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가능성을 현실로 ...상상력과 제조 기술의 야심찬 '디자인 협업'

    가능성을 현실로 ...상상력과 제조 기술의 야심찬 '디자인 협업'

      에이스임업과 디자이너 왕현민이 협업해 만든 우드슬랩 테이블. 직선과 곡선, 평면과 곡면의 적절한 조합으로 부드러우면서도 견고한 이미지를 조형화했다. [사진 서울디자인재단] #

    중앙일보

    2020.11.29 15:00

  • 파주 반환미군기지, ‘평화 마을’로 탈바꿈한다…예술 공간화

    파주 반환미군기지, ‘평화 마을’로 탈바꿈한다…예술 공간화

    최종환 파주시장이 24일 열린 경기도 공모사업 본선에서 직접 프리젠테이션을 하고 있다. [사진 파주시] 미군반환 기지 캠프 하우즈 전경. [사진 파주시]   67년간 폐쇄됐던 경

    중앙일보

    2018.12.24 11:52

  • [시선집중(施善集中)] 조형언어로 빚은 제주의 풍경 … “문화 충전하러 옵서예”

    [시선집중(施善集中)] 조형언어로 빚은 제주의 풍경 … “문화 충전하러 옵서예”

    제주의 명소이자 문화 공간인 오설록 티뮤지엄 일대에서 오는 10월 14일까지 제주의 자연을 주제로 한 ‘apmap 2018 제주’ 행사가 열린다. 사진은 동굴 속 용암의 흐름을

    중앙일보

    2018.08.22 00:02

  • 시멘트 사일로가 세계 최대 악기로

    시멘트 사일로가 세계 최대 악기로

    여수세계박람회장 지구의 시멘트 사일로가 세계에서 가장 큰 악기 명물로 다시 태어난다. 5일 2012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박람회장 사일로 재활용 방법에 국제현상을 공모해

    중앙일보

    2010.09.06 00:10

  • 책과 함께 놀자!

    책을 주제로 한 이색공간 '책 테마파크'가 국내 최초로 문을 연다. 성남문화재단은 22일 분당 율동공원 내에서 개관 기념행사를 한다. 책 테마파크는 기존의 도서관 개념에서 벗어나

    중앙일보

    2006.04.17 14:02

  • 부산 지하철 첫 시역외 노선 착공

    부산 지하철의 첫 시역외 노선이 될 부산지하철 2호선 3단계 양산선이 드디어 착공된다. 부산교통공단은 오는 21일 오후 부산교통공단,건설교통부,한국토지공사 관계자등 2천여명을 초청

    중앙일보

    2001.12.17 15:11

  • 21세기 개막 기념물 '내가 더 높게' 영국.프랑스 자존심 대결

    유럽내 숙명의 라이벌 영국과 프랑스가 이번에는 2000년대 개막기념 조형물의 높이를 놓고 또 한판의 자존심 싸움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8월 영국정부는 2000년대 시작을 축하하기

    중앙일보

    1997.03.10 00:00

  • 區마다"문화거리" 만들기 붐

    「영화의 거리」「시인의 거리」「패션의 거리」「예술창조의 거리」. 본격 자치시대를 맞아 서울시내 7개 구청이 지역문화특색을살리기 위한 문화의 거리 조성사업계획을 적극 추진하고있다.

    중앙일보

    1995.09.17 00:00

  • 가곡 碑木소공원 조성-강원도 화천 평화의댐 안보전시관에

    우리국민 최대의 애창가곡 비목(碑木)의 애잔한 분위기를 느낄수있는 소공원이 조성된다. 강원도화천군은 7백여만원을 들여 화천군화천읍동촌리 평화의댐 안보전시관 옆에 1백20평규모의 비

    중앙일보

    1995.05.11 00:00

  • 지하철 환기구 아름답게 꾸민다-서울시,꽃무늬등 조형화계획

    「이제는 지하철 환기구도 패션시대」. 오는 6월말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는 서울 2기지하철(5~8호선)의 환기구가 원통형.유선형.꽃무늬형등 다양한 모양으로 조형화된다. 서울시는 27

    중앙일보

    1995.02.27 00:00

  • 설치미술가 金守子씨

    천과 보따리의 설치미술가 김수자(金守子.39세)씨.95년을 맞아 그의 천조각들과 보따리가 세계 곳곳으로 먼 여행을 떠난다.지난해 연말(12월1~20일.갤러리「서미」)그의 제5회 개

    중앙일보

    1995.01.24 00:00

  • 전통.서구 흙예술 대비뚜렷-독일.진로 도예전 잇따라 개최

    흙을 다루는 국내.서구도예가들의 작품및 작품관의 차이를 보여주는 전시가 잇따라 열려 관심을 끈다. 인사동 土陶廊에서 30일까지 계속되는「독일현대도예전」과 12월1일부터 7일까지 공

    중앙일보

    1993.11.25 00:00

  • 서예의 범세계적 수용 가능성 모색

    동아시아 권의 독특한 예술형식인 서예를 서양인들은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을까. 서예는 과연 현재와 같은 제한된 지역성을 극복하고 전세계에 호소력을 갖는 보편적 미술로 발돋움 할

    중앙일보

    1989.03.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