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통 트인 중동 협상|카터, PLO 지위 종전 입장 변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카이로 8일 AFP동양】「카터」 미 대통령이 8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PLO)에 대한 미 정책을 급전환시켜 PLO가 「이스라엘」 생존권을 인정한 「유엔」안보 이사회 결의 안 242호와 338호를 인정할 경우 미국은 PLO의 「제네바」 회담 참석에 동의하고 PLO 헌장 중 반「이스라엘」 규정을 수정하라는 종전의 주장을 철회하겠다고 극적으로 제의한 후 PLO가 242호 승인 용의를 밝힘으로써 중동 협상 교착 상태에 중대한 돌파구가 마련되고 연내 「제네바」 회담 재개 전망이 밝아졌다.
PLO는 「카터」 대통령의 새 제안이 보도된 8일 만약 안보리 결의 242호에 「팔레스타인」의 국가적 권리를 인정하는 조항이 삽입된다면 242호를 인정, 「이스라엘」 국가를 사실상 승인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카이로」의 PLO 소식통들은 242호 결의안은 중동 모든 국가들의 국경선을 인정, 결국 「이스라엘」의 생존권을 승인하고 있기 때문에 PLO가 이 결의안을 인정한다면 이는 곧 사실상의 「이스라엘」 국가 인정이 될 것이라고 전제하고 그러나 먼저 「팔레스타인」의 국가적 권리를 인정하는 조항이 이 결의안에 삽입 되어야하며 이렇게 되면 PLO의 「제네바」 회담 참석은 자동적으로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해설>미의 1차 노력 결실…「이」­「팔레스타인」 상호 인정이 열쇠
미국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에 대한 67년 「유엔」안보리 결의 「2백42호 수락」의 조건부 접촉 제의가 실현된다면 중동 문제 평화 해결을 위한 일차적인 노력은 결실을 보게되는 셈이다. 이는 지금까지 서로 외면해 온 분쟁 당사자인 「이스라엘」과 PLO가 직접 대화할 수 있는 길을 터놓기 때문이다.
2백42호 결의안은 67년 「6일 전쟁」 후 PLO를 제외한 「아랍」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동의를 토대로 분쟁 해결 협상을 위한 몇가지 일반적인 원칙을 설정했다. 「이스라엘」의 생존권 인정, 국경선의 조정 협상, 난민 정착 문제 등이 결의안에 포함됐었다.
그러나 그 어구의 모호성 때문에 해결의 바탕 석상의 문제를 놓고 분쟁거리를 하나 더 붙인 격이 되었다. PLO 측은 이 결의안에 「팔레스타인」 국가라든가 그 난민에 대해 일언 반구의 언급이 없다는 이유로 이 원칙에 따른 협상 참여를 거부했다. 『「아랍」 난민』 이라는 말 대신 다만 난민이라고만 표현, 그 대표권이 명시되지 않은데 대한 불만이었다. 「아랍」측은 난민이라는 것이 「팔레스타인」 난민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확대 해석했으나 「이스라엘」측은 결의안을 구실로 「팔레스타인」의 대표권을 부인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PLO측은 미국의 새 제안에 대해 2백42호 결의안에 「팔레스타인」의 존재를 인정하는 수정안이 첨부되면 응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새 제안이 「팔레스타인」의 존재를 전제로 한 것이고 또 PLO도 「이스라엘」 생존권을 인정하겠다는 의사를 간접적으로 비친 것이므로 「이스라엘」이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평화 협상 재개의 큰장애가 하나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김동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