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행복한책읽기Review] '건국의 아버지들' 무엇을 고뇌했나

    [행복한책읽기Review] '건국의 아버지들' 무엇을 고뇌했나

    우리 헌법의 탄생 이영록 지음, 서해문집 199쪽, 6900원 2002년 한.일월드컵과 함께 거듭났던 말이 '대한민국'이다. 우리의 공식 국호, 그러나 너무 거창했을까. 잠시 저쪽

    중앙일보

    2006.06.16 20:34

  • [이코노미스트] ‘老티즌’의 인터넷 24시…“밤낮이 없다”

    바야흐로 인터넷 시대다. 인터넷은 지금 한국에서 제3의 매체에서 실질적으로는 신문 방송을 압도하는 제1주류 매체가 되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1192만 명(2005년 11

    중앙일보

    2006.04.16 20:13

  • [디지털국회] 통일한국 고려해 영토조항 접근해야 한다

    鄭통일 “헌법 영토조항 손질 검토” 제대로 해야 한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4일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헌법 3조의 영토조항을 손질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혀 또 다시 보수와

    중앙일보

    2005.10.28 14:23

  • [강정구 교수 파문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대 박태균 교수가 보는 '강 교수 주장'

    [강정구 교수 파문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대 박태균 교수가 보는 '강 교수 주장'

    ◆ 8.15 직후 한국사회에서 전체 국민의 70% 이상이 사회주의를 지지했는가? 이것은 분명 당시의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는 수치다. 당시 조선공산당과 조선인민당이 다른 정당에 비해

    중앙일보

    2005.10.24 05:07

  • [디지털 국회] 간 큰 천정배 장관?

    강정구의 처리를 놓고 온 나라가 시끄럽다. 그만한 사건으로 이만큼 시끄럽다는 자체가 바로 오늘의 비극이다. 그 비극은 현 정권의 정체성과 맛 물리며, 국민이 선거를 통하여 구성해

    중앙일보

    2005.10.18 18:10

  • [1948]

    1948. 1. 09 김두봉, 조선어철자법 개정초안에 대해 보고 1948. 1. 10 조소문화협회, 제 2차 전체회의 개최(-11일) 1948. 1. 11 김일성 위원장, 인민군

    중앙일보

    2005.08.09 10:43

  • [1949]

    1949. 1. 06 2차대전시 일제에 의해 강제 징모되었던 한국인 출신 포로병 3,182명, 소련으로부터 귀환 1949. 1. 12 박헌영 외무상, 북한 주재 소련 특명 전권대사

    중앙일보

    2005.08.09 10:17

  • [북한의 통일방안변화사]

    북한의 통일방안은 「남조선혁명」이라는 그들의 대남전략을 기조로 하여 시대적 적응성과 환경적 전략성을 가지고 변화를 거듭해 왔다. 북한의 통일방안의 변천과정을 일별해 보면 북한의 초

    중앙일보

    2004.10.25 16:02

  •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과 국가 앞에는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여야 할 무거운 과업이 나선다.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기 위하여서는 사회주의제도가 선 다음에도 혁명을 계속

    중앙일보

    2004.10.25 14:17

  • [91-2000]

    1991년 1. 3 : 최의웅(군사정전위 북한측 수석위원), 유엔군측 수석위원을 한국군장성으로 교체하는 것을 반대하는 담화 발표. 1.28 : 김영남(부총리 겸 외교부장), 알렉산

    중앙일보

    2004.10.25 14:04

  • [61-70]

    1961년 1.11 : 북한-예멘 간 통상협정 및 무역대표부 설치의정서 조인. 1.12 : 북한-루마니아 간 방송협정 체결. 1.23 : 쿠바주재 북한 초대대사 홍동철 임명. 1.

