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인의 작가전] 알 수도 있는 사람 #9. 음험한 달 (1)

    [7인의 작가전] 알 수도 있는 사람 #9. 음험한 달 (1)

    잠은 달았다. 적막하고 한없이 잔잔한 바다 한가운데 떠있는 배처럼 잠 속엔 부드러운 햇살만 가득했다. 바람도 물결도 꿈도 없었다. 용주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물속에 서서히 가라앉는

    중앙일보

    2016.10.04 00:01

  • [나의 설풍경] 김경미 시인

    미장원을 하던 우리 집의 설날은 거꾸로였다. 새벽까지도 한복을 차려입고 와서는 머리에 산봉우리처럼 높게 '후까시'를 넣어달라는 부인네들로 발디딜 틈이 없던 집은 설날 아침이면 지상

    중앙일보

    2003.01.29 16:18

  • 리빙센스 김용태기자 '옛살림 옛문화 이야기'

    요즘은 자취를 잃어가고 있지만 십수년전만 해도 우리네 여인들은 누구나 보자기를 들고 다녔다.옆집에 떡을 돌릴 때나 선물을 보낼 때,혼인 사주단자를 보낼 때등 보자기는 약방의 감초처

    중앙일보

    1997.02.18 00:00

  • 「통일축구」 취재기자가 본 평양 전종구 특파원

    ◎열린 모습 담힌 마음/두얼굴 북한/민족 의식ㆍ통제체제의 이중성/PK억지ㆍ“북경 2위”… 대결 여전 물꼬는 텄지만 제방둑을 허물기는 아직 이른 감이 든다는 게 평양취재 4박5일이

    중앙일보

    1990.10.15 00:00

  • (3051) 비규격의 떠돌이 인생(제72회)

    L군이 묻는 대로 대충 얘기를 하고 부립병원으로 가던 길이라고 했더니, L군은 다짜고짜 진찰실로 나를 데려가서 제 아버지에게 동경서 신세를 입은 선생님이라면서 내 얘기를 옮겼다.

    중앙일보

    1981.03.03 00:00

  • (제72화) 비규각의 떠돌이-조남선 열차에서(47)

    「왜 자꾸 밀어? 되잖은 게 살만 쪄 가지고….』 밀자고 미는 것이 아니다. 워낙 좁은 자리라 한복 부인이 무의식 중에 몸을 안으로 약간 움직였던 모양이다. 들은 체도 않고 말 없

    중앙일보

    1981.02.28 00:00

  • |제72화 비규격의 떠돌이 인생(46)|영변약산

    「하르빈」서 돌아오는 길에 맹중리에서 기차를 내려 영변항「버스」를 탔다. 그 전년 동경의 어느 친구와 동행해서 영변까지 온 일이 있었고, 그 연분으로 영변정화여고가 청해와서 그 학

    중앙일보

    1981.02.27 00:00

  • (11)혜경궁 홍씨 저 『한중록』|안수길

    이조 21대의 영조가 사랑하는 왕자를 뒤주 속에 넣어 비참하게 죽인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것을 임오화변이라고 한다. 「한중록]은 이 임오화변의 슬픈 희생자요, 뒤주태자로 불

    중앙일보

    1970.10.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