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회에서 퇴출된 영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영국이 유럽연합(EU)을 떠나면 영어도 공식 언어의 지위를 잃을 것이라고 EU가 경고했다.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다누타 휴브너 유럽의회 헌법위원회 의장은 27일 “EU에 영국이 없으면 영어도 없다”고 말했다.

집행위원장, 독어·프랑스 연설만
EU측 “공식언어 지위 잃을 것” 경고
영어 소통해온 북·동유럽국들 우려

EU 회원국들은 자국의 공용어 하나를 EU 공식 언어로 지명할 권리를 갖는다. 그 결과 24개 언어가 공식 언어로 지정됐고, EU의 각종 문서와 법률자료가 24개 언어로 번역되고 있다.

영어를 지명한 나라는 영국이 유일하다. 아일랜드와 몰타도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지만 뒤늦게 EU에 가입한 이들은 이미 공식 언어가 된 영어 대신 게일어와 몰타어를 각각 지명했다. 휴브너 의장은 “영어가 공식 언어로 남으려면 나머지 회원국 전체의 동의를 얻어 규정을 변경해야 한다”고 밝혔다.

EU 안에선 이미 영어를 배제하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 EU 집행위원회가 영국 국민투표 이후 프랑스·독일어를 대외 홍보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프랑스어와 독일어를 더 많이 쓰게 될 것”이라는 EU 관계자의 말도 전했다.

실제 28일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브뤼셀 유럽의회에서 프랑스어와 독어로만 발언했다. 평소 그는 영어·프랑스어·독어 3개 국어로 연설했다. 27일 집행위 일일브리핑에서도 마르가리티스 쉬나스 대변인이 프랑스어로만 인사말을 했다. 그 역시 영어를 프랑스어와 함께 사용해 왔다.

WSJ는 이 같은 움직임이 영국의 결정에 항의를 표하는 EU의 상징적 처사지만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전했다. “프랑스와 독일어 사용이 많아지면 EU의 독일·프랑스 집중 경향이 더 강해져 남·북·동유럽 국가는 소외된다”는 것이다.


▶ 관련기사
① 융커, 탈퇴파 영국 대표 보자 "여기서 박수치는 건 마지막"
② 늑대에 포위된 파운드화···S&P "준비통화 지위 잃을 수도"
③ "나이 든 노인 보면 화 난다" 세대 갈등 불붙는 영국



1990년대까지 EU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 건 프랑스어였다. 그러나 스웨덴·핀란드, 동유럽 국가가 가입하면서 영어가 EU 직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가 됐다. 변호사·로비스트·기자 등 전 세계에서 모인 외국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도 영어다.

EU와 스웨덴 출신의 유럽의회 의원인 세실리아 위크스트롬도 “EU에서 실질적으로 소통 가능하게 만드는 건 영어”라고 말했다. 영어 배제가 역효과를 불러올 것이란 주장도 있다. 루마니아 출신인 소린 모이사 의원은 “영국의 탈퇴파만큼이나 자극적인 선동이다. 이럴 때일수록 관용을 보여 줘야 한다”고 말했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