    중앙일보

    2004.10.25 11:45

  • [51-60]

    1951년 2. 1 : 유엔총회에서 중국을 침략자로 규정. 4.15 : 외무상, 박헌영, 한국전 평화 해결을 유엔에 요청. 4.18 : 북한주재 루마니아대사 바부취빨웰 취임. 5.

    중앙일보

    2004.10.25 11:3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법

    제1편 일반제도 제1장 민법의 기본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법은 재산관계에 대한 민사적규제를 통하여 사회주의경제제도와 물질기술적 토대를 튼튼히 하며 인민들의 자주적이며 창조

    중앙일보

    2004.10.22 17:54

  • 조선로동당규약(80)

    조선로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에 의해 창건된 주체형의 혁명적 맑스-레닌주의당이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1926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되는 공산주의적 혁명조직으로서 타도

    중앙일보

    2004.10.22 14:44

  • 98년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사상과 령도를 구현한 주체의 사회주의 조국이다.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창건자이시며 사회주의조선의 시조이

    중앙일보

    2004.10.22 14:39

  • 92년헌법

    제1장 정 치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리익을 대표하는 자주적인 사회주의국가이다. 제2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국주의 침략자들을 반대하며 조국의 광복과 인

    중앙일보

    2004.10.22 14:33

  • 72년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5기 제1차 회의는 위대한 맑스-레닌주의자이시며 혁명의 영재이신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동지의 직접적인 지도 밑에 사회주의헌법 기초위원회가 작성하여

    중앙일보

    2004.10.22 14:25

  • "간첩은 제네바 협약도 보호 안해"

    "간첩은 제네바 협약도 보호 안해"

    ▶ 5일 오전 '반핵 반김 국민협의회' 소속 회원들이 서울 광화문에서 의문사위 해체를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채명신씨(左) 등 퇴역장성 모임인 성우회 회원들이 의문사진

    중앙일보

    2004.07.06 18:43

  • 2003

    2003. 1. 1 공동사설 "위대한 선군기치 따라 공화국의 존엄과 위력을 높이 떨치자" 발표 ☞공동사설전문 바로가기 2003. 1. 10 북, NPT탈퇴 정부 성명 발표☞공식성명

    중앙일보

    2004.04.26 11:24

  • 신문사 대북 사이트, 정부보다 낫다

    북한과 관련된 남북한 정부 유관 기관 사이트와 국내외 연구소 사이트, 언론사 사이트들을 북한 연구자의 입장에서 평가한 결과, 특히 통일부와 국가정보원 등 대부분 정부 유관 기관 사

    중앙일보

    2000.07.11 10:53

  • 색깔론 수위 높이는 JP…민주당 집중 공격

    자민련의 김종필(金鍾泌.JP)명예총재와 이한동(李漢東)총재의 발언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JP는 본격적으로 색깔론을 펴고 李총재는 "내가 대통령감" 이라는 말을 주저없이 하고 있다.

    중앙일보

    2000.03.30 00:00

  • 북한 신년사에 담긴 내용-對美 관계개선에 역점

    북한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당보.군보.청년보등 신문의 공동사설로 신년사를 대체했다.공동사설은 심각한 경제난과 대홍수로 얼룩진 95년을 「혁명적 의리」「일심단결」「신념과 의지」의

    중앙일보

    1996.01.04 00:00

  • 6.蘇 南대표에 총선후 정부수립약속받아라

    ◇1948년 4월23일 〈김일성.김규식회담〉 ①우리들의 불참아래 회의를 시작한 것에 대해 불만이 있다.②왜 美제국주의라고부르는가.미국이라고 불러야 한다.③소회의(註:예비회담)를 시

    중앙일보

    1994.11.23 00:00

  • 김일성 역사적 功過-경제.민생보다 개인숭배 치중

    가장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개인숭배의 폐해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볼때 북한사회에서 인민대중은 주체사상과는 대조적으로 유일지도체계 형성과정에서 수령을 향한 극단적인 구심화과

    중앙일보

    1994.07.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