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고의 금속활자본 발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세계의 활자 인쇄본 가운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쇄본인 고려시대의 『청량답순종심요법문』이 24일 고려대에서 공개됐다.
고려대 중앙도서관장 현승종 교수는 이 책이 이미 「파리」에서 발견되어 작년에 공개된 바 있는 『백운화상초녹 불조직지심체요절』(1377년간)보다 79년 가량 앞선 1297∼1298년 사이에 개성에서 간행된 책이라고 밝혔다.
현 교수는 5장을 4분해서 접어 20면으로 만든 이 작은 책자가 ①발의 한 면이 완전히 금속활자로 인쇄됐으며 ②현재 세계에 있는 목활자나 주활자본을 망라해서 가장 오래된 활자본이며 ③목판사이에 목활자를 식자하고 있는 특이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에서 극히 귀중하다고 말했다.
고려대 중앙도서관이 소장한 한적을 재정비하는 가운데 지난 15일 사서 윤병태씨에 의해 발견된 이 책은 그동안 금속활자본의 확인을 위해 손보기 박사(연세대박물관장) 천혜봉 교수(성균관대) 안춘근씨(서지 전문가) 강진철 교수(고려대) 등의 고증을 거쳤다.
책의 크기는 세로 21.3㎝, 가로 13.3㎝, 두께 4㎝의 작은 책으로 원래는 첩본이었으나 현재는 호접장으로 제본돼 있다.
발의 86자를 「필름」에 담아 확대 분석한 바 있는 손보기 박사는 『「고금상정예문」이 1234년에, 「남명천화상송증도가」가 1239년에, 「백운화상초녹직지심체요절」이 1377년에 인쇄된 것으로 봐서 이 책의 발문 한 장이 금속활자로 인쇄될 수 있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고 다졌다.

<책 내용은 유심문답>
이 책의 내용은 당 순종이 유심에 관해 당시의 진국국사인 청량화상 징관에게 물은데 대해 청량이 답한 것을 요약한 것으로, 이를 정혜선사 종밀이 전주하고 다시 지엄이 과판한 것이다. 원본은 원에서 간행했던 것을 우리 나라에서 재간한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