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논문 10편 중 7편, 제자 논문과 제목 일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내 학술지에 제자의 학위논문과 동일한 제목의 논문을 무더기로 발표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 후보자가 제자 논문을 자신과 공동명의로 발표한 경우가 한두 건이 아닌 데다 해당 학술지 논문 게재를 대학 측이 교수 연구실적으로 인정해준 것으로 파악돼 또 다른 논란이 일 전망이다.

 본지가 18일 한국연구재단이 운영하는 대학·기관 연구자 논문실적 제공 시스템인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KRI) 등재 내역을 조사한 결과 김 후보자는 한국교원대 교내 학술지인 ‘교육과학연구’에 2001년 이후 1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 중 7편이 김 후보자가 지도교수를 맡았던 제자들의 논문과 제목이 일치했다. 교육과학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일정한 기준과 심사를 통해 관리하는 ‘등재 학술지’에 속하지 않는다.

 KRI에 따르면 2008년 12월 발행된 교육과학연구 13권에는 ‘부장교사의 역할 수행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논문이 실렸다. 김 후보자와 김모씨가 공동저자로 올라 있다. 김씨는 같은 해 2월 같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을 교원대 대학원에 제출했는데, 김 후보자가 지도교수였다. 2001년 7월호 학술지엔 ‘학교경영 계획의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란 논문이 김 후보자가 공동 제1저자인 것으로 KRI에 등재돼 있는데, 2000년 2월 김 후보자가 지도한 류모씨의 석사학위 논문과 제목이 같다. 김 후보자는 2011년과 2012년에 이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 두 편에 대해 대학에서 편당 500만원씩 연구비를 받았는데, 두 논문도 제자들의 석·박사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교원대 측은 “교육과학연구에 논문을 발표해도 교수의 연구실적으로 인정한다”고 설명했다. 서울 사립대의 한 기획처장은 “교내 학술지는 학과 교수들만으로 구성돼 논문 심사가 허술한 편”이라며 “교내 학술지 게재는 제자에겐 큰 도움이 안 된다. 지도교수의 실적을 올리는 데는 도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전화를 받지 않았고 교육부 측은 “인사청문회에서 입장을 밝힐 예정”이라고 했다.

신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