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당당한 정책대결을"|11대 선량들의 「정치관」본지설문 조사(4)-상호 기대와 자당 평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의원들이 상대방에 바라는 것은 무엇이며 자기 당에 기대하는 것은 무엇일까.
「바람직한 집권다수당태도」「바람직한 소수당의 태도」를 마음대로 3가지씩 적으라는 설문의 응답을 보면 엉뚱한 내용이 더러 있었지만 공통점도 많았다.
정당별로 응답한 수를 보면 민정당 의원이 1백90, 민한이 80, 국민당이 38건.
이를 유형별로 간추려 빈도를 분석한 결과 민정의원의 바라는 「소수당 태도」로는 「다수결정에 승복하는 미덕」이 21·l%로 수위. 「반대를 위한 반대지양」또는 「대안 있는 반대」에 대한 요망도 많아 14·2%를 차지했고 「선동정치를 말라」든가 「인기위주로 발언하지 말라」는 주문과 「대화와 타협」을 권장한 것이 각11·6%였다.
이밖에 「극한대립과 흑백논리를 배제하라」는 충고가 8·9%, 「당보다 국가이익 우선」이란 주문이 6·3%, 「정책개발에 힘쓰라」는게 5·8%등으로 나타났다.
드문드문 흥미있는 의견도 있었는데 예컨대 「정치는 국회 안에서 하라」…(3·7%)「단상점거 말라」「퇴장전술보다는 인내 있는 설득을 하라」는 점잖은 충고가 있었는가 하면「궁색한 태도를 버리라」「이권개입 하지 말라」「양성을 자제하라」는 등의 가시 돋친 비판도 없지 않았다.
이에 비해 민한당의원들이 「바람직한 다수당태도」로 꼽은 것은 「소수의 의견존중과 대화정치」(31·6%)가 으뜸. 「다수당의 횡포와 독주가 없어야 한다」는 의견(18·4%)도 결국은 같은 것이라고 볼 때 「소수존중」한마디로 집약되는 의견이 50%선.
그러나 「정부의 시녀적 자세 탈피와 국회의 존엄성회복」을 충고한 의견도 31·6%에 이르고 있으며 「평화적 정권교체를 위한 역사의식을 가지라」는 주문도 10·5%로 나타났다. 그밖에 「특권의식을 버리라」「머슴의 자세를 가지라」「공약을 이행하라」는 충고도 있고 「공명선거자세확립」「상임위원장 독점 말라」는 외침도 있다.
국민당의원도 「소수의견존중, 독선태도지양」(34·3%)「행정부에 맹종 말라」(10·5%)는 등 민한당과 비슷한 견해를 밝혔는데 「집권당 공천이면 된다는 풍토개선」「자기만 깨끗한 것처럼 연극 말라」는 요구도 있다.
민정의원들이 스스로 말한 「바람직한 집권당자세」는 놀랍게도 민한·국민당 의원들의 집권당에 대한 주문과 매우 근접한다.
자기 당이 지녀야 할 태도에 관해 민정의원들이 가장 많이 지적한 것은 「독주지양·소수의견존중」으로 33·7%를 차지했고 비슷한 의견으로 「충분한 대화와 여유있는 협상자세」에 대한 희망도 30%에 이르렀다.
다음으로 「정직·성실·공명정대」(10·5%)「민의수렴·국민위한 정치」(9·5%)「정책 개발」(7·4%)등 다소 원칙적인 요청도 적지 않았고 「행정부의 독주견제와 시녀화 방지」(5·8%)라는 의욕적인(?)기대도 있었다. 이밖에 「여야관념 불시」「개혁의지전파」등 집권당의 기수로서의 충직성을 보인 의견도 있는가하면 「다수당이 반칙을 하지 말고 모범을 보여야한다」는 자제론과 「소수당에 끌려 다니지 말 것」을 주장한 강경론도 있었다.
자기당의 자세에 관해 민한당의원들은 「비판·정책정당의 자세확립」(29·6%)「반대를 위한 반대의 지양」(23·5%)을 다짐하는 등 비교적 건실한 자세를 지니고 있다.
또 「파벌 없는 민주정당」(13·6%) 「선명 야당」(11·1%)을 비롯해 「사꾸라 논쟁을 포함한 극한대결탈피」(8·6%)등 구 폐습에 대한 자가비관의 소리도 높은 편.
국민당의원들의 자가요망도 「대안 있는 반대」(18·9%) 「대화」「극한투쟁 지양」「정책대결」(이상10·5%)등으로 민한당의원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다수당 독주 막는 방안 제시」「선명 야당」대망론 등도 없지 않았고 「필요이상 위축 말자」는 등 격려조 희망도 나와 이채.
이상에서 보듯 대부분 의원들이 자당이든 타당이든 「극한」「독주」는 없어야 하며 「대화」와 「정책대결」로 정치가 전개돼야 한다는데 공통된 의견이다. 또 「새 정치」「새 국회」가 고창되는 시대분위기에 의원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응답에서 역연히 드러나고 있다.
자기 소속정당의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민주적」(33%)「그런대로 민주적」(32·4%)이라는 등 응답자의 3분의2가 공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정당별로 보면 민정의 35·3%(42명)·민한의 29·2%(14명)·국민의 33·3%(5명)가 소속정당을 민주적이라고 했고, 민정의 31·9%(38명)·민한의 33·3%(16명)·국민의 33·3%(5명)가 「그런대로 민주적」이라고 응답해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반면 「좀더 민주적일 필요」가 있다(27·8%)고 답한 의원도 민정25·2%(30명)·민한35·4%(17명)·국민33·3%(5명)로 적지 않고 그 중에서도 야당의원이 자신의 소속정당을 더 부정적으로 보는 것은 특이하다. 그러나 「통제적 경향이 짙다」(5·4%)라고 응답한 10명중 9명이 민정의원들이라는 사실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현일 기자><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