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가입 위해 손잡은 세르비아·코소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발칸의 화약고’ 코소보가 앙숙 세르비아와 코소보 내 세르비아계 지역에 대한 평화적 권력 분점에 잠정 합의했다. 합의안은 코소보 북부 세르비아계 지역에 대한 코소보 중앙정부의 관할권을 인정하는 대신 세르비아계에 경찰권을 부여하는 등 폭넓은 자치권을 인정하고 있다.

 세르비아와 코소보 정부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유럽연합(EU)이 중재한 코소보 권력 분점안에 합의했다. 코소보 의회는 21일 밤 긴급 총회에서 이 안을 89대 5로 지지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세르비아 연립 여당을 이끄는 두 지도자도 이날 합의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적대적이던 두 나라가 합의안에 도달한 데는 EU 가입이라는 목표 때문이다. EU 회원국들은 22일 브뤼셀에서 만나 세르비아의 EU 가입 협상을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코소보도 EU 가입을 원한다. 합의안에 대해 코소보 내 세르비아계는 “반역 행위”라며 반발했다. 코소보의 강경 민족주의자들도 세르비아계 지역이 코소보에서 분리돼 세르비아와 통합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코소보는 알바니아계 수니파 이슬람 신자가 다수이고,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정교(기독교 일파)를 믿는 슬라브족이 주류다. 두 나라는 언어·인종·종교 등이 달라 갈등을 빚어왔다. 1990년대 초 유고연방 해체 과정에서 세르비아계의 인종 청소로 코소보 알바니아계가 10만 명 이상 희생되기도 했다. 코소보 인구(220만 명)의 10%를 차지하는 세르비아계는 코소보 정부를 인정하지 않은 채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주장해 왔다.

정재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