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아동인생론

    「파스테르나크」의 『의사 지바고」에 이런 말이 있다. 『인간이란 살려고 태어난 것이지 사는 준비를 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다.』 일전에 「버스」에서의 사건이다. 엄마 등에 업힌

    중앙일보

    1972.05.02 00:00

  • (311)-제자는 필자|부산통화개혁(4)

    광복동 미진 호텔에서 아슬아슬한 첫 순간을 넘긴 김정렴·배수곤 두 사람은 그날로 해운대로 장소를 옮겼다. 이어 동래·송도등 비교적 남의 눈에 잘 안띌 곳만 찾아다녔다. 나중에는

    중앙일보

    1971.11.19 00:00

  • (61)

    『할아버지, 「미다」할아버지. 오늘은 무얼 사주시래요?』 「아파트」 주변의 코흘리개들이 매일같이 사탕이며 과일을 사주는「미다」할아버지 (일본명 삼전승호·64)의 뒤를 졸래졸래 따르

    중앙일보

    1971.08.23 00:00

  • 총선 막바지의 「이색」경연|「5·25」만상

    조직은 당 조직에 그치지 않고 갖가지 사조직이 있다. 사조직은 씨족 같은 재래식이 많지만 「박테리아」번식법이란 새로운 비밀 특수 조직이 생겨났다. 이 「박테리아」번식법은 당기간 요

    중앙일보

    1971.05.20 00:00

  • (6)

    조직과 선전이「시소」|출신지도 양산과 동래 조직 면에서는 여당후보가, 선전 면에서는 야당후보가 악간씩 우세한 이곳의 승부는 결국 종반에서 누가 돈을 많이 쓰느냐에 달러있다고 말하는

    중앙일보

    1971.05.18 00:00

  • (136)양식복장(3)이승만

    별기군은 구식 군대 중에서 또렷또렷한 장정들을 발탁해 구성했겠지만 전투하는 병정은 못되었다. 그들의 옷차림이 신식이듯이 위관(장교)은 칼집도 번들번들 하는 군도를 차고, 사병은

    중앙일보

    1971.04.20 00:00

  • 미 동남아 정책에 겉도는 로저즈|상원 의원들이 보는 그의 위치

    【워싱턴 10일 AP동화】닉슨 대통령의 동남아 정책에 반대하는 상원 외교위 소속 의원들은 윌리엄·로저즈 국무장관으로부터는 동남아 정책에 관한 것을 많이 알아낼 수 없다고 판단하고

    중앙일보

    1971.02.11 00:00

  • 소련 붕괴 예언으로 두 번째 형 받은 작가|아말리크의 유형기(1)

    『소련은 1984년까지 존속할 것인가』라는 소책자로 서방 세계에 널리 알려진 소련의 작가며 역사학자인 「안드레이·아말리크」(32)는 노골적인 정부 비판으로 12일 두 번째 3년간의

    중앙일보

    1970.11.14 00:00

  • 은퇴 생각해 본 일 없다|미국 공연앞둔 「로렌스·올리비에」경

    [루크지=본사독점전재]영어연극에서 「경」이라고 하면 누구나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는 고귀한 「헨리」5세였고 가장 악인같은 「리처드」3세, 또 처참하고 가련한 「오델로」이기도 했다

    중앙일보

    1970.01.17 00:00

  • 공직…24시간|국회의원|외면당한「입법활동 전념」

    오늘을 사는 생활인은 분망하다. 오늘을 이끌고 있는「파워·엘리트」는 더욱 그러하다. 아무리 초연하려해도 결코 사회와 절연될 수없는 사람들-. 그사람들의 생활은 서로얽혀 오늘의 한국

    중앙일보

    1969.05.12 00:00

  • (7)세계불구자 올림픽 "금[메달] 탄" 조금임 여사

    도회의 밤 10시는 아직 초저녁처럼 흥청거리고 있는데 재활원 용사 촌은 이미 밤이 깊은지 오래였다. 서울 영등포구 신대방동 492 국도변 가파른 언덕바지에 자리잡은 용사 촌은 개

    중앙일보

    1967.12.19 00:00

  • 전화가 맺은 「삼색의 우정」|

    지금부터 14년전 한「프랑스」종군기자의 알선으로 도불, 3년전 「파리」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지금은 대학생 관광사무소 직원으로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는 이동연(29)씨를 찾아 그

    중앙일보

    1966.08.13 00:00

  • 살려준 아저씨|정말 고마워요

    한편 아현동「대한의원」에서 오른쪽 다리에 골절상 진단을 받고 입원중인 박군은『어떤 어른이 갑자기 떠밀었다』면서『어떤 아저씬지, 참 고마와요. 그 아저씨 얼굴이 보고 싶어요』라고 말

    중앙일보

    1965.10.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