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한민국 ‘마이너리티 2세’ 그들의 외침 ② 불법체류 방글라데시인 초등생 민수

    대한민국 ‘마이너리티 2세’ 그들의 외침 ② 불법체류 방글라데시인 초등생 민수

    검은 피부의 방글라데시인 불법 체류자. 주민등록번호도 없지만, 민수(7·가명)의 태권도복 가슴엔 태극기와 ‘코리아’가 새겨져 있다. 1년 전부터 태권도를 배워 온 민수는 최근 1품

    중앙일보

    2009.12.21 03:33

  • ‘세계 어린이가 내 아이’란 영감 전하고파

    ‘세계 어린이가 내 아이’란 영감 전하고파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스티브 바라캇이 20일 서울 ING센터에서 세계 어린이헌정 축가 발표 기념으로 어린이들과 함께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다. 최승식 기자 아동

    중앙일보

    2009.11.24 15:19

  • ‘세계 어린이가 내 아이’란 영감 전하고파

    ‘세계 어린이가 내 아이’란 영감 전하고파

    스티브 바라캇이 20일 서울 ING센터에서 세계 어린이헌정 축가 발표 기념으로 어린이들과 함께 피아노를 연주하고 있다. 최승식 기자 관련기사 바라캇, 인권을 연주하다 아동 인권과

    중앙선데이

    2009.11.22 02:01

  • [내생각은…] 어린이 권리 개선, 한국은 몇 점?

    [내생각은…] 어린이 권리 개선, 한국은 몇 점?

    20일은 유엔 총회에서 '아동권리협약'이 채택된 지 17주년이 되는 날이다. 세계에서 미국.소말리아 등 두 나라를 제외한 192개국이 모두 비준한 이 협약은 "이 세상 모든 어린

    중앙일보

    2006.11.20 20:26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교양과 무질서(매슈 아널드 지음, 윤지관 옮김, 한길사, 304쪽, 2만2000원)=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 지식인 매슈 아널드(1822~88)가 사회 갈등과 계급

    중앙일보

    2006.08.25 20:28

  • 이승희 청보위위원장 온라인 대화

    이승희 청보위위원장 온라인 대화

    ▶ 이승희 청소년보호위원장이승희(李承姬) 청소년보호위원장이 16일 인터넷 중앙일보의 '정책 당국자와의 온라인 대화'에서 네티즌들과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의 얼굴 공개 방법'등 청소

    중앙일보

    2003.12.16 10:38

  • [사람 사람] 아동권리주간 선포식 연 이양희 교수

    "국내 아동 인권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아동권리센터를 세우는 게 필요합니다. 비정부기구(NGO)들과 기업들이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셨으면 해요." 17일 오후 7시 서울 용산구 백범

    중앙일보

    2003.11.17 18:26

  • [마이너리티의 소리] '사랑의 매'도 비교육적이다

    얼마 전 술 먹고 난동을 피우다 경찰관을 폭행하여 연행된 시민을 홧김에 구타한 경찰들을 사법처리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공권력에 도전한 범법자라도 사사로이 신체적 벌을 가해서는 안

    중앙일보

    2003.09.24 20:49

  • 북한 어린이 절반이 영양실조

    "모든 어린이의 생명은 존중돼야 하며, 어린이는 최상의 건강을 누릴 권리를 가진다." 1989년 유엔총회에서 채택한 '유엔아동권리협약' 내용이다. 그러나 지금 세계적으로 어린이들이

    중앙일보

    2003.03.04 11:24

  • [NIE] 북한 어린이 절반이 영양실조

    "모든 어린이의 생명은 존중돼야 하며, 어린이는 최상의 건강을 누릴 권리를 가진다." 1989년 유엔총회에서 채택한 '유엔아동권리협약' 내용이다. 그러나 지금 세계적으로 어린이들이

    중앙일보

    2003.03.03 17:51

  • [시론] 어린이가 행복할 권리

    우리는 누구나 모든 어린이가 행복한 가정에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며 교육받고 건강하게 자라 훌륭한 시민이 돼주기를 소망하고 있다. 이런 어린이들이야말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안정된

    중앙일보

    1999.11.20 00:00

  • "모든 사회복지 어린이 보호가 우선"

    「어린이의 권리」가 마침내 국제협약으로 2일 발효됐다. 어린이와 청소년 역사에 획기적인 이정표가 될 이 협약은 작년 11월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의결되었다. 1백3개국의 조인과

    중앙일보

    1990.09.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