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본 정재계가 위안부 문제 타결을 환영하는 까닭

중앙일보

입력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 문제 타결에 대해 일본 정치권은 대체로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일본 경제계도 외교적 안정을 토대로 양국 경제 교류가 한층 활성화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집권 자민당의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정조회장은 29일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소녀상의 철거를 포함해 신속하고 진지한 대응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나가시마 아키히사(長島昭久) '차기 내각(쉐도우 캐비넷·야당이 정권 획득에 대비해 미리 준비해 둔 내각)' 외상은 "얼어붙은 한·일 관계를 극복하고 합의에 도달한 것은 매우 의미가 깊다”며 환영의 뜻을 담은 담화를 발표했다. 유신당의 이마이 마사토(今井雅人) 간사장도 “한국 정부로부터 문제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언질을 얻은 것은 솔직히 평가하고 싶다”고 말했다. 일본 공산당의 시이 가즈오(志位和夫) 위원장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전진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제의 전면적인 해결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산당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일본 경제계는 환영 일색이다. 경영자 단체인 게이단렌(經團連)의 한 관계자는 “경제 교류는 양국 간의 외교적 안정이 대전제”라며 “위안부 합의는 긍정적인 결과”라고 반겼다. 사카키바라 사다유키(?原定征) 게이단렌 회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한·일 경제교류 활성화에 강한 의욕을 보여왔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5월 두 차례에 걸쳐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경제 교류의 안정을 위해서는 외교의 안정이 대전제”라며 양국 관계 개선을 요청했다.

마이니치신문은 “한·일 양국 정부 내에서 2013년부터 교섭 중인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등 통상교섭의 진전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위안부 합의가 일제 강점기 징용 피해자들의 개별 소송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일본 경제계는 주시하고 있다. 강제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은 미쓰비시 중공업과 신일본제철 등을 상대로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 일본 기업은 “전시 배상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해결됐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쿄=이정헌 특파원 jhleeh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