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핀 해킹 후 탈퇴 줄이어… 아이핀 엑소더스 이후 대책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아이핀 해킹 75만건, 탈퇴 급증

아이핀 해킹…무려 75만개 해킹에 탈퇴 급증 "내 아이핀은 괜찮나?"

초유의 아이핀 시스템 해킹 사건이 알려진 직후 공공아이핀 탈퇴가 급증했다.

8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공공아이핀 시스템 공격 사실이 공개된 지난 5일과 6일 오후 6시까지 탈퇴자는 1천8명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5일 행정자치부는 지난달 28일부터 2일 오전까지 공공아이핀 시스템이 해킹 공격을 받아 75만 건이 부정 발급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단기간에 아이핀 발급량이 급격히 증가하자 경위를 조사한 결과 해킹과 부정 발급 사실을 확인했다. 무려 75만개의 가짜 아이핀이 발급됐다.

이때문에 아이핀 탈퇴자가 급증했다.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 공공아이핀에 가입하고 다시 공공아이핀센터(www.g-pin.go.kr)에 접속하는 불편을 감수하고 탈퇴한 이용자가 늘어난 이유는 시스템 해킹 후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가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5일과 6일 오후 6시까지 발급 인원은 1만6천936명으로 평소 하루 발급자(7천명 선)에 견줘 소폭 증가했다.

행자부는 아이킹 해킹 발표 후 프로그램을 수정해 해킹 공격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또 경찰청에 수사를 요청했다.

이번 아이핀 해킹 사건은 주민번호를 도용해 아이핀을 발급받은 것이 아니라 해커가 시스템에 침범해 공공아이핀을 대량 발급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해킹 공격에는 2천여 개 국내 아이피(IP)가 동원됐고, 중국어 버전 소프트웨어가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부정 발급된 공공아이핀 75만 건 중 12만 건이 유명 게임사이트 3곳에서 신규회원가입이나 이용자 계정 수정·변경 시도(8천건)에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행자부는 부정 발급된 공공아이핀을 전부 삭제조치하고 게임사이트 운영업체에 통보해 신규회원은 강제탈퇴, 이용자 계정을 수정한 회원 아이디는 사용을 잠정 중지시켰다.

한편 행자부는 아이핀 발급·인증체계의 보안취약점 점검에 나섰으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통해 아이핀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온라인 중앙일보
‘아이핀 해킹 75만건’ [사진 공공아이핀센터 화면 캡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