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남·북 공동성명 산파역들의 프로필

    현재 제2부수상의 직함을 갖고 있는 박성철은 일본의 상지대학을 나왔다는 점에서 특이한 존재다. 1912년 출생. 명목상 당내 서열4위이나 6위인 김영주의 대리로 왔었다는 점이 주목

    중앙일보

    1972.07.04 00:00

  • 모하메드 이래의 아랍통합기수

    가난한 우편배달부의 아들로 태어나 2천년동안 외국의 지배하에 있던 이집트를 해방시킨 풍운아-. 반봉건·반식민·범아랍주의의 기치를 앞 세워 모하메드 이래 처음으로 1억 아랍민족을 단

    중앙일보

    1970.09.29 00:00

  • 호연 속에 신인 발굴의 명분 살린 아이다 공연

    김자경 오페라단이 여섯 번째로 내놓은 아이다 공연이 지난 24일부터 시민회관에서 막을 올랐다. 이집트의 장군 라다메스와 이디오피아의 공주 아이다 사이에 얽힌 비련을 줄거리로 한 이

    중앙일보

    1970.09.26 00:00

  • 『오페라』의 왕자『아이다』국내 두 번째 공연의 그 진용

    김자경「오페라」단의 제6회 공연인「베르디」의 가극『아이다』(4막7장)가 오는 24일∼27일(하오 3시30분·7시30분)본사 주최로 서울 시민회관에서 막을 올린다. 『아이다』는『리골

    중앙일보

    1970.09.12 00:00

  • 파국|맨치스터·가디언사설|영불군, 아랍공침공에 통렬한규탄

    1956년「수에즈」운하가 국유화되어 봉쇄위기에 처하자 영·불이 무역으로「아랍」공화국을 침공한데대해 영국의「맨치스터·가디언」지는 장문의 사설에서 이를 준열히 규탄했다.결국 영·불은

    중앙일보

    1969.09.22 00:00

  • (3)미·소의 입장

    중동 열전을 종식시킨 공로자는 백악관과 「크렘린」간에 가설된 「홋·라인」(직통비상전화선)이다. 62년 「쿠바」위기 당시 정상외교 경로나 일반 통신 수단으로 양국의 정책성명과 반응

    중앙일보

    1967.06.17 00:00

  • (2) 텔아비브=안재훈 통신원

    『하나님의 사자가 날이 새도록 「야곱」과 싸우다가 「야곱」을 이기지 못하자…네 이름이 무엇이냐. 그가 가르되 「야곱」이니이다. 그 사람이 가라사대 네 이름을 다시는 「야곱」이라 부

    중앙일보

    1967.06.15 00:00

  • 서울의 "숙적"

    ◇편집자주=본사는 서울에 있는 「이스라엘」의 「아르벨」대리대사와 「아랍」공화국교수 「라셔드」교수를 각각 회견하고 중동전쟁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들어보았다. "우린 싸울 수밖에 없었

    중앙일보

    1967.06.08 00:00

  • 폭발직전의 중동

    「유엔」 평화유지군의 「이스라엘」·「아랍」공 국경지대 철수로 말미암아 중동 정세는 긴장도를 한층 더해가고 이에 따라 「유엔」 본부내의 움직임도 열기를 띠기 시작했다. 이번 사태는

    중앙일보

    1967.05.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