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자어는 한자로써야|국어교육 지름길

    일본의 여성잡지 「주부노우」(69·11월호)에 의하면 대판시 소로 유치원에서는 수년 전부터 한자교육을 했는데 그 결과 2년간에 약 8백자의 한자를 거의 모든 원아들이 외워 버리더라

    중앙일보

    1970.01.06 00:00

  • 파리협상 최대난제 총선절차

    [이코노미스트 본사독점전재]「파리」협상수행에서 남은 최대의 난제는 총선거시행의 절차이다. 월남전의 당사자인「사이공」정부나 공산주의자나 그리고 미국도 총선거시행의 원칙에는 합의하고

    중앙일보

    1969.06.07 00:00

  • 우리말을 쓰자

    ○…해마다 한글날을 전후해서 무슨 학회니 전문 대학에서는 강연회「심포지엄」등과 기념행사가 있는 것을 우리는 보아온다. 더구나 한글의 단계적 전용론이 확실하고 보면 여간 반가운 일이

    중앙일보

    1968.10.31 00:00

  • 신춘「중앙문예」문학평론당선작

    1 김동리의 세계는 어스름 속에 묻혀있다. 자칫 밝아올 듯도 하지만 번번이 허망한 암흑의 나락 속으로 빠져들어간다. 그의 주인공들은 불가항의운명에 포박되어 있기 때문이다. 1936

    중앙일보

    1968.01.09 00:00

  • 역사성에서의 해방

    프랑스 지성계에 등장한 새로운 사조「구조주의」가 드디어 한국에 와 닿았다. 12일 내한한 불 그러노블 대학의 사회학 및 문화인류학 교수 질베르·듀랑(46)씨는 레비-슈트라우스, 후

    중앙일보

    1967.12.16 00:00

  • (36) 우리의 미래상을 탐구하는 「캠페인」|「커뮤니케이션」과 언어의 의미 - 대표집필 정인섭

    「그리하야」보다 「그래서」 요즘 학교의 학습 과정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위치가 중요시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사회 발전의 수단으로서 또는 각 개인의 사회적 지식 수준의 향

    중앙일보

    1967.09.07 00:00

  • 독후감「내가 훔친 여름」을 읽고

    김승옥 작 「내가 훔친 여름」에 투고된 독후감은 모두 2백 3통. 남 1백25, 여 78통. 이들은 한결같이 연재소설을 새로운 체제로 편집한 것엔 박수를 보냈다. 신문의 「매너리즘

    중앙일보

    1967.06.20 00:00

  • (1)2세교육(정종식)

    지난9월30일부터 10월12일까지 13일간 각사의 정치부장과 일부지방지의 편집국장등 일행20명은 성곡언론문학재단의 시찰계획에 따라 일본의 구주로부터 북쪽의 북해도에 이르기까지 두루

    중앙일보

    1966.10.15 00:00

  • 부정·부패의 근절책 없을까

    이 정권때부터, 5·16혁명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부정·부패란 말이 신문지상에나 또는 일상용어 중에 많이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이제 국민들은 이 어휘에 거의 무감각한 상태다. 국

    중앙일보

    1966.07.23 00:00

  • 부고론

    이틀이 멀다하고 「○○○대인전주○씨이노환…자이고부」하고 신문에 나는, 널리 사해동포를 향한 부고를 어떻게 고쳐볼 수 없을까. 개화에 근대화를 거듭해서도 가시지 않는 것은 가족제도와

    중앙일보

    1966.06.15 00:00

  • 이름짓는 방법

    『같은 값이면…』이라는 말을 흔히들 쓴다. 그렇게 말은 잘하면서도 실상 「같은 값」을 가지고 제대로 좋은 것을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 예의 하나가 이름 다는 법이다.

    중앙일보

    1966.05.06 00:00

  • 한국경제에 대한 현실화 논의 한계

    장 기획의 급작스런 물가 현실화론을 듣고 참을 수 없이 이제까지 한국 경제에 적용되어 온 현실화 또는 현실화 정책의 참뜻을 차제에 밝혀 두어야 되겠다. 환율 현실화, 금리 현실화에

    중앙일보

    1965.11.26 00:00

  • 올바르고 아름다운 한글의 순화

    오늘 10월9일은 훈민정음반포 5백 열 아홉 돌이 되는 한글날이다. 한문이 진서로 불리고 이독로써 간신히 우리의 의사를 표현해 오던 문화의 예속에서 벗어나 말과 글이 일치되고 문자

    중앙일보

    1965.10.09 00:00

  • (2)한글학자 유희와 정영호 교수

    식물학자가 1세기 전 한글 학자를 골똘히 연구하는 데는 그럴 까닭이 있다. 서울대 문리대 정영호(42)교수는「유희는 언문지의 저자로만 알려져 있지만 어디까지나 과학자」라고 말한다.

    중앙일보

    1965.10.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