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일본 기업의 해외 M&A 왜?

중앙일보

입력

마이너스 금리와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일본 기업의 해외 기업 인수·합병(M&A)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일본의 M&A 조사업체 리코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기업의 해외 M&A 규모는 총 10조9127억엔(약 109조원)으로 전년 대비 3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역대 최대 규모다. 건수도 6% 늘어난 627건을 기록해 가장 많았다.

일본 기업의 M&A 금액이 대폭 늘어난 것은 마이너스 금리 영향으로 자금 조달 부담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 일본은행(BOJ)은 지난해 1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0.1%로 내렸다. 이에 따라 채권금리가 크게 떨어졌다. 지난해 영국의 반도체 설계회사 ARM을 인수한 소프트뱅크도 인수가 3조3000억엔 가운데 20%가량을 회사채 발행으로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령화 등으로 일본의 내수시장이 날로 쪼그라들고 있는 점도 일본 기업의 해외 기업 M&A를 부추겼다. 일본의 전체 현금 99조엔 중 절반 가까이가 가계의 '장롱 예금'으로 잠들어 있는 등 내수 부진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아사히그룹 홀딩스는 글로벌 브랜드로 이미지를 높이고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 동유럽 지역 맥주 기업을 8800억엔에 인수하는 등 해외 시장 비중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일본 건설기계 브랜드인 코마츠도 실적 악화를 만회하기 위해 미국의 초대형 광산기계 생산업체인 조이글로벌을 3000억엔에 사들였다. 제약업체인 니치이코도 미국 제약사 SGNT를 750억엔에 인수해 글로벌 10위권을 노리고 있다.  

미쓰비시 UFJ 모건스탠리 증권의 벳쇼 켄사쿠 애널리스트는 “저금리와 인구 감소 등 환경 변화에 직면한 기업들이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 판로를 보유한 미국·유럽 지역 기업에 대한 M&A를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움직임은 저금리와 내수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아시아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기업의 M&A 건수는 전년 대비 7% 증가한 1만2001건에 달했다. 금액으로는 1조23억 달러. 글로벌 M&A 총액의 27% 수준이다.

다만 사업성을 제대로 따지지 않고 M&A 나섰다가 되레 경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도시바가 웨스팅하우스에서 큰 손실을 입었듯, 해외 M&A의 성공룔은 20% 정도에 불과하다”며 “인수 금액에 상응하는 성과를 올리지 못하면 고스란히 손실로 돌아온다. 인수한 기업의 인사와 경영관리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유경 기자 neo3@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