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성 우울증이란 "가을철 식욕과 잠이 늘었다면 혹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계절성 우울증이란 철이 바뀔 때 나타나는 특수한 형태의 우울증이다. 영어로는 ‘SAD(Seasonal Affective Disorder)'라고 한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일조량이 감소하면 우울해지고, 광선 치료를 하면 호전되는 형태다.
햇볕을 적게 받고, 기온이 떨어지면 멜라토닌 분비에도 변화가 생긴다. 뇌에서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 멜라토닌은 몸의 수면주기 조절과 생체리듬을 조절한다. 균형이 깨지면 수면이나 진정 작용에 이상을 일으키고 기분도 울적해진다.

계절적으로는 가을이 깊어질 때, 겨울이 시작될 때,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갈 때 많이 나타난다. 늦은 봄과 여름에는 반대로 우울증이 감소한다. 보통 100명 중 15명 정도는 가을이나 겨울에 기분이 우울해지는 경험을 한다.
그 중 2~3명은 계절성 우울증으로 분류된다. 계절성 우울증 환자는 대체로 외부 변화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뇌의 시상하부 능력이 저하된 경우가 많다. 이럴 땐 계절 변화를 예민하게 느낀다.

우울한 기분이 2주 이상 지속하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만성피로, 집중력 저하, 긴장, 초조감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또 식욕이 증가하고 과다 수면이 나타나서 많이 먹고 많이 자는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식욕 감퇴, 불면을 동반하는 일반적인 우울증과 차이점이다. 무력해진다는 건 비슷하다.

계절성 우울증을 이겨내려면 야외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게 좋다. 햇볕을 쬐는 게 치료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일조량이 줄어드는 가을이나 겨울에는 산책이나 자전거 타기, 조깅 등으로 햇볕을 쬐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실내에서도 조도를 높이고, 낮에 커튼을 치지 않고, 창문 가까운 곳에 앉는 게 좋다. 폭식을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땐 전문가와 상담하는 게 좋다.

온라인 중앙일보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