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음란한 시' 비난, 수상으로 위로받아” 美 번역상 2관왕 김이듬 시인

    “'음란한 시' 비난, 수상으로 위로받아” 美 번역상 2관왕 김이듬 시인

    전미번역상을 받은 『히스테리아』의 작가인 김이듬 시인. [사진 김이듬 페이스북] 김이듬(51) 시인의 『히스테리아(Hysteria)』가 미국에서 전미번역상과 루시엔 스트릭 번역상

    중앙일보

    2020.10.16 11:50

  • [전문기자 프리즘] 코로나 시대의 예술가

    [전문기자 프리즘] 코로나 시대의 예술가

    신준봉 전문기자/중앙컬처&라이프스타일랩 걱정했던 만큼은 아닌 것 같다. 출판계 코로나 충격파 말이다. 희비가 엇갈린다. 도서 유통망의 실핏줄 격인 동네서점들 타격이 큰 것 같다.

    중앙선데이

    2020.05.30 00:26

  • [박정호의 문화난장] 큰 글자, 큰마음

    [박정호의 문화난장] 큰 글자, 큰마음

    박정호 논설위원 코로나19 대재난으로 모든 학교가 문을 닫았다. 다음 주부터 학생들이 텅 빈 운동장에 돌아온다고 한다. 최근 동네 한 바퀴를 돌면서 한 초등학교 대문에 걸린 문구

    중앙일보

    2020.05.07 00:40

  • 가끔은 목적 없는 시간도 즐겨보자, 하재연의 시처럼

    가끔은 목적 없는 시간도 즐겨보자, 하재연의 시처럼

     ━  [더,오래] 전새벽의 시집읽기(49)   사람마다 약속장소를 고르는 유형이 다르다. 시계탑 앞에서 만나자는 ‘고전파’가 있는가 하면 “네가 내리는 버스정류장에서 만나자”고

    중앙일보

    2019.12.13 15:00

  • 섬뜩하고 장르적이고 허를 찌르는

    섬뜩하고 장르적이고 허를 찌르는

    위험한 비유 위험한 비유 최제훈 지음 문학과지성사   대개 빠지는 법이 없는 ‘작가의 말’, 없는 경우도 많지만 작가와 출판사가 친절하다면 붙인다고 해서 전혀 이상할 게 없는 ‘

    중앙선데이

    2019.12.07 00:20

  • 소설 '무정' 등 희귀본 통해 돌아본 한국 출판 100년사

    소설 '무정' 등 희귀본 통해 돌아본 한국 출판 100년사

    회동서관에서 출판된 이광수의 '무정'(1924). [사진 삼성출판박물관] 한국 최초의 현대 장편소설인 이광수의 『무정』을 처음 펴낸 출판사는 어딜까. 기록에 따르면

    중앙일보

    2019.10.28 16:26

  • 오형엽 평론가협회장 “문학 침체, 평론가도 책임”

    오형엽 평론가협회장 “문학 침체, 평론가도 책임”

    오형엽 회장 위기가 몰아쳐 생존이 문제가 될 때 스스로를 돌아보게 된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최근 출간한 현대비평 창간호에서 그런 절박함이 묻어난다. 대산문화재단이 후원해 지난

    중앙선데이

    2019.10.19 00:20

  • "문학 침체, 비평도 책임…비평이 살아야 문학도 산다"

    "문학 침체, 비평도 책임…비평이 살아야 문학도 산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를 이끄는 고려대 오형엽 교수, 비평 전문지 현대비평을 최근 창간했다. 김현동 기자 신준봉 전문기자/중앙컬처&라이프스타일랩 inform@joongang.co.

    중앙선데이

    2019.10.17 15:16

  •  루시드폴이 단숨에 빠져든 시인 마종기는 누구?

    루시드폴이 단숨에 빠져든 시인 마종기는 누구?

     ━  [더,오래] 전새벽의 시집읽기(42)   자신의 노랫말을 모아 책으로 냈던 가수 루시드폴. 노래의 가사가 참 좋다. [사진 안테나]   “멜로디가 가장 중요하다. 가사는

    중앙일보

    2019.09.06 15:00

  • "시대를 도피한 자의 반성문" 펴낸 은희경 작가

    "시대를 도피한 자의 반성문" 펴낸 은희경 작가

    7년 만에 장편 소설 '빛의 과거'를 출간한 은희경 작가. 그는 "오랜 세월 마무리짓지 못한 작품을 드디어 끝내서 후련하다"고 밝혔다. 장진영 기자

    중앙일보

    2019.09.04 16:51

  • 담론 이끌던 책의 힘 시들…출판 아닌 ‘지식의 위기’ 심각

    담론 이끌던 책의 힘 시들…출판 아닌 ‘지식의 위기’ 심각

    한국 사람들은 책을 점점 안 읽는다. 국제적으로도 그렇다. 지난해 1년간 교과서·만화 등을 제외한 책을 한 권이라도 읽은 사람의 비율(연간독서율)이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독

