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새마을」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은 역시 우수한 인력에 있다. 다만 그것을 효율있게 생산적으로 집약하는 일은 기업가의 의욕이나 능력에 속한다.
앞으로의 기업경쟁은 국내나 국외를 막론하고 이런 핵심적인 잠재력을 누가 더 빨리, 더 크게 개발하고 활용하는가에 달려있다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생산성 증대 추세를 동태적으로 보면 물론 그 밖의 더 많은 요인들이 개입되고는 있다. 그러나 그 중심에는 언제나 사람 또는 그와 관련 된 기술·능률의 혁신이 내재되어 있는 법이다.
우리가 그 동안 몇 차례의 경제개발을 겪으면서도 이 점에 대한 인식이 확고하지 않았던 것은 다른 개발전략 요소의 애로가 너무 컸던 탓으로 짐작된다. 4차 계획에 이르러 비로소 인력개발과 능률,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 된 것은 어떤 의미에서든 망연한 귀결이다. 최근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공장 새마을운동도 결국은 인적 능력을 효율있게 개발하고 노사간의 협조를 통해 이를 생산력화하자는 노력일 것이다.
아무리 자본장비가 개선되고 신형기술이 도입된다해도 그것을 소화할 수 있는 기업의 내부 조직이나 경영의 개선 또는 노동의 숙련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그것은 아무 쓸모없는 일이 아니겠는가. 결국 기계나 기술의 효율도 노동의 효율과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공장 새마을운동도 이런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간다면 생산성과 효율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어떤 방향으로 어떤 수단을 통해 인적 능력을 개발하고 그것을 집약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 그것을 단순히 투자·이윤의 관계나 비용·수익의 관점에서만 생각한다면 고작 물자절약의 차원을 넘어서기가 힘들지도 모른다. 물론 자원이나 물자를 아끼는 일이 기업의 중요한 과제임에는 틀림없으나 적극적인 인력의 개발을 위한 유인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 보다는 생산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이 각자의 노력이 정당하게 보상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는 일이 중요하다. 기업가나 정책이 아무리 구성원의 능력개발을 독려하고 지원해도 당사자가 정당한 보상의 기대를 갖지 않으면 생산적으로 활용되지 못 할 것은 뻔한 이치다. 이 경우 물론 기업가도 새로운 투자와 비출에 대한 정당한 보수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근로자들의 그것과는 질적·양적으로 크게 다르다. 근로자들의 근로조건과 환경은 아직 흡족하지 못하다.
때문에 공장 새마을운동은 인적능력의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몇 가지 바탕, 예컨대 저임금의 개선과 작업환경·복지제도의 개선부터 우선 중점적으로 착수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종업원들의 부단한 능력개발과 개인적인 노력이 제값대로 보상받고 나아가서는 앞으로도 더욱 큰 혜택으로 되돌아온다는 신념을 갖도록 만드는 일은 대부분 기업의 책임에 속한다.
능력 껏 처우를 개선하고 사기를 높여주면 작업능력도 올라가고 생산성도 높아져 결국은 공장 전체의 이익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너무도 소박한 인과관계가 아닌가. 그것이 잘 안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업이 생산성의 개념을 너무 단기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원만한 노사관계란 쌍방의 노력이 생산성 향상에 결실될 때에만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 강조할 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