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장소로 확대된 환자들 동선 … “손만 잘 씻어도 공동체 혼란 줄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메르스 확진환자의 동선이 지하철 등 공공장소로 확대되면서 직간접 접촉자 수를 가늠할 수 없게 됐다. 지금까진 ‘특정 병원과 장소에 환자와 함께 머문 사람’이 자가격리 대상자였다면 앞으론 격리 대상 자체가 모호해질 수밖에 없다. 정부의 세밀한 관리 시스템과 더불어 타인을 배려하는 시민의식이 요구되고 있다.

 서울시는 137번 환자(삼성서울병원 응급이송 요원)가 발열 이후 7일간 이용한 2·3호선 지하철에 대한 소독 작업을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김창보 보건기획관은 브리핑에서 “(중앙일보) 보도가 나와 시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모든 동선과 시간대를 공개한다”며 “CCTV를 분석하고 있지만 불특정 다수가 혼잡시간대에 지하철을 이용해 접촉 여부를 파악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시는 이날 추가로 환자 가족의 대형마트·미용실 경유 동선도 공개했다. <본지 6월 16일자 3면>

 서울시가 환자의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 교통카드(T-머니) 내역과 휴대전화 위치까지 활용하면서 특정 공간을 통제하던 기존의 격리 방식은 무의미해졌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통제할 수 없는 공간을 메울 수 있는 건 시민의식이라고 입을 모은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즉각대응팀 엄중식(강동성심병원) 교수는 “방역의 첫 번째 단계는 보건당국의 초기 접촉자 선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선별된 접촉자 관리,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는 관리받는 시민의 성실함”이라며 “우리는 세 번째 단계, 즉 시민의 자질을 요구하는 단계까지 와 있다”고 했다. 이어 “개인 위생 관리 같은 작은 실천도 공동체에 이익이 된다”며 “손을 씻고 얼굴을 만지지 않는 행위는 열과 기침을 동반하는 바이러스 질환을 줄여줌으로써 보건 인력 손실을 막고 공동체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강인식·김나한 기자 kangi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