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청소 NGO 나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인터넷 공간에서 활동하는 비정부기구(NGO)들이 '쓰레기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짜증날 정도로 쏟아지는 쓰레기(스팸)메일과 음란사이트.해킹.불법복제물 퇴치에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

한국사이버감시단(www.wwwcap.or.kr)은 최근 인터넷 모니터활동을 강화했다.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사이버범죄 종합신고센터에 "게임 아이템을 사려고 40만원을 부쳤는데, 돈만 받고 도망쳤다" "불법 매춘이 판치는 채팅방이 난무한다" 등의 신고가 하루 2백~3백건씩 쏟아지면서부터다. 3천여 회원들은 분야별로 신고 내용을 조사해 사법기관에 적극 고발할 방침이다.

공병철(孔炳喆.33)단장은 "인터넷은 산업이 아니라 문화 영역에서 접근해야 하는데, 정부가 정보기술(IT)산업 부양에 신경쓰다 보니 인터넷의 불법.탈법규제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다"고 비판했다.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거래 시장의 경우 엄연히 불법인데도 당국이 손을 놓고 있어 청소년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부모정보감시단(www.cyberparents.or.kr)의 당면 과제는 유해 정보로부터의 자녀 보호. 2천여명의 회원은 모두가 학부모다. 강연을 통해 일반 학부모들에게 각종 쓰레기성 음란.엽기사이트 실태를 소개하며 연대 감시활동을 꾀하고 있다. 유현숙(柳賢淑.26)간사는 "인터넷에 잘못 노출되거나 중독된 자녀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길은 꾸준한 대화를 통한 신뢰쌓기뿐"이라고 말했다.

재단법인 클린인터넷 국민운동본부(www.cleaninternet.org)는 각종 세미나와 캠페인을 통해 건강한 인터넷을 추구하고 있다. 김현식 사무총장은 "청소년 네 명 중 한 명꼴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의 사이버 중독자"라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전한 온라인을 위한 민간네트워크(www.safeonline.or.kr)와 미디어 세상 열린 사람들(www.mediayolsa.or.kr)도 이 같은 클린인터넷 운동의 한 축이다.

이들 단체의 공통적인 고민은 열악한 재정. 이들은 "인터넷 환경을 정화하는 것이 인터넷 산업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