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임상의학에 쏠림 심해, K백신 만들 기초의학자 씨 말라

    임상의학에 쏠림 심해, K백신 만들 기초의학자 씨 말라

     ━  [SUNDAY 추적] 백신 개발 낙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가장 중요한 만큼 임상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백신 관련해 지

    중앙선데이

    2020.12.26 00:20

  •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온라인 강의 20% 넘으면 안돼” … 대학 옥죄는 교육부

    [이주호의 퍼스펙티브] “온라인 강의 20% 넘으면 안돼” … 대학 옥죄는 교육부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ASU는 재정의 9%만 주 정부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주 미국 애리조나주립대(ASU) 세미나실에서 20명이 넘는 한국 대학 총장

    중앙일보

    2018.10.22 00:02

  • [신기술의 허와 실] 신기술일까, 신기루일까?

    [신기술의 허와 실] 신기술일까, 신기루일까?

    [이코노미스트] 사물인터넷·3D프린팅, 개인 소비자가 쓰기엔 무리 … 신기술 테마주 투자 유의해야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기술이나 개념이 등장하는 시대다. 3차원(3D)프린터,

    온라인 중앙일보

    2015.06.16 00:01

  • [중앙시평] 대학 연구, 한 단계 도약해야

    [중앙시평] 대학 연구, 한 단계 도약해야

    오세정기초과학연구원장서울대 교수·물리학 우리나라 대학들은 지난 20여 년간 양적으로는 눈부시게 발전해 왔다. 석·박사 과정의 학생 수는 급격히 증가했고, 이공계 분야의 논문 수를

    중앙일보

    2013.10.31 00:25

  • “한양대 공대생이면 취직 걱정은 하지 말라는 말에 안도했죠”

    “한양대 공대생이면 취직 걱정은 하지 말라는 말에 안도했죠”

    에너지공학과 연구실에서 반도체기판을 살펴 보고 있는 고나경양과 이재룡군. [황정옥 기자] 이달 8일 이재룡(영동일고 2)군과 고나경(영동일고 2)양은 한양대 에너지공학과를 방문했

    중앙일보

    2010.12.13 00:08

  • 서강·광운대, SCI논문·기술특허 쏟아져 ‘R&D 캠퍼스’

    서강·광운대, SCI논문·기술특허 쏟아져 ‘R&D 캠퍼스’

    서강대는 교수연구 부문에서 3위로 뛰어 올랐다. 전통적으로 인문사회가 강했으나 이공계 교수들의 연구 성과가 급신장했다. 서강대 송태경 교수(왼쪽·전자공