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체 거부반응 유전자 제거된 복제 돼지 탄생

    한국 과학자 3명이 참가한 미국의 대학.바이오벤처 공동 연구진이 인체 장기이식 때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한 녹아웃(knock-out) 돼지를 복제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중앙일보

    2002.01.03 11:05

  • [의료계의 혁명 '줄기세포 치료'란]

    논란 거리인 인간 배아(胚芽) 복제가 미국 생명공학회사인 ACT사에 의해 일단 성공(본자 11월 27일 1, 3면) 하면서 줄기세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줄기세포란 간이나

    중앙일보

    2001.12.03 09:56

  • [의료계의 혁명 '줄기세포 치료'란]

    논란 거리인 인간 배아(胚芽)복제가 미국 생명공학회사인 ACT사에 의해 일단 성공(본자 11월 27일 1, 3면)하면서 줄기세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줄기세포란 간이나 폐

    중앙일보

    2001.12.03 09:42

  • [의료계의 혁명 '줄기세포 치료'란]

    논란 거리인 인간 배아(胚芽)복제가 미국 생명공학회사인 ACT사에 의해 일단 성공(본자 11월 27일 1, 3면)하면서 줄기세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줄기세포란 간이나 폐,

    중앙일보

    2001.12.03 09:15

  • [의료계의 혁명 '줄기세포 치료'란]

    논란 거리인 인간 배아(胚芽)복제가 미국 생명공학회사인 ACT사에 의해 일단 성공(본자 11월 27일 1, 3면)하면서 줄기세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줄기세포란 간이나 폐,

    중앙일보

    2001.12.03 00:00

  • 독, 연구용 인간배아세포 수입 논란

    독일의 한 대학교수가 호주에서 의학연구용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수입할 계획이라고 발표, 생명윤리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독일 북부도시 킬에 위치한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대학

    중앙일보

    2001.06.29 10:56

  • [배아연구 통제 '생명윤리법'] 뭘 풀고 뭘 묶었나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는 울고 마리아병원 박세필 박사는 웃었다. 黃교수는 1998년 복제소 영롱이를 탄생시킨 체세포 복제기술의 일인자. 지난해 사람의 귀 피부에서 세포를 떼어내

    중앙일보

    2001.05.19 09:43

  • [배아연구 통제 '생명윤리법'] 뭘 풀고 뭘 묶었나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는 울고 마리아병원 박세필 박사는 웃었다. 黃교수는 1998년 복제소 영롱이를 탄생시킨 체세포 복제기술의 일인자. 지난해 사람의 귀 피부에서 세포를 떼어내

    중앙일보

    2001.05.19 00:00

  • [배아연구 통제 '생명윤리법'] 뭘 풀고 뭘 묶었나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는 울고 마리아병원 박세필 박사는 웃었다. 黃교수는 1998년 복제소 영롱이를 탄생시킨 체세포 복제기술의 일인자. 지난해 사람의 귀 피부에서 세포를 떼어내

    중앙일보

    2001.05.18 18:45

  • 지놈구조 발표 100일...해외 실용화 연구 치열

    인간유전체(지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지 1백일이 지났다. 미국 정부의 발표 이후 세계 각국은 유전자지도를 이용한 ''꿈의 신약'' 을 만들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막대한

    중앙일보

    2000.10.05 10:08

  • [지놈구조 발표 100일] 해외 실용화 연구 치열

    인간유전체(지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지 1백일이 지났다. 미국 정부의 발표 이후 세계 각국은 유전자지도를 이용한 '꿈의 신약' 을 만들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막대한 부를

    중앙일보

    2000.10.05 00:00

  • [지놈구조 발표 100일] 해외 실용화 연구 치열

    인간유전체(지놈) 프로젝트가 완성된 지 1백일이 지났다. 미국 정부의 발표 이후 세계 각국은 유전자지도를 이용한 '꿈의 신약' 을 만들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막대한 부를

    중앙일보

    2000.10.04 18:04

  • 영.일 연구팀 돼지 복제 성공

    동물중에서 복제가 가장 어렵지만 인간 이식용 장기를 생산할 수 있는 동물로는 가장 적합한 돼지가 영국과 일본 연구팀에 의해 성공적으로 복제되었다. 세계최초의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켰

    중앙일보

    2000.08.17 09:37

  • [98국내외 의학계]눈부신 진보…거듭된 윤리논란

    '비아그라에서 인간복제까지.' 올 의학계가 거둔 성과다. 사실 올해만큼 의학 소식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적도 드물었다. 질병퇴치는 물론 인류의 사상과 문화, 생활습관에까지 영향

    중앙일보

    1998.12.30 00:00

  • 생명조작 기술 '비윤리적'논란속 질병퇴치 부푼 꿈

    소와 사람의 세포를 하나로 합하는가 하면, 특정 장기만을 유도해낼 수 있는 세포를 키우는 등 인간의 생명조작기술이 '눈부신' 발달을 거듭하고 있다. 80년대 중반 꽃을 피우기 시작

    중앙일보

    1998.11.23 00:00

  • 사람+소 '반인반수' 미국서 기술개발 성공

    공상과학영화에나 나올법한 반인반수 (半人半獸)가 탄생할 것인가. 뉴욕타임스지는 12일 미국의 유전공학회사 ACT사와 미국 매사추세츠대학팀이 공동으로 인간과 소의 세포를 융합시켜 자

    중앙일보

    1998.11.13 00:00

  • 인간크기 70㎏ 송아지에 이식 12시간 생존|"한국형 인공심장개발 큰 진전"

    「한국판 바니 클라크씨」의 출현은 가능할것인가. 서울대 민병구(의공학)·한동철(기계설계학) 박사등 인공심장연구팀은 최근 대한의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전기기계식인 한국형 인공심장을

    중앙일보

    1990.06.09 00:00

  • (23) 생체재료 인공장기|뇌·위장 외는 모두 대체할 수 있다

    진단과 치료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오고있는 현대의학은 치환의학이라는 또하나의 분야를 개척하면서 인간의 생명을 연장시키거나 재활을 돕고 있다. 이의 주역이 바로 장기이식과 인

    중앙일보

    1984.06.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