    중앙선데이

    2019.07.20 00:20

  • 누구나 시 쓸 수 있다…세월호 상처도 글 쓰기로 치유 가능

    누구나 시 쓸 수 있다…세월호 상처도 글 쓰기로 치유 가능

     ━  [세상을 바꾸는 지식인] 시인 겸 철학자 진은영씨   상처 복기(復棋)? 아니, 사건의 재구성이라고 해도 좋겠다. 5년 전 4월 이준석 선장을 비롯한 세월호 선원들은 왜

    중앙선데이

    2019.06.15 00:20

  • "시는 터져 나오는 울음, 멈춰지지 않는다"

    "시는 터져 나오는 울음, 멈춰지지 않는다"

      작가의 요즘 이 책-베스트셀러 시인 박준    "이상적인 사회라면 시인을 추방해야 한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이렇게 주장했다. 대표작 『국가』에서다. 시인이라는

    중앙선데이

    2019.02.02 00:20

  • 울퉁불퉁 지극한 사랑 이야기 『경애의 마음』 보이지 않는 존재 다독이는 어른 동화 『안녕』

    울퉁불퉁 지극한 사랑 이야기 『경애의 마음』 보이지 않는 존재 다독이는 어른 동화 『안녕』

     ━  중앙일보·교보문고 선정 ‘2018 올해의 책 8’   울프 노트(정한아 시집),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유발 하라리), 스케일(제르리 웨스트), 경애의 마음(김금희

    중앙선데이

    2018.12.15 00:20

  • 한껏 허세를 떨거나, 짐짓 모른 척 하거나

    한껏 허세를 떨거나, 짐짓 모른 척 하거나

     ━  책 속으로   낭만주의 낭만주의 박형서 지음 문학동네   N.E.W.(뉴) 김사과 지음 문학과지성사   여름에 출간된 소설책을 가을에 읽는다. 놓쳤던 책들이다. 뒤늦게 소

    중앙선데이

    2018.10.13 00:20

  • 우리가 슬픔을 나눌 수 없는 까닭은 …

    우리가 슬픔을 나눌 수 없는 까닭은 …

     ━  책 속으로   방부제가 썩는 나라 방부제가 썩는 나라 최승호 지음 문학과지성사   울지도 못했다 김중식 지음 문학과지성사   떠났던 자들의 귀환이다. 나란히 같은 출판사에

    중앙선데이

    2018.08.04 01:00

  • [책 속으로]문지 떠났던 최승호·김중식 돌아왔다

    [책 속으로]문지 떠났던 최승호·김중식 돌아왔다

    최승호 시인김중식 시인   방부제가 썩는 나라 최승호 지음, 문학과지성사   울지도 못했다  김중식 지음, 문학과지성사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중앙일보

    2018.08.02 15:21

  • 분단문학 개척자, 남북 모두에 ‘광장’의 숙제 남기다

    분단문학 개척자, 남북 모두에 ‘광장’의 숙제 남기다

    23일 타계한 소설가 최인훈. 분단 이후 남북 양쪽 체재를 다룬 첫 소설 『광장』을 써 한국소설의 격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앙포토]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보

    중앙일보

    2018.07.24 00:25

  • 파레시아(parrhesia)

    파레시아(parrhesia)

     ━  [책 속으로] 김수영의 행복어 사전   담론과 진실 ‘파레시아(parrhesia)’는 프랑스 철학자 푸코의 말년을 사로잡았던 개념입니다. 세상을 떠나기 전 몇 해 동안 푸

    중앙선데이

    2018.07.07 01:00

  • 무더위 식히는 소설 바캉스 떠나볼까

    무더위 식히는 소설 바캉스 떠나볼까

     ━  책 속으로   놀러 가자고요 놀러 가자고요 김종광 지음, 작가정신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이기호 지음, 문학동네   단 하루의 영원한 밤 김인숙 지음, 문

    중앙선데이

    2018.07.07 01:00

  • 플라톤, 소크라테스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 한 이유

    플라톤, 소크라테스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 한 이유

     ━  [책 속으로]김수영의 행복어 사전-파레시아(parrhesia)    '파레시아(parrhesia)'는 프랑스 철학자 푸코의 말년을 사로잡았던 개념입니다. 세상을 떠나기 전

    중앙일보

    2018.07.05 10:44

  • 필로스(philos)

    필로스(philos)

     ━  [책 속으로] 김수영의 행복어 사전   투스쿨룸 대화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말들은 그 정확한 발생의 기원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밥이라는 말을 누가 처음 만들어냈는지

    중앙선데이

    2018.06.09 01:00

  • 헤도네(Hedone)

    헤도네(Hedone)

     ━  김수영의 행복어 사전    국가 서양 도덕철학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고전을 한 권만 선택하라면, 저는 아무런 주저함 없이 플라톤의 『국가』를 꼽겠습니다. 플라톤 개인에게

    중앙선데이

    2018.05.12 01:00

  • 김수영의 행복어 사전 - ③헤도네(Hedone)

    김수영의 행복어 사전 - ③헤도네(Hedone)

    그리스어 '헤도네(Hedone)'는 즐거움을 뜻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사랑의 신 에로스(Eros)와 영혼을 뜻하는 프시케(Psyche)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바로

    중앙일보

    2018.05.10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