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외교안보 수장 김관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관진(左), 한민구(右)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 겸임)에 김관진(65·육사 28기) 국방부 장관을 발탁했다. 국방부 장관엔 한민구(63·육사 31기) 전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지명했다. 국가안보실장(장관급)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김 실장은 이날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안보실장·국방부 장관 후보자를 우선 발표한 건 외교안보 분야의 컨트롤타워 공백이 장기화되는 데 따른 안보 공백을 막기 위한 조치다. 최근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데다 납치 일본인 문제 재조사, 대북 제재 해제 움직임 등 북·일 협상이 급물살을 타면서 한반도 주변 정세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외교안보의 사령탑을 비워 둘 수 없다는 절박함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과 위협이 지속되고 국민의 안전과 국가 안보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안보 태세를 확고히 하기 위해 오늘(1일) 새로운 국가안보실장과 국방부 장관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인선을 서두르기 위해 정홍원 총리로부터 한 후보자에 대한 인사 제청을 받았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한 후보자의 인사청문이 끝날 때까지 국방부 장관은 김관진 실장이 겸하게 된다.

 ‘김관진-한민구 카드’는 팀워크와 국민 정서 등을 고려한 다목적 인선이란 얘기가 나온다. 두 사람은 2010년 12월부터 1년 가까이 각각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으로 호흡을 맞춘 인연이 있다. 두 사람 다 이명박 정부 때 발탁됐지만 박근혜 정부의 안보정책에 대한 이해가 깊은 것으로 평가된다. 지역 안배도 고려됐다는 평가다. 정부 고위직의 부산·경남(PK) 인사 독식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호남(김관진)과 충청(한민구) 출신을 기용함으로써 PK 편중인사란 비난을 피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급변하는 세계 정세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한 외교전략을 짜고 외교·통일·안보 분야를 지휘하는 안보실장에 또다시 육사 출신이 기용되면서 군 중시 인사, 돌려막기 인사란 지적도 나왔다. 새정치연합 한정애 대변인은 “한반도 긴장 완화, 남북 화해 협력, 동북아 평화를 모색하는 시각에서 대통령을 보좌해야 하므로 적임자인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