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순수 국내 기술·부품만으로 최강 레이저 개발 가능”

    “순수 국내 기술·부품만으로 최강 레이저 개발 가능”

    포항 레이저 밸리 프로젝트는 ‘세계 최고 출력의 레이저’ 말고도 또 다른 목표를 갖고 있다. 외국에서 부품을 전혀 수입하지 않고 이런 레이저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책

    중앙일보

    2015.07.13 00:30

  • 포항에 세계 최고 출력 ‘엑사와트’ 레이저 단지 만든다

    포항에 세계 최고 출력 ‘엑사와트’ 레이저 단지 만든다

    레이저는 19세기 철, 20세기 전자에 이어 21세기를 이끌 과학기술로 꼽힌다. 국내 연구소에서 연구원이 고출력 레이저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 한동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레

    중앙일보

    2015.07.13 00:30

  • [인사] 언론 外

    ◆중앙m&b▶헤렌BU장(수석부장) 정영수▶슈어BU장 박성혜▶헤렌BM(부장) 김은정▶CP팀장(부장) 차윤경▶채널전략팀장 허준▶인프라운영팀장(부장) 이남택▶HR팀장(차장) 강용택▶여

    중앙일보

    2011.01.04 00:25

  • 1000조 분의 1초 포착 ‘X선 레이저 카메라’ 실용화 시대 성큼

    1000조 분의 1초 포착 ‘X선 레이저 카메라’ 실용화 시대 성큼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고등광기술연구소 교수가 반사거울을 통해 레이저가 여러 경로로 이동하는 것을 살펴보고 있다. [중앙포토] 1조 분의 1~1000조 분의 1초라면 얼마나 짧은지

    중앙일보

    2010.06.18 00:27

  • X선 레이저 증폭기 원리 첫 규명

    레이저의 꽃으로 불리는 X선 레이저를 만들 수 있는 증폭기의 원리와 특성이 규명됐다. 광주과학기술원 이종민·야눌레비치 교수, 김철민 박사팀은 X선을 증폭할 때 잡음과 파장을 모두

    중앙일보

    2010.02.26 03:50

  • 고등광기술연구소 광섬유·태양전지 세계가 알아줘

    고등광기술연구소 광섬유·태양전지 세계가 알아줘

    광주과기원 펨토과학연구실. 대학원생들이 새로운 광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공학동엔 색다른 현판이 걸려 있다. 이 현판엔 ‘이곳은 광주 광산업 육성 및

    중앙일보

    2009.08.24 00:22

  • 초고성능 레이저로 광합성 모습까지 포착

    식물의 잎에서 광합성이 일어나는 순간을 잡을 수 있는 카메라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현재는 없다. 그 순간이 너무나 짧기 때문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그런 ‘찰나의 순간’을 포착할

    중앙일보

    2008.10.20 00:13

  • 광과학상 오늘 첫 시상

    광과학상 오늘 첫 시상

    광주과학기술원은 13일 “이종민(65·사진) 광주과기원 고등광기술연구소장이 한국광학회에 발전기금을 내 ‘성도(晟途) 광(光)과학상’이 제정됐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최근 사재를

    중앙일보

    2008.02.14 05:47

  • [과학칼럼] 빛을 천천히 가게 할 수 있나요 ?

    오래전에 일일 과학교사로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재미있는 빛'이란 주제로 강의한 적이 있다. 강의 중 5학년 학생의 기발한 질문이 지금도 생각난다. 빛이 가장 빠르다고 했는데 빛을

    중앙일보

    2007.03.30 20:25

  • [과학칼럼] 별을 만드는 초강력 빛

    대학시절 지리산 뱀사골에서 본 밤하늘의 은하수는 아직까지 기억에 남아 있다. 금방이라도 쏟아질 것 같은 수많은 별들, 선명하게 반짝이는 별빛은 인간이 만든 조명보다 아름답다. 별

    중앙일보

    2007.03.23 20:47

  • [과학칼럼] 빛에 얼어버린 원자

    아이들은 초능력으로 악당을 무찌르는 만화 주인공들을 좋아한다. 그중에는 번개같이 빨리 움직일 수 있는 초능력을 가진 '플래시맨(Flash Man)'도 있다. 이 만화에서는 악당이

