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 이휘소박사추모 입자물리심포지엄

    고이휘소박사를 추모하는 『입자물리국제학술 「심포지엄」이9월1일부터 5일까지 서울대학교주최로 동교교수회관에서 열린다. 지난해6월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한 우리나라출신의 세계적인 이론

    중앙일보

    1978.08.31 00:00

  • 소장에 양재현 박사 한국 핵 개발공단

    한국 핵 개발공단은 21일 제4차 정기이사회에서 제2대 소장에 양재현 박사(52·이학박사)를 선임했다. 양 신임소장은 서울대공대 및 미국 퍼듀대학에서 수학하고 그동안 금속연료연구소

    중앙일보

    1978.03.23 00:00

  • 한국물리학회|학술지 및『일반물리학실험』발간

    한국물리학회가 창립된 것은 6·25가 거의 끝날 무렵인 1952년 12월. 당시 부산에 있던 서울대 임시교사에서 최규남 권영대·박철재(고인)·지창렬·한준탁·조정탁·윤세원·조병하·안

    중앙일보

    1977.09.23 00:00

  • 인기학부로 부상한 미국의 농과대학

    세계적인 식량위기설을 계기로 최근 미국 대학가에서는 2차대전 이후 한동안 학생들에게 인기가 없던 농과대학이 이제 다시「인기학부」로 등장, 각광을 받고 있다. 친구들한테 자주 조롱을

    중앙일보

    1974.07.19 00:00

  • 첫 한·미 과학기술 협력 공동위 개최

    제1차 한미 과학기술 협력 공동위원회가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4일 동안 과학기술처 상황실에서 개최되었다. 최상업 박사(서강대 부총장)를 비롯한 9명의 우리 나라 측 대표와 「

    중앙일보

    1973.11.16 00:00

  • 이학=정락삼씨

    미 「퍼듀」대에서 물리학을 연구 중이던 정락삼씨(34)가 이 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 『불화「나트륨」 내의 상자성일가철에 관한「엔드」연구』. 정씨는 67년 서울

    중앙일보

    1973.08.02 00:00

  • 늘어나는 주부대학생|미국

    최근 미국대학가에는 주부대학생들의 수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대학 당국자들은 이번 가을 학기에 전국 각 대학에 등록한 30세 이상의 여대생 수는 50만 명에 이른 것으로 추산하고

    중앙일보

    1972.10.28 00:00

  • 혼전 성 경험 급증

    【라피에르(미 인디애나주)UPI동양】미국의 여대생 중 혼전 성 경험을 한 여학생 수는 68년 현재 10년 전에 비해 『급격한』증가를 했다고 미 「퍼듀」대학의 사회학자인 「해럴드·크

    중앙일보

    1971.02.03 00:00

  • 달을 밟고…한국을 밟고…|3일 내한하는 세우주인 프로필

    달에 50만년은 지워지지 않으리라는 발자국을 남기고 돌아온「암스트롱」등「아폴로」11호의 세우주비행사들이 각각 부인동반으로 3일낮12시15분에 내한한다. 모두가 30년생의 말띠들인

    중앙일보

    1969.11.01 00:00

  • 돌아온두뇌|전 미주리대학 김희철박사

    「컴퓨터」(전자계산기)에 의한 핵연료관리를 전문으로하는 젊은 「한국의두뇌」가 최근 미국서 15년만에 아주 귀국했다. 핵연료비만도 2천만불인 전기출력 50만kw (총비용1억2천만불)

    중앙일보

    1969.07.10 00:00

  • 반 뉴·레프트선풍

    미국서는 최근학원분쟁에서 난장판을 이룬 일부의 좌익학생들에게 반대하는 일반학생의 반대운동이 각대학에서 불길처럼 일기시작했다. 다음은 미국서 발행되는 「내셔널·리뷰·불리틴」지 3월호

    중앙일보

    1969.04.05 00:00

  • 「신인」 대 「유명인」

    11·5고지까지 25일간을 앞둔 양대진영에는 지금 유명무명의 인사들이 기라성같이 포진하고있다. 이들 선거전의 「브레인」들은 그들이 보좌하는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행정부의 장

    중앙일보

    1968.10.12 00:00

  • 동·서의 「우주과학」 한자리에|15일부터 동경서 국제「심포지움」

    인간의 달 착륙 계획은 지난 1월 미국의 세 우주인과 소련의 「소유즈」우주선 조종사의 참사 사고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은 「소유즈」1호 우주선의 사고로 「코마로

    중앙일보

    1967.05.17 00:00

  • 동·서의 「우주과학」 한자리에|15일부터 동경서 국제「심포지움」

    인간의 달 착륙 계획은 지난 1월 미국의 세 우주인과 소련의 「소유즈」우주선 조종사의 참사 사고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은 「소유즈」1호 우주선의 사고로 「코마로

    중앙일보

    1967.05.11 00:00

  • 박사학위 김희철씨(공박)

    미국「인디애나」주「퍼듀」대학원에서 원자력을 공부하고 있는 김희철(29·사진·한국 슬레이트 김인득 사장 장남)씨는 지난 11월 24일 동 대학으로부터 원자력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

    1966.12.08 00:00

  • 신기록 낼「인간위론」

    부조종사 「유진·서넌」해군소령(32)의 가족들은 비행가족이라 할만하다. 우주비행사로서 2년반동안 훈련을 쌓은「서넌」 소령은 내구「 한주산즈」 의 세졔기록을 세울임부를 띠고있다. 아

    중앙일보

    1966.06.04 00:00

  • 박안기씨 에「이박」

    미「퍼듀」대학에 유학중인 박안기씨가 동 대학원에서「분자결합에너지의 분해 및 분배」 라는 논문으로 이학박사학위(화학)를 지난 1월8일 받았다. 박씨는 광주농고 및 육사를 거쳐「퍼듀」

    중앙일보

    1966.02.08 00:00

  • 노벨물리·화학상 수상자

    【스톡홀름21일UPI급전동양】65년도「노벨」물리학상은「양자전기력학에 있어 기본적 연구」를 한 공로로 일본의 조영진일랑교수(동경대학·59세)와 미국의「줄리언·슈윙거」교수(「하버드」대

    중앙일보

    1965.10.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