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공업」을 공사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발전설비를 일원화, 대우중공업 주도로 한국중공업을 발족시키려던 계획을 전면 백지화, 정부·한국은행·외환은행을 출자자로 하여 공사화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해설2면에>
서석준 상공부장관은 29일 현대양행을 대우에 흡수 통합하여 발전설비를 일원화하기로 한 지난 8월20일 국보위의 중화학투자조정 계획을 바꾸어 대우의 참여 없이 정부 내지는 공공기관의 3천6백억원 출자만으로 발전설비를 공사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서 장관은 새로 발족될 공사(명칭 추후결정)에 정부재정에서 1천억원, 외환은이 6백50억원 (한국중공업 기출자 50억), 산은이 4백50억원(1백70억원 기출자)을 올해 안에 출자하고 내년 중에 추가로 정부에서 1천억원, 산은이 5백억원을 출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장관은 또 대우 김우중 사장은 자기자본 참여 없이 전문경영인으로 남아 경영책임만 맡게되고「공사」의 정상화롤 위해 올해 중에 현금 차관1천억원, 긴급자금 소요 내자은행지원 5백억원이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서 장관은 대우에서 새한자동차를 현대에 통합시키고도 자본 참여 없이 「공사」의 자본 경영인으로만 남게된데 대해 『공사가 살고 죽는 것은 해외 「세일즈」에 달려있고 국내발주 발전설비를 공사에 전부 일괄 수주시켜도 설비능력을 보면 생산량의 절반을 수출해야 되기 때문에 김우중씨의 「세일즈」능력을 평가하여 사장으로 앉히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 장관은 또 김 사장이 개인의 모든 것을 바쳐 발전 설비를 정상화하겠다고 했으므로 김 사장 자신도 정부의 결정에 따를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부는 발족될 공사는 기술능력·해외「세일즈」·제품성능 보장면에서 해외의 우수한 회사와 합작하는 문제도 검토하기로 했다.
서 장관은 대우측이 발전설비·자동차에서 모두 손을 떼게된 결과를 고려, 대우 측의 처우문제에 관해 『김우중 사장의 양심에 달려있다』고 말하고, 정부는 주주은행·거래은행으로 감리 위원회를 구성. 공사운영을 철저히 감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사가 발족되면 앞으로 국내에서 발주하는 발전 공정를 모두 맡게 될 것으로 보이나 보조기기 등은 한전의 발주방식에 따라 일반업체도 참여가 가능할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