    중앙일보

    2007.03.16 18:56

  • [과학칼럼] 스스로 빛을 내는 가로수

    어린 시절 여름이면 시골에서 별처럼 빛을 깜박이며 날아다니는 반딧불이의 묘기를 자주 봤다. 그 아름다운 황록색 빛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중국 진나라 때 차윤(車胤)이라는 사람

    중앙일보

    2007.03.09 20:37

  • [과학칼럼] 극미량을 탐지하는 빛 지문

    봄이 왔다. 대지를 촉촉히 적신 봄비가 봄을 재촉하는 듯하다. 그런데, 봄바람을 타고 오는 초대받지 않은 손님도 있다. 중국의 사막에서 날아오는 황사가 그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

    중앙일보

    2007.03.02 20:51

  • [과학칼럼] 찰나의 세계를 보여주는 빛

    나는 '스펀지'라는 TV 프로그램을 즐겨 본다. 재미있는 현상을 과학적인 예를 들어 가며 쉽게 설명하기 때문이다. 그 프로그램에서는 현미경 영상이나 초고속 카메라 영상이 많이 등장

    중앙일보

    2007.02.23 19:50

  • 삼전도비 복구 방법 찾았다

    삼전도비 복구 방법 찾았다

    래커 스프레이로 낙서가 된 삼전도비(왼쪽). 스프레이를 뿌린 화강암에 레이저를 2~3분 쪼이자 본래의 화강암 색(클맆 위 네모)이 드러난다. 화강암의 표면은 전혀 손상이 없다.누군

    중앙일보

    2007.02.20 04:44

  • [과학칼럼] 나노가 만드는 아름다운 빛깔

    반짝 추위가 있었지만 입춘이 지나서인지 이내 사그라든다. 벌써 섬진강변 어느 마을에선가는 매화꽃 봉오리가 터질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을까. 계절마다 피고 지는 꽃들은 제각각 아름다

    중앙일보

    2007.02.16 18:25

  • [과학칼럼] 빛과 지구 온난화

    최근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2일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면 2100년에는 지구의 온도가 6

    중앙일보

    2007.02.09 20:37

  • [과학칼럼] 스타워즈가 현실로

    빛은 우주 탄생과 함께 방출됐다. 빛은 생명의 원천이다. 그러면 빛은 과연 무엇일까? 이 오랜 수수께끼는 1900년대 들어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유명 과학자들에 의해 비로소 풀렸다

    중앙일보

    2007.02.02 18:44

  • '빛 박사' 이종민 소장 새해 희망 말하다

    '빛 박사' 이종민 소장 새해 희망 말하다

    레이저는 인간이 만든 가장 아름답고 용도가 무궁무진한 빛으로 꼽힌다. 전구에서 나오는 빛처럼 여러 가지 색이 섞여 있지 않고 순수하게 한 가지 색만으로 이뤄졌으며, 인류가 들여다

    중앙일보

    2007.01.04 20:47

  • [과학중심사회] 光州 과학단지 가보니…

    광주시 북구 오룡동의 광주과학기술원 일대.이른바 '광주 첨단과학 산업단지'다. 그러나 광주과기원을 빼고 나면 건물이 눈에 띄지 않는다. 황량한 벌판이다. 광주과기원 부근은 국가와

    중앙일보

    2003.02.19 16:00

  • [MD논란 속 개발 앞다퉈]

    영화 '스타워즈' 가 현실로 다가오는 것일까. 미국이 미사일방어(MD)체제 구축을 강행키로 결정함에 따라 전세계가 벌집을 쑤셔놓은 듯 시끄럽다. 러시아.중국은 미국의 계획을 강력하

    중앙일보

    2001.06.22 00:00

  • [MD논란 속 개발 앞다퉈]

    영화 '스타워즈' 가 현실로 다가오는 것일까. 미국이 미사일방어(MD)체제 구축을 강행키로 결정함에 따라 전세계가 벌집을 쑤셔놓은 듯 시끄럽다. 러시아.중국은 미국의 계획을 강력하

    중앙일보

    2001.06.21 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