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위원장에 오종식씨

    한국방송윤리위원회는 67년도에 일할 임원을 다음과 같이 선출했다. ▲위원장=오종식(언론계) ▲부위원장=이건호(법조계) ▲위원=오재경(종교계) 여석기(교육계) 김성태(음악) 강신호(

    중앙일보

    1967.01.19 00:00

  • 새해 문화계를 내다본다|「앙케트」

    한국의 문화계는 차차 안정을 찾고 있다. 침체한 안정이 아닌 진지한 반성 속에서의 발전적인 안정이다. 문화인들은 한결같이 새해에 큰 기대를 품는다. 지난해는 그런 소지들이 더러 엿

    중앙일보

    1967.01.01 00:00

  • 병오년에 사라진 별들

    병오년도 이제 고요히 저물어 가고 있다. 다사다난했던 한해-삶이 있는 이상 죽음이 따르게 마련이지만 이 한해도 많은 인사들이 불귀의 객이 됐다. 병오년을 회고하면서 사라진 별들을

    중앙일보

    1966.12.20 00:00

  • 문학 풍년|신춘 중앙 문예를 마감하고|8개 부문 총4천1백31편 작년보다 천여편 많이 응모

    문학도들의 창작의욕은 날로 고조되고 있다. 지난 10일로 마감한 신춘 「중앙문예」의 응모작품은 한국문단에서 일찌기 볼 수 없었던 「문학풍년」을 보여 주었다. 8개 부문에서 작년보다

    중앙일보

    1966.12.15 00:00

  • 본사가 조사·집계한 전국「베스트셀러」|매월 두 차례 실사

    지방은 도시의 경향 쫓고 고객은 거의「사춘기」층 한국의 독서풍토는 취약성을 보여 주고 있다. 사람들은 퍽 감상적인 취향으로 책을 선택한다. 그것은 이른바 현실도피의 내면이기도 하다

    중앙일보

    1966.12.08 00:00

  • 미소에 담은 「유언」|가버린 어린이의 벗 마해송씨

    누구나 병풍 앞에서 흑흑 느껴 우는 것이었다. 그 뒤에 마해송씨는 거짓말같이 고인이 되어 누워있었다. 십자가와 해호과 조용한 울음들만이 그분의 죽음을 얘기하고 있었다. 정말 그분은

    중앙일보

    1966.11.08 00:00

  • 8.15와 진정한 칭찬|남의 칭찬을 칭찬으로만 받아서는 안 된다-홍종인

    해방의 8·15 스물한돌을 맞이하면서 우리국내에서는 저마다 성년의 기쁨을 축하하는가하면 외국의 인사들도 우리나라 경제의 자립적발전과 국제적 지의의 향상을 많이 축하하고 있다. 그

    중앙일보

    1966.08.18 00:00

  • 『60·25를 증언한다』 주 경 문

    6·25도 현대사에 「굵은 선」을 긋고는 「지나간 역사」속으로 사라져 간다. 그러나 그 전쟁의 비극은 너무 절박한 현실이었기에 6·25에 뿌린 핏자국이 구르는 연륜 속에 퇴색해가도

    중앙일보

    1966.06.25 00:00

  • 서평

    전혜린이란 여인은 잠깐왔다 홀쩍떠나버린 아리숭하고도 그러나 명료한 인상의 주인공이다. 그가남긴 40여편의 「생에대한 직세」생에대한간주 의 수상물들은 읽으면 기이할만큼 동정적이고 독

    중앙일보

    1966.06.14 00:00

  • 말린회장임명|주한 미원무단장에

    【워성턴9일동화】오는 9월 본스빌장군이 비치장군의 후임으로 주한 휴에이군사령관에 부임하게 됨에 따라 주한미군사고문단장 밀튼소장도 곧 말리이준장으로 교체 될 것이라고 9일 알려졌다.

    중앙일보

    1966.06.10 00:00

  • 한국군에 우정어린 「현대화」협조|주한미군사고문단

    약20년이라는 짧은 시일 안에 한 국군은 수적으로 자유세계에서 3위를 차지하는 대군으로 성장했다. 아무런 사전준비도 거치지 않고 국군이 이와 같이 빠른 성장을 이룩한데는 주한미군사

    중앙일보

    1966.04.14 00:00

  • (2)|대전의 시조 문학-「청자」 동인

    자기와 나뭇잎사귀와 나목 한그루와 그 뒤에 둥그런 달. 붓으로 아무렇게나 그린 「청자」 표지를 열면 목차 다음에 선언이 있다. 『-시조는 우리의 시임을 확신한다. 시조는 성장행위이

    중앙일보

    1966.03.15 00:00

  • 해방 20년…한국문학|「문협」조사 문인의 저서

    한국의 문단 인구는 지금 8백16명(65년 집계)을 헤아리고 있다. 그들은 모두 인간 가치의 발현을 위한 창작에 기여하는 사람들이다. 전후(2차 대전) 20년간에 문단인구는 실로

    중앙일보

    1966.03.08 00:00

  • 일 창가학회 기관지압수

    23일 밤 서울동대문경찰서는 일본에서 극비리에 들어온 창가학회회지 「성교신문」 29부, 「대백연화」 10권, 「성요클럽」 24권을 창가학회 한국지부장 박소암(42·서울 동대문구 창

    중앙일보

    1966.02.24 00:00

  • 2월 중순께 한·독 기술협정 체결

    정부는 새해 들어 한국의 경제협력이 다변화하고 있음에 대비. 제1차 적으로 서독 정부와 2월 중순께 기술협정을 체결할 방침이다. 외무부 당국자는 28일 상오 연내에 발족 될 대한경

    중앙일보

    1966.01.28 00:00

  • 새 문학지 탄생|「창작과 비평」|「한국문학」

    우리나라에는 현재 3종의 문학지가 나오고 있다. 통권1백33호를 거듭하고 있는 장수의「현대 문학」과 연령 3년을 헤아리는「문하 춘추」(통권21호), 그리고 시와 시론의 전문지인「시

    중앙일보

    1966.01.08 00:00

  • (1)「새 차원」의 음악을 듣자-이어령

    역사는 잠재적인 의지를 묻는다. 그것은 발전의 「에너지」다. 제3세대는 바로 그 의지의 상징이다. 우리도 지금 그것을 가지고 있다. 소중한 능력이다. 그러나 세대의 단절은 역시 발

    중앙일보

    1966.01.05 00:00

  • [을사문화계]의 회고

    을사의 종막도 멀지않았다. 그러나 이대로 막을 닫는 허전함은 관객도 배우도 한결 같다. 우리 문화계는 정녕 정체된 소택지인가, 아니면 유유한 대하의 흐름인가? 65년에도 그 [정체

    중앙일보

    1965.12.27 00:00

  • "너는 뭐냐"-남정현

    남정현씨는 단편집 「너는 뭐냐」를 냈다. 58년에 단편 「경고구역」으로 문단에 나온 그는 30여편의 작품을 냈고, 61년도 「동인문학상」 후보상을 받은 신진작가다. 그를 현실참여

    중앙일보

    1965.11.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