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경제센터 홍콩의 기상도

    리콴유(李光耀)싱가포르 전 총리는 홍콩의 장래와 관련,언젠가측근들과 다음과 같은 선(禪)문답을 주고받은 적이 있다. 측근들이 물었다. 『97년 홍콩 반환후 홍콩에 무엇이 닥칠 것인

    중앙일보

    1996.06.28 00:00

  • 중국 반환뒤 첫 행정장관 물망 둥젠화

    97년 홍콩의 중국반환 이후 초대 홍콩특별행정구의 수장(首長)으로 가장 유력시되고 있는 둥젠화(董建華)가 3일 현 총독자문역인 행정위원직을 사퇴했다. 그는 사임이유를 『이해관계의

    중앙일보

    1996.06.05 00:00

  • 홍콩 초대행정장관 중국,올해내 선출예정

    97년 중국 반환 이후의 홍콩특별행정구 초대행정장관과 임시입법회가 올해안으로 탄생한다. 중국국무원부총리겸 홍콩특별행정구 준비위원회 주임인 첸치천(錢其琛)외교부장은 25일 주하이(珠

    중앙일보

    1996.05.27 00:00

  • 홍콩 중국 반환뒤 첫 지도자 재력.여성.젊음 3색전

    지난 1백여년 동안 홍콩을 통치해 온 영국의 총독은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는 97년7월1일부터 홍콩의 새 지도자에게 자리를물려 준다. 반환 이후 홍콩을 이끌어 갈 초대 홍콩 행정국

    중앙일보

    1996.03.04 00:00

  • 중국,홍콩특별행정구 준비委 발족

    97년7월1일 출범하는 중국의 홍콩특별행정구 초대 정부수립을책임질 홍콩특별행정구 준비위원회가 26일 중국 베이징(北京)인민대회당에서 정식 발족된다. 홍콩측 94명,중국측 56명으로

    중앙일보

    1996.01.26 00:00

  • 홍콩 영주권자 지위 中,반환후에도 인정

    [베이징 로이터=본사특약]중국은 홍콩의 영주권자들이 97년 홍콩반환이후에도 현재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영국과 합의했다고 영국의 말콤 리프킨드 외무장관이 9일 밝혔다. 중국과

    중앙일보

    1996.01.10 00:00

  • 중국 준비委 가동 홍콩반환 카운트다운-인수준비委 성격

    중국이 28일 홍콩특별행정구 준비위원회 위원을 발표함으로써 홍콩 인수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97년7월1일 영국에서 중국으로 주권이 이행될 때까지의 예비내각이 사실상 출범하는 것을

    중앙일보

    1995.12.29 00:00

  • 호화판 해외출장 잦아 美에너지장관도 구설수

    정부예산으로 기자 점수를 매겨 구설수에 올랐던 헤이즐 올리어리 미에너지장관이 이번에는 잦은 해외여행에 호화판 행사를 즐겼다는 이유로 백악관으로부터 강한 경고를 받았다. 올리어리장관

    중앙일보

    1995.12.14 00:00

  • 중국,홍콩인수 본격화 내년 예비정부 설치

    중국은 홍콩인수준비작업의 일환으로 96년말께 예비정부에 해당하는 홍콩특별행정구(SAR)임시비서처를 설립한다고 홍콩인수준비기구인 예비위원회(PWC)의 종스웬(鍾士元.78)위원이 21

    중앙일보

    1995.11.23 00:00

  • 中,駐美대사 소환 不辭-美中관계악화

    [워싱턴.홍콩=陳昌昱.劉尙哲특파원]리덩후이(李登輝)대만 총통의 미국방문 허용을 둘러싸고 美-中관계가 급속 냉각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대사소환을 포함한 일련의 단계별 대미

    중앙일보

    1995.05.26 00:00

  • 홍콩재벌 리카싱 홍콩서 떠나는가

    홍콩 최고의 갑부 리카싱(李嘉誠)이 최근 홍콩증시에 상장된 자신의 주식소유권 모두를 해외법인으로 알려진 투자신탁기금으로 이전해 커다란 충격을 안기고 있다. 2년 앞으로 바짝 다가선

    중앙일보

    1995.05.19 00:00

  • 홍콩의 次期리더로 부상 여걸 앤슨 찬

    『만일 중국정부가 홍콩의 장래에 대해 재차 확신을 주고 싶다면 차기 홍콩의 리더로 앤슨 찬을 선택하라.』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紙가 97년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된 뒤에도 현재의 홍콩

