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65)천연물을 지키자

    홍도학술조사단원 모집광고를 가끔 볼 수 있다. 홍도는 문화재보호법에따라 지정된 천연보호구역이다. 이 섬에 누가 무슨 목적으로 학술조사단을 파견하겠다는 것인지 반가운 소식이 아니다.

    중앙일보

    1973.08.03 00:00

  • 수난 겪는 고장 천연물

    고장의 귀한 천연산물이 수난을 겪는다. 각종 자연석과 희귀식물 등이 일부 몰지각한 업자 등의 손에 파헤쳐져 외국의 정원석용 수출품으로도 유출된다. 특히 바다와 산에 피서객들이 많이

    중앙일보

    1973.07.23 00:00

  • 일반인 출입 금한 빌레 못 굴|일 대학생이 측량 계획

    【제주】제주도가 천연기념물 지정을 서두르고 있는 북제주군 애월면 어도리 빌레 못 굴을 일본 대학생 14명이 3일 임의로 답사, 측량할 계획으로 있어 학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빌레

    중앙일보

    1972.08.02 00:00

  • 사라지는 「울릉도의 자연」

    동해 복판에 자리한 울릉도의 천연기념물들을 포함한 자연자원의 보존은 국토·자연의 보존에서 뿐 아니라 관광개발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의 「울릉도종합학술조사단」(

    중앙일보

    1971.08.17 00:00

  • (275)단절 3백년…뭍으로 돌아온 섬|안면도 연륙교

    초속 8m의 밀물 썰물이 들락거리는 폭 2백m의 갯골에 6개의 흰 교각이 솟아올라 2백8m50㎝의 남-북으로 곧게 뻗은 다리를 떠받치고 있다. 충남 서산 군 안면 면 안면 도와 남

    중앙일보

    1970.12.12 00:00

  • 관리인이 부순 용암동굴

    【제주】북제주군 한림읍 협재리 일대에 있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물다는 용암 석회굴 관리를 맡고있는 한림읍장(현여경)이 이 동굴 속의 종유석을 따다가 비싼 값에 팔고 정원석으로도 쓰

    중앙일보

    1970.08.18 00:00

  • (261) 「바캉스」계절… 산하 천리 굽이를 따라

    바캉스의 계절. 산과 바다가 손짓하는 등 더위에 지친 도시인들의 가슴을 부풀게 한다. 한달째 계속되던 장마 전선이 물러나고 25일부터 각급 학교가 모두 여름방학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중앙일보

    1970.07.28 00:00

  • (206)소금강의 6월|강산재발견 1차 명승지 조사단을 따라

    우러나라 금수강산의 가장 아름다운 지역을 가려내는 병승지 종합 조사단이 처음으로 발족, 지난 1일부터 12일간 동해안의 강릉일대를 답사했다. 시인이며 문화재의원인 이은상씨를 단장으

    중앙일보

    1969.06.14 00:00

  • (185) 완도교

    신라 흥덕왕(서기826∼835년)때 청해대사 장보고가 동해상의 제해권을 휘어잡고 명성을 떨쳤던 근거지 완도는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와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사이 푸른 바다를 가 로

    중앙일보

    1969.02.08 00:00

  • (182)고씨굴 | 첫 관광지 지정과 한국 동굴의 어제·오늘

    여태까지 신비의 세계로만 알려진 채 일부 동굴 관계 인사들에 의해서만 탐험되어 오던 동굴이 당국의 인식으로 이제 「베일」을 벗고 많은 사람들의 관람과 국가 내지는 지역사회의 합목적

    중앙일보

    1969.01.18 00:00

  • (124)천연기념물194호 창덕궁 향나무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1번지. 창덕궁의 향나무가 천연기념물194호(3월4일)로 지정됐다.높이 목측6미터. 몸통둘레4미터, 수령 700년이상. 노수답게 수세는 의연하고 수형이 특이

    중앙일보

    1968.03.23 00:00

  • 황쏘가리 한란 천연기념물 지정

    멸종 위기에 빠진 한강의 「황쏘가리」와 제주도 「한란」이 천연 기념물로 지정됐다. 11일 문화재 제3분과위원회는 「황쏘가리」가 우리나라 특유의 민물고기요, 한라산에 야생하는 「한란

    중앙일보

    1967.05.18 00:00

  • 버려 둔 천고의 신비|한국의 동굴|일의 다각도 이용과는 대조적

    우리의 동굴을 더 잘 알기 위하여 일본과 중국의 동굴을 알아야하는 것은 한반도가 육교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지사가 동굴사와 형태와 내부의 생물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중앙일보

    1967.05.17 00:00

  • 황쏘가리 한란 천연기념물 지정

    멸종 위기에 빠진 한강의 「황쏘가리」와 제주도 「한란」이 천연 기념물로 지정됐다. 11일 문화재 제3분과위원회는 「황쏘가리」가 우리나라 특유의 민물고기요, 한라산에 야생하는 「한란

    중앙일보

    1967.05.12 00:00

  • 버려 둔 천고의 신비|한국의 동굴|일의 다각도 이용과는 대조적

    우리의 동굴을 더 잘 알기 위하여 일본과 중국의 동굴을 알아야하는 것은 한반도가 육교적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지사가 동굴사와 형태와 내부의 생물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중앙일보

    1967.05.11 00:00

  • 동굴 관광 금지령

    29일 상오 문화재 관리국은 중유굴 등 전국에 산재해 있는 이름 있는 동굴에 대해 관광객의 출입을 금지하도록 각시·도 교육감에게 지시하고 경찰의 협조를 의뢰했다. 이 같은 지시는

    중앙일보

    1966.03.29 00:00

  • 제주 기이한 용암 개스굴|지질·생물학계에 큰 수확

    대이골 종유굴 조사에 이어 중앙일보사가 마련한 지난 1월 29일부터 10일간에 걸친 제주도 용암 「개스」굴 학술 조사대는 이외로 신과 후보 1종 및 신속후보 1종 신종후부 10여

    중앙일보

    1966.02.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