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들 재고 조사|서울시, 쌀값 조절에 강경책|"싸전에 쌀값 붙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쌀값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사태에 대해 24일 상오 서울시는 구청장·동장·상인들과의 연석회의를 열고 구청장과 동장 책임 아래 관내 미곡도매상과 소매상의 재고량과 판매량 그리고 그 날의 판매가격을 조사 보고토록 했다.
또한 서울시는 그 날의 쌀값을 점포에 써 붙이게 하여 만일 이를 어기는 소매상인에 대해서는 구청장과 동장 책임 아래 거래중지토록 엄중히 조사 감독하라고 지시했다.
이 날 연석회의 결과 연달아 오르는 쌀값의 원인은 지난 21일이 일요일이기 때문에 공판장이 하루 쉬었으며 쌀 생산지에서 쌀값이 서울이나 부산보다 오르고 있기 때문에 일부 상인들의 매점매석 행위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되고 있으나 도매 소매상들은 시 당국에 대해 지나치게 당국이 쌀값 조절에 대해 간섭을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역현상이라고 맞섰다.
서울의 쌀 하루 평균 소비량은 1만5천 가마인데 23일의 정부 방출미만도 3만 가마가 팔렸다. 서울시는 농협공판장을 통해 하루 평균 최소 2만 가마를 풀게 할 방침이다.
그런데 24일 상오 서울시내 쌀값은 최고 4천8백 원(햅쌀)이며 정부 방출미는 3천6백 원에 매매되고 있는데 정부 방출미를 파는 경우에는 가마당 보리쌀 3말씩을 끼어 팔고 있다.
신촌·마포·청량리·답십리·수유리 등 변두리는 아직도 쌀값이 4천8백 원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등에서는 4천5백 원에 팔리고 있다.
한편 구청장과 동장이 관내의 쌀 도매·소매상에 대해 재고량과 판매량 그리고 그날의 가격을 조사하는 경우 도매·소매상의 매점매석 행위를 어느 정도 조절하게 되며 만일 그날의 판매가격을 고시않는 경우 관하 구청장과 동장은 과거 상인들이 정부의 쌀값 조절에 협조하겠다고 받아놓았던 서약서를 근거로 공판장을 통한 도매·소매상으로 출하되는 양곡을 중단함으로써 거래중지를 시킬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