    중앙일보

    1995.04.22 00:00

  • 부모생일 孝親휴가 도입-장기근속.우수공무원대상

    공무원이 부모 생일에「효친휴가」를 얻어 쉴 수 있고,장기근속및 우수근속 공무원에겐 민간기업에서처럼 「특별휴가제」가 도입된다. 13일 김영삼(金泳三)대통령에 대한 새해 업무보고에서

    중앙일보

    1995.01.13 00:00

  • 홍콩.싱가포르 급속성장비결은 작은정부

    21세기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가장 역동적인 경제활동을 벌이고 있는 도시를 꼽는다면 아시아의 2개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와 홍콩을 들 수 있다. 싱가포르와 홍콩의 경제발전상은 눈이 부

    중앙일보

    1994.12.29 00:00

  • WTO 내년초 출범-각국 진행상항

    내년초 WTO를 출범시키기 위한 준비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있다.이에따라 GATT의 뒤를 이어 세계무역 질서를 잡아나갈 WTO체제는 이제 더 이상 부정하기 어려운 현실로 다가왔다.

    중앙일보

    1994.11.29 00:00

  • 中.대만 고위회담 합의-8월중 타이베이서 개최키로

    [홍콩=聯合]中國과 臺灣은 지난 49년 분단이후 정부차원의 가장 고위급인 장관급들이 만나는 회담을 8월중 타이베이에서 열기로 합의했다고 홍콩언론들이 보도했다. 半관영단체인 중국의

    중앙일보

    1994.08.01 00:00

  • 이한빈,노정현,최형우,성낙승,이동희,안혜자,강봉균

    ◇李漢彬 자유지성3백인회 공동대표는 31일 오후5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WTO이후의 세계경제전망」을 주제로 자유지성 시국토론회를 갖는다. ◇盧貞鉉 한국행정연구원장은 6월1일 오전10

    중앙일보

    1994.05.30 00:00

  • 25.화남경제권 5.兩岸교류에 低賃 파고들기

    臺灣의 경제에서 中國대륙이 차지하는 몫은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대만경제의 활력이 중국에 본격적으로 접맥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한햇동안 중국-대만간 교역액수는 이미 1백60억달러를

    중앙일보

    1994.04.19 00:00

  • 중국,對美 최혜국전쟁 승기 철회하면 美도 큰손해

    지난달초 워런 크리스토퍼 美국무장관의 中國방문을 전후해 고비를 맞이했던 중국 인권상황을 담보로한 미국의 최혜국대우(MFN)연장문제가 중국의 노련한 외교전술로 戰勢가 중국쪽으로 기울

    중앙일보

    1994.04.04 00:00

  • 한국방문 정부측 실무책임 맡은 鄭泓敎심의관

    『한국 방문의 해는 전통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국제화의 계기를마련하려는 뜻이 숨겨져 있습니다.관광산업을 일으켜 2000년까지 세계 10대 관광국으로 발돋움 하자는 것이죠.일과성 행사

    중앙일보

    1994.03.17 00:00

  • 윤석화,류창종,노경병,김동수

    ◇尹石花(연극배우.38)가 오는5월 美하버드大 출신 경영학박사인 金石基씨(37)와 서울에서 결혼한다. 美國의 경영컨설팅회사인 킴바코社 홍콩지사장인 金씨는 서울대상대를 졸업하고 하버

    중앙일보

    1994.02.28 00:00

  • 대만 쌀시장 개방/한국과 비슷하게/농업장관 밝혀

    【홍콩=연합】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 쑨밍센(손명현) 주임(장관)은 대만이 앞으로 한국방식에 따라 쌀시장을 개방할 것임을 밝혔다고 관영 중앙통신이 22일 보도했다. 손 주임은 중앙

    중앙일보

    1993.12.23 00:00

  • APEC 시애틀 정상회의 계기로 본 현황

    ▲89년1월:보브 호크 濠洲총리,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A PEC)각료회의 제안 ▲7월:ASEAN확대외무장관회의,호크 총리 제안에 찬성 ▲11월:濠洲 캔버라 제1차 각료회의,개방성 확

    중앙일보

    1993.11.16 00:00

  • 권병현 외교정책 기획실장에 듣는 APEC 준비

    ◎“한국 신외교 시험무대”/김 대통령 「21세기 아태비전」 제시/북한 참여 유도,변화·개방 이끌어 냉전종식후 아­태지역의 새로운 정치·경제질서를 모색하기 위해 19,20일 미 시애

    중앙일보

    1993.11.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