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경남은행,서울신탁은행,효성여대,덕성여대,경향신문

    ◇경남은행〈부장〉^융자 宋圭永^영업 李長佶^고객 鄭永峻^관리鄭成國^국제 金 哲〈지점장〉^부산 金正雄^창원 梁榮照^육호광장卞勝己^용호동 韓相德^명곡 金光洙^양덕동 陳求鎬^전하동 柳忠

    중앙일보

    1994.03.01 00:00

  • 도남국문학상 수상결정

    ◇홍재휴교수(효성여대)가 한국고시율격연구로 제8회 도남국문학상 수상자로 결정됐다. 시상식은 14일하오4시 명성예식장(대구시중구동인동)에서 갖는다.

    중앙일보

    1984.04.13 00:00

  • 연행기행문 『북행가』발견

    【대구】이조고종때 문신이던 유인목 (1839∼1900년)이 당시 연행하던 상황을 국문으르 기록해 놓은 장편 가사작품 『배행가』와 서울에서 북경에 이르는 노정을 밝힌 이른바 연행안내

    중앙일보

    1973.05.22 00:00

  • (17)임진록|홍재휴 교수(대구교대) 교주

    삼등 고을(평양 동쪽 강동군)에 가니 원은 평양에 가고 비어 있었다. 하인에게 물으니 아버님이 신장(이여송)과 함께 평양에 계신다 했다. 평양으로 가며 먼저 아버님께 사람을 보내었

    중앙일보

    1973.03.27 00:00

  • 서애 유성룡의 아들 유진의 난중 체험기 임진록(16)|홍재휴 교수(대구교대) 교주

    누님이 버선을 잃을까 자못 걱정하시더니 다시 기워 주고자 하되 무명이 없으므로 누런 석새베(삼승포)로 만들어 주었는데 한발은 누렇고 한발은 희었다. 가평원 최덕순이라 하는 사람이

    중앙일보

    1973.03.23 00:00

  • (15)

    하루는 동트기도 전에 밥을 먹고 산 속에 숨으러 갈 때 마침 나는 밥을 더디 먹었다. 모두 먼저 집을 나서며 뒤따라 오라고 했다. 젖어미(유무)만이 남아서 나와 함께 비탈에 가서

    중앙일보

    1973.03.22 00:00

  • 임진록 서당 유성용의 아들 유진의 유중체취기

    기신댁의 말에 실었던 짐은 다 누님의 값진 비단옷이었다. 그 일부를 맡아 쌀을 장만하였다가 우리들에게 밥을 지어 주었다. 이진사 (매형)가 밥을 재촉하여 먹고 말에 짐을 싣고 기신

    중앙일보

    1973.03.21 00:00

  • (12)

    우리도 달렸지만 얼마 못 가서 더 걸음을 걸을수 없었다. 더구나 능장든 사람이 바싹 쫓아와 어쩌는 수 없이 길가에 비켜서 버렸다. 그들은 우리를 찬찬히 훑어 보고서 아무말 없이 지

    중앙일보

    1973.03.19 00:00

  • (11)

    길에 나가서 예(왜) 기별을 물으니 길가의 사람들이 그 아이를 보자 아는체 했다. 「너는 예에게 잡혀갔던 아이가 아니냐. 어떻게 나왔느냐?』 그 아이는 시치미를 떼고 대답했다.

    중앙일보

    1973.03.17 00:00

  • (9)마을사람 만났더니 도둑놈취급

    그러나 막상 솔잎을 먹자해도 소나무가 없었다. 그 산을 두루 보니 자중 떡깔과 속새와 가시덩굴뿐 솔잎을 얻어볼 도리가 없었다. 날이 어두운 후 동북을 향해갔다. 산 마을이 나직하고

    중앙일보

    1973.03.15 00:00

  • (5)|홍재휴 교수(대구교대) 교주|제자의 뒷배경 글씨는 『임진록』 원본의 일부(7)

    판관실내의 애걸하는 말에 예(왜)도 매우 불쌍하게 여겼던지 오래 서서 지껄이더니 웃으며 흩어져 갔다. 그때 이진사가 손에 들었던 활을 재빨리 놓았기 망정이지 만약 활을 예에게 보이

    중앙일보

    1973.03.13 00:00

  • (6)|홍재휴 교수(대구교대)교주|제자의 뒷 배경 글씨는 임진록 원본의 일부

    길잡이 김권농이 못 가겠다고 하는 이유는 소가 병들었다고 탈잡는 것이었다. 이진사는 한수에게 소리쳤다. 『네가 길을 알리라.』 일행은 한수를 앞세우고 다시 떠났다. 그때는 6월27

    중앙일보

    1973.03.12 00:00

  • (5)|홍재휴 교수(대구교대)교주|(제자의 뒷배경 글씨는 임진록 원본의 일부)

    진양으로 가려 하였지만 막상 그때 장마들어서 회양가는 길에 강물이 넘쳐 배조차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 차제에 예장수(왜장) 가등의 병사가 점점 가까이 다가와 금화에도 더 있을 수

    중앙일보

    1973.03.10 00:00

  • (4)서애 유성용의 아들 유진의 난중 체험기

    이튿날 일행은 영평(경기도 포천군 영중면·동면 일대)으로 갔다. 그때 할머님은 현등사에 평안히 계셨고 조종에 왜가 있다는 말도 뜬 소문이었다. 그것은 가평원이 거짓 공적을 올리려

    중앙일보

    1973.03.08 00:00

  • (3)

    대엿새후였다. 이진사와 함께 집앞 추자나무 밑에 앉아있는데 남쪽 산골짜기로부터 갓도 벗고 신도 벗은 사람이 팔을 걷어붙이고 달려와 그 앞을 지나가는 것이었다. 하도 괴이하여 그를

    중앙일보

    1973.03.07 00:00

  • (2)

    그 이튿날 낮 후에 아주버님(백부)께서 할머님을 모시고 동대문 밖 궁으로 나가셨다. 그 궁은 외조상 광평대군이 계시던 집이라 오촌 족장이 충의를 지키고 계셨다. 새 어머니도 우리

    중앙일보

    1973.03.06 00:00

  • (1)

    임신왜란 당시의 생생한 피난기록인 유진의「임진록」은 상주읍에사는 후손유시완씨가 간수해온 수단본으로, 중앙일보는 지난1월27일 이를 소개한바 있다. 수암 유진은 선조조의 영상 서애

    중앙일보

    1973.03.05 00:00

  • 제주도 해녀와의 사랑을 노래 이조가사『금누사』 발견 문경 민영전씨 집서

    2백년전 이조후기의 선비 취수 민우룡이 제주도 해녀와의 사랑을 노래한 가사작품 『금누사』가 그의 후손인 경북 문경군 가은면 왕릉리 민영용씨(57)에 의해 간수돼 있음이 확인됐다.

    중앙일보

    1973.01.25 00:00

  • 임란 종군가사 발견

    【선산=이용우 기자】이조 선조 때 문신이던 결재 최현이 임진란을 소재로 하여 쓴「용사음」과 「명월금」등 장편의 가사 작품이 경북 선산군 형평면 낙성동 최종씨(67) 집에 간수돼 있

    중앙일보

    1972.1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