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999.04.26] 사상 최악의 'CIH바이러스' 대란

    사고1999.04.261999년 사상 최악의 컴퓨터 바이러스 대란 발생.당시 CIH바이러스는 컴퓨터의 부팅 기능을 아예 망가뜨리거나 하드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를 못쓰게 만들어 국내

    아워히스토리

    2015.09.14 15:17

  • [1991.04.26] 강경대 시위 중 전경에 맞아 사망

    [1991.04.26] 강경대 시위 중 전경에 맞아 사망

    사건1991.04.261991년 대학생이 전경의 집단구타로 사망.명지대 정문 밖 50m쯤 떨어진 곳에서 동료학생 300여 명과 시위를 벌이던 이 학교 강경대 군이 경찰에 붙잡혀 쇠

    아워히스토리

    2015.09.14 15:17

  • [1986.04.26]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 발생

    [1986.04.26] 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 발생

    사고1986.04.261986년 소련 키예프 북동쪽 100km 지점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가동 중인 4기 가운데 제4호기 원자로가 터빈발전기관성 운전시험 중 폭발. 소련 정부가

    아워히스토리

    2015.09.14 15:17

  • 32년 전 15세 소년 장난으로 시작 … 피싱·스미싱·파밍 갈수록 다양해져

    32년 전 15세 소년 장난으로 시작 … 피싱·스미싱·파밍 갈수록 다양해져

    1982년 미국의 15세 소년 리처드 스크렌타가 만든 최초의 바이러스인 ‘엘크 클로너’. 하드디스크가 나오기 전 시절, 플로피 디스크를 통해 뿌려졌다. PC에 해를 끼치지는 않았으

    중앙일보

    2014.07.15 01:28

  • 보안 불감증 빠진 IT 코리아는 ‘해커들의 놀이터’

    보안 불감증 빠진 IT 코리아는 ‘해커들의 놀이터’

    8일(현지시간) 디도스 공격을 당한 미국 뉴욕증권거래소는 한국으로부터의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고 나섰다. 미 백악관· 국방부 등도 이번 공격의 표적이 됐다. [뉴욕 AP=연합뉴스]정

    중앙일보

    2009.07.10 02:49

  • 안철수 "디도스 공격, 자초한 측면 있다"

    안철수 KAIST(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한국과 미국 내 주요 사이트에 대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관련,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9일 안철수

    중앙일보

    2009.07.09 16:58

  • 20년 전 의사 안철수는 바이러스 먹은 컴퓨터 앞에서 날밤을 새웠다

    20년 전 의사 안철수는 바이러스 먹은 컴퓨터 앞에서 날밤을 새웠다

    안철수 의장과 부인 김미경씨. 이들 부부는 최근 나란히 KAIST 석좌교수와 부교수가 돼 화제를 모았다. [중앙포토] 우리나라의 대표적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인 ‘V3’가 탄생 2

    중앙일보

    2008.06.02 00:22

  • "무료 백신 배포하려는 포털 보안 대란 땐 책임질 수 있나"

    "무료 백신 배포하려는 포털 보안 대란 땐 책임질 수 있나"

    미국 유학 중인 ‘벤처 1세대 CEO’ 안철수(사진) 안연구소 이사회 의장이 일시 귀국해 일부 포털의 움직임에 대해 쓴소리를 했다. 국제보안협회(AVAR)가 29일 서울 프라자호텔

    중앙일보

    2007.11.29 19:56

  • [바이러스 비상] 바이러스 누가 만드나

    컴퓨터 파일을 깨뜨리고 인터넷을 마비시키는 바이러스는 도대체 누가 만드는 걸까. 안철수연구소 이희조 박사는 "'컴도사'라는 자부심을 가진 젊은 세대들이 우월감, 또는 '이게 퍼지면

    중앙일보

    2003.01.28 17:35

  • [매달 활동하는 바이러스]

    * Win32/ChiHack.worm.10748:매월 1일 로컬 및 쓰기 가능한 네트워크 드라이브 내의 특정 확장자 파일 파괴 * W97M/Marker.C:매월 1일에 특정 FTP

    중앙일보

    2003.01.28 17:31

  • 코드레드·님다… 바이러스·해킹 피해

    코드레드.님다.CIH.러브레터…. 독립된 컴퓨터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서 각종 바이러스나 해킹으로 인한 접속 중단 사태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급이 급격히 늘어난

    중앙일보

    2003.01.26 18:47

  • 26일 CIH바이러스 주의보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은 오는 26일 CIH바이러스가 활동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각 기관·기업 및 일반 PC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정통부는 22~30일을 CIH

    중앙일보

    2002.04.23 00:00

  • 창과 방패, 최후의 승자는 누구?

