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년간 파견…" '논공행상' 논란된 민주당 문자 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더불어민주당이 6월 26일 당직자들에게 발송한 문자메시지. 박성훈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월 26일 당직자들에게 발송한 문자메시지. 박성훈 기자.

[단독] ‘논공행상’ 논란된 문자메시지 들여다보니... 

 ‘논공행상용 낙하산 인사’냐 아니면 ‘당정간 인사교류’냐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6월 당직자들에게 정부기관 근무 희망자를 모집한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낸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문화일보는 25일 ‘민주당이 부국장급 이상 사무처 당직자 등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공공기관이나 정부 산하기관으로 옮길 의향이 있는지 물어본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이는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에 대해 청산해야 할 잘못된 관행이라고 비판했던 과거 민주당의 행보와 배치되며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 기조와도 상충된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3일 “전체 공공기관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서라도 채용 비리를 철저하게 규명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당의 공공기관 희망자 접수는 특혜 논란으로 곧바로 이어졌다.

중앙일보는 논란이 된 민주당의 6월26일자 문자메시지를 단독 입수했다. 민주당 총무조정국이 발신한 문자메시지 내용에 따르면 민주당은 “당에서는 파견근무 시행을 위해 희망 당직자의 수요를 파악하고자 한다”며 “파견근무를 희망하시는 당직자께서는 지원 신청을 해주기 바란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파견근무지는 정부기관’, ‘파견근무 기간은 1년’, ‘순환보직 운영’이라고 명시했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1년이면 돌아오는 순환 파견 보직을 놓고 ‘기관장 인사’나 ‘낙하산 인사’라는 주장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김현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5월에 청와대 파견 희망자와 6월말 경에 정부 부처 파견 희망자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사실관계를 파악한 적은 있다”면서도 “이는 정부 부처와 인사 교류 차원이며 정부부처 공무원은 (당) 수석전문위원으로 오도록 돼 있고 당에서는 관련 담당자가 (부처에) 파견을 가는 형식”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당직자가 공기업이나 산하기관에 파견근무로 간 사례는 없다”며 “공기업 인사는 문재인 정부가 전문성을 고려해 결정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당규 파견근무 조항(12조)에 ‘사무직 당직자의 전문성 강화 및 업무교류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정부기관 등에 파견할 수 있다’고 돼 있다.

반면 야권에선 민주당의 ‘인사 문자’를 두고 맹공을 퍼부었다. 김정재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집권여당의 막무가내 논공행상이 도를 넘어섰다”며 “밖으로는 적폐청산, 비리척결을 외치면서 안으로는 전리품 나눠먹기에 혈안이 되어있다”고 비판했다. 김철근 국민의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의 공공기관 취업 관련 비리 엄벌 지시가 민주당에도 적용되나”며 “민주당 당직자들만 치외법권 구역인가”라고 지적했다.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은 “참으로 충격이다. 추미애 대표는 직접 해명하고 사과하라”고 논평했다.

박성훈 기자 park.seongh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