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하)「어린이 달」에 점검해 본 보호실태

    해마다 어린이날이 되면 푸짐한 각종 행사가 벌어진다. 그러나 이날만 지나면 어린이들의 복지에 관한 행정은 다시 흐지부지 해지고 만다. 아동복지정책의 결여와 행정의 소극성, 제도상의

    중앙일보

    1972.05.06 00:00

  • 스포크 박사가 말하는 어린이와 장난감 동물

    아기들이 동물을 좋아하는 정도는 어른들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다. 그들은 산 동물이나 장난감 동물을 가리지 않는다. 취학 전 어린이들은 인간에 관한 것보다 토끼에 관한

    중앙일보

    1972.03.04 00:00

  • 아동기의 교육-심한 지적자극은 전인적 발달에 지장

    부모들은 누구나 자녀들이 잘 되기를 소망하고 또 남보다 더 영리하기를 바란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어린이들을 잘 교육시키려 하여 여러 가지로 애를 쓴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적 노력은

    중앙일보

    1972.01.20 00:00

  • 방학 앞둔 어린이의 책 선택

    「크리스머스」와 겨울방학을 함께 맞게 되는 국민학교 어린이와 중·고동학교 학생들에게는 연말·연시 선물로 책을 사주면 방학동안 독서습관을 기르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부모나 웃사람들

    중앙일보

    1971.12.17 00:00

  • 번지는 봉사의 손길 어린이의 집|확대 운동 1년…전국의 실태

    부모의 보살핌이 부족한 탓으로 유괴 당한 어린이. 놀이터가 없어 길가에서 놀다가 교통사고로 목슴을 잃은 어린이, 비좁은 아파트·발코니에서 떨어져 불구가 된 어린이들의 얘기는 이들을

    중앙일보

    1971.04.02 00:00

  • 재롱 교육에 그친 유치원|필요성의 시비와 프로그램의 문제점

    어린이의 조기 교육이 과연 필요하며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 라는 점은 그 동안 기회 있을 때마다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조기 교육 시비는 일부에서 사치 교육이다, 특수 교육이다 라는

    중앙일보

    1971.02.11 00:00

  • 미지의 학교생활에 친근감 갖게

    국민학교 입학식이 앞으로 한달 남았다. 학교교육의 첫발을 딛는 어린이들에게 「재미있는 공부」 와 「엄격한 단체생활을 조금씩 익혀주어 뒤에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너무 미리 잘

    중앙일보

    1971.02.03 00:00

  • TV는 어린이에게 해로운가|이대 교육 대학원 이계조씨 연구서

    20세기의 놀라운 특징 중에, 매스컴을 빼 놓을 수 없다. 사회 현상의 하나로서의 매스컴이 끼치는 영향은 사회 과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TV가 미치는

    중앙일보

    1971.02.02 00:00

  • 동심을 흥정하는 허용과 상흔 빗나간 예는「콩쿠르」|그 부작용과 문제점

    한때 커다란 사회문제를 일으켰던 일류 중학을 향한 일부 어머니들의 극성이 중학 입시가 추첨제로 바뀌자 요즘은 그「바람」이 어린이들의 예능 교육으로 방향을 바꿔, 물론 일부 상류층에

    중앙일보

    1970.11.10 00:00

  • 80년에 아주 인구 25억

    【동경15일 로이터동화】아시아 21개 국가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및 서방 선진국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13일 개막된 서태평양 지역 가족계획회의는 아시아 지역 인구증가 억제를

    중앙일보

    1970.10.16 00:00

  • 어린이와 용돈|눈뜨는 소유능력 어떻게 조절

    부모들 중에는 자녀가 어려서부터 돈을 밝히면 안된다. 또는 아직 경제적으로 무능력하다고 판단하고 자녀들 손에 돈을 쥐어 주는 일을 꺼리는 부모도 있고 또 용돈을 주기는 하되 많이

    중앙일보

    1970.04.18 00:00

  • "교육은 취학전부터"|미「갤럽」조사「어머니 지도」효과

    어린이들이 학교생활의 출발점인 1학년때부터 훌륭한 성취를 이룰 수 있게 하려는 것은 부모들의 공통된 관심사다. 미국 교육행정개발연구소의 의뢰로「갤럽·인터내셔널」은 미국전역의 1천4

    중앙일보

    1969.10.23 00:00

  • 분리있을 수 없는 일

    미감아문제로 휴교상태가 계속중인 대왕국민교는 20일이 넘도록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못하고 있다. 미감아의 분리교육을 주장하는 학부형들의 끈질긴 주장에대해 각계에서는 현대의학도 믿지않

    중앙일보

    1969.05.10 00:00

  • 미감아는 슬프다|등교거부 20일째 서울 대왕국민교

    서울 시내 대왕국민교(성동구 세곡동)는 나병 미감아들과의 공동취학을 거부, 학생들이 등교하지 않아 20째 휴교상태에 있어 사회에 큰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이학교의 학부형들은 『자

    중앙일보

    1969.05.06 00:00

  • 삼남 지방의 가뭄

    두 달이나 계속된 혹독한 가뭄 때문에 삼남 지방과 그 중에도 특히 호남지방이 입은 한해는 처참할이 만큼 심각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농작물의 피해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최근에는

    중앙일보

    1967.09.15 00:00

  • 새봄에 새 희망 가득|초·중·고 입학식

    6일 상오 서울시내 초·중·고를 비롯 일부 대학은 좁은 문을 뚫고 들어온 신입생을 맞아 입학식을 갖고 67학년도 공부를 시작했다. 서울시내 1백40개 공립국민학교에는 10만4천7백

    중앙일보

    1967.03.06 00:00

  • 「청소년」의 문제

    한마디로「청소년」이라고 해서 뭣은 환영이다, 또 무엇은 안된다, 하고 간단히 다루어 엄기자만, 청년과 소년은 다를것 같다. 날로 늘어가는 청소년 범죄에 골치를 앓는 것은 비단 한국

    중앙일보

    1966.05.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