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고려 없는 과감한 결정이 핵심”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24호 22면

미국 정부는 어떻게 GM을 살렸나

구조조정은 속전속결, 신속한 민영화가 원칙이다. 2009년 6월 파산 신청을 한 뒤 2년 만에 회생절차를 완료한 미국 자동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가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 구제금융으로 연명해 한때 ‘거번먼트 모터스(Government Motors)’라는 비아냥까지 받았던 GM은 5년 만에 다시 완전 민영화됐다. 지난해에는 세계 1위 폴크스바겐(1031만대)에 불과 47만 대 뒤진 연간 984만 대를 판매하며 글로벌 1위 메이커 자리 탈환을 노리고 있다.

공적자금 투입해 부실 청산하고 #우량 자산은 뉴GM으로 새 출발 #美 정부, 흑자 내자 바로 ‘엑시트’

일단 미국 정부는 대규모 실업 사태를 막기 위해 빠르게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파산보호신청 당시 GM은 보유 부채만 1730억 달러(약 194조원)로 자산 규모(823억 달러, 약 92조원)의 두 배를 넘었기 때문이다. 이때 들어간 공적자금은 총 495억 달러(약 55조원). 구제금융의 대가로 미 재무부는 GM 지분 60.8%를 보유한 최대주주가 됐다. 산업은행 같은 정책금융기관이 없기 때문에 GM을 아예 국영화시킨 것이다.

비록 국영 기업이 됐지만 GM의 구조조정은 정치적 고려 없이 과감하게 추진됐다. 팀 가이트너 당시 재무장관이 월가 출신 재무 전문가 스티븐 래트너를 중심으로 구성된 민간 구조조정 태스크포스(TF)팀에 전권을 맡겼기 때문이다. 미 정부는 TF팀에 면책특권도 부여했다. 조속하게 구조조정을 마쳐 회사를 정상화하기 위한 목적에서였다.

구조조정은 ‘뉴GM’과 ‘올드GM’, 회사를 두 개로 쪼개는 일에서부터 시작됐다. 새턴·폰티악·허머·사브 등 실적이 나쁜 브랜드 4개는 올드GM에 포함시켜 폐쇄하거나 매각했다. 미국 내 공장 수를 47개에서 30개로 통폐합하는 일도 부실 자산 처분을 맡은 올드 GM의 몫이었다. 뉴GM은 부채 규모를 170억 달러까지 줄이며 클린 컴퍼니로 새출발했다. 산하 브랜드도 뷰익·캐딜락·GMC·쉐보레 등 4개로 간소화했다. 덕분에 GM은 2009년 235억 달러 적자에서 2010년 47억 달러 흑자로 1년 만에 실적이 급반등했다.

GM이 흑자를 내기 시작하자 미 정부는 5%씩 지분을 내다팔았다. 2013년 12월 미 재무부는 보유 중인 마지막 지분 3110만 주(2.2%)를 처분하며 GM을 완전 민영화시켰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식을 더 보유했다면 공적자금을 더 많이 회수할 수도 있었지만, 미 정부는 GM을 계속 국영기업으로 둔다면 다시 비효율이 쌓일 것으로 판단했다”며 “2000년 공적자금을 투입한 이후 17년 넘게 대우조선을 매각도 못하며 자회사로 두고 있는 산업은행과는 정반대 행보”라고 지적했다.

김영민 기자



관련기사
순손실만 3조, 다시 불거진 산은 무용론 “이럴 거면 민영화 해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