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베일벗는 구소「플레세크」로킷기지

    세계의 어떤 목표라도 불과 30분내에 수메가톤의 핵무기공격을 퍼부을수 있으며 25년간무려 1천3백여회나 위성발사실적을 가진 구소련최대의 미사일·우주기지인「플레세크」가 최근 그 베일

    중앙일보

    1992.09.14 00:00

  • 소련은 기술격차가 두렵다|소의 저지 속셈과 그 위력을 알아보면…

    【워싱턴=장두성특파원】미소 정상회담을 파국으로 몬 전략방위계획 (SDI·속칭 별들의 전쟁) 을 지칭할 때 미국 언론들은 흔히 이것을 「레이건의 꿈」이라고 표현한다. 「레이건」미 대

    중앙일보

    1986.10.15 00:00

  • 중공산 ICBM

    중공대륙 신강성에서 남태평양까지 1만km. 서울과 부산 사이를 25번 왕복하는 거리다. 중공은 18일 바로 이 거리를 나(비)는 대륙간 탄도「미사일」을 쏘아올려, 목표지점을 맞추는

    중앙일보

    1980.05.20 00:00

  • 소련패권주의 반대를 힘으로 뒷받침… 제3세계에 충격|세번째 ICBM보유국…실전배치엔 정밀도 등 문제 많아

    중공의 이번ICBM발사 성공은 중공이 세번째 ICBM보유국 그리고 핵 강대국이 되었음을 전 세계에 실증한 것이다. 장정3호로 불리는 CSSX4형의 「미사일」 실험발사 성공으로 중공

    중앙일보

    1980.05.19 00:00

  • 미 10개 주에 lCBM기지

    【워싱턴 27일 AP합동】미국은 날로 정확도를 더해 가는 소련의 미사일 기습공격에 대비, 미국이 새로 개발중인 신형 MX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을 미 전역에 분산, 은닉시킬 수

    중앙일보

    1978.03.28 00:00

  • lCBM 실험 늦춰 중공탄두회수 못해

    【도오꼬27일DPA합동】중공은 당초에는 작년이나 금년에 중공최초의 대륙간탄도탄 (ICBM) 발사실험을 실시할 계획이었으나 발사탄두의 회수작업등 몇가지 기술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이를

    중앙일보

    1970.04.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