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늘어…원인은 아스피린·소염제 '헉'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포함하는 ‘소화성궤양(K25∼K27)’의 진료인원이 2009년 251만 2000명에서 2013년 206만 8000명으로 17.8% 감소(연평균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 연령층의 진료인원은 감소한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진료인원이 연평균 2.5%씩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에는 70대 이상 진료인원이 인구 10만 명당 1만1893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9458명), 80대(8331명)가 뒤를 이었다.

성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남성이 3914명, 여성이 4598명으로 여성이 1.2배 많았다. 전체 진료인원 중에서는 남성이 95만 9283명, 여성이 110만 8378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이와 관련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소화성 궤양의 대표적 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률이 감소하면서 궤양 발생은 줄고 있지만 노인층의 경우 심혈관 질환이나 관절염 등의 치료를 위해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복용을 많이 해 소화성 궤양 발생도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노령 소화성궤양 환자 증가’ [사진 KBS 방송 캡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