    피해 건수 6위(748건)를 기록한 나비다드 바이러스는 나비다드(Navidad.exe)란 첨부 파일을 달고 메일함으로 들어온다. 일단 바이러스에 걸리면 스페인어로 ‘즐거운 성탄’(

    중앙일보

    2001.09.12 11:20

  • 상상을 초월하는 ‘러브레터’ 전파속도

    일단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오류를 나타내는 대화상자가 표시되고 파란 눈 모양의 아이콘이 윈도 아래쪽에 나타난다. 그리고 ‘메리 크리스마스’(Feliz Navidad)라는 제목으로

    중앙일보

    2001.09.12 11:20

  • 암울한 이메일의 미래

    멜리사 바이러스가 미 전역을 강타하자 FBI와 국가기반시설보호센터(NIPC)는 ‘멜리사 바이러스 특별경계령’을 내렸다. 이들은 “멜리사 바이러스가 기업·정부·군정보망에 이미 침투했

    중앙일보

    2001.09.12 11:19

  • 20세기 최악의 바이러스는 CIH

    러브 바이러스 제작자로 알려진 필리핀 대학생 오넬 데 구스만.훗날 영국의 한 컴퓨너회사에 채용됐다. 한편 CIH 바이러스 개발자는 대만의 다퉁공과대학 졸업생인 천잉하오(Chen I

    중앙일보

    2001.09.12 11:16

  • 미래 정보전의 가공할 무기로 등장

    에반은 또 “바이러스 제작은 해커 친구들에게 ‘나는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다. 그런데 너는 못만든다’라고 말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 여기에는 친구들이 자신을 두려워하도록 만드는

    중앙일보

    2001.09.12 11:13

  • 바이러스 제작하는 10대의 조숙한 천재들

    경찰청에 따르면 국내 컴퓨터 바이러스 제작은 지난 1996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 1998년 최전성기를 구가했다. 이들은 1998년 컴퓨터통신의 사설 BBS를 통해 ‘CV

    중앙일보

    2001.09.12 11:13

  • 진화·발전 거듭하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생명력

    그렇다면 미래의 바이러스는 대체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컴퓨터 바이러스는 프로그램의 일종이기 때문에, 제작자의 창의력이 발휘되면 얼마든지 더 악성화될 여지가 있다. 최근 외국에

    중앙일보

    2001.09.12 11:12

  • 세계 최초의 바이러스는?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개념을 받아들여 대량의 컴퓨터 바이러스를 만들기 시작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의 해커들은 브레인 바이러스와 예루살렘 바이러스를 모방한 수많은 컴퓨터 바이러스를

    중앙일보

    2001.09.12 11:09

  • 컴퓨터 바이러스, 과연 그 정체는?

    사실 1980년대말 국내에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했을 때 많은 사람들은 이를 컴퓨터 내부에 살고 있는 미생물로 착각하기도 했다. 실제로 컴퓨터에는 미생물이 살고 있을

    중앙일보

    2001.09.12 11:08

  • 컴퓨터 바이러스의 공포

    21세기 사이버 세상을 살아가는 인류 최대의 적으로 떠오른 컴퓨터 바이러스. 컴퓨터 바이러스는 생물체처럼 자기증식과 복제 능력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진화와 발전을 거듭한다. 이제 컴

    중앙일보

    2001.09.12 11:03

  • 변종 러브레터·하이난다오 바이러스 경계주의보

    정보통신부는 미국과 중국에서 각각 발견된 `변종 러브레터(LoveLetter) 바이러스''와 `하이난다오(Hainandao) 바이러스''가 전자메일을 통해 국내에 급속히 전파될 가

    중앙일보

    2001.06.04 13:31

  • 변종 러브레터·하이난다오 바이러스 경계주의보

    정보통신부는 미국과 중국에서 각각 발견된 `변종 러브레터(LoveLetter) 바이러스'와 `하이난다오(Hainandao) 바이러스'가 전자메일을 통해 국내에 급속히 전파될 가능성

    중앙일보

    2001.06.04 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