로운 정부출범과 함께 국회도 새로 출발하는 것이 순리』라고 강조했다.
정석모사무총장은 중집위에서 대통령선거결과 분석을 토대로한 취약지구에 대한 특별대책을 시달하고 13대총선에 대비, 당내종합기획단을 설치하고 1월중순께 조기공천을 완료해 지구당개편대회를 갖겠다고 밝혔다.
민정당은▲2월총선이 개헌협상때 여야간의 양해사항이며▲내년5월의 지자제실시가 국민과의 약속이고▲국민경제와 올림픽준비등을 고려해야하므로 2월총선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반해 민주·평민 양당은 여당이 2월총선을 강행할 경우 당력을 총동원, 이를 저지한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고 있다. 야당측은 현재의 야권상황으로는 2월 조기총선이 불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민주당의 김영삼총재는 30일 총선은 철저한 소선거구제로 4월에 치러져야 한다고 말하고 만약 정부·여당이 2월총선을 서둘러 강행할 경우 중대한 사태가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총재는 대통령선거에서 광범하기 부정을 저지른 상황이 규명되지 않고 총선을 치를 경우 다시 엄청난 자금살포·관권동원등 부정이 재연, 타락불법선거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국회의원 선거법협상에 앞서 부정선거조사를 주장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김현규총무는 『지금과 같은 분위기에서는 선거법협상얘기를 꺼낼수 없다』고 주장, 여당측의 1월초 선거법협상에 응하기 어려움을 밝히고 『대통령선거부정조사를 협상의 선행조건으로 삼을지 여부는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평민당도 선대통령선거부정조사-후선거법협상 방침이다.
평민당은 민주인사의 사면·복권이 선행된후 총선을 실시해야하며 1, 2월 2개월동안은 원내에서 부정선거조사투쟁을 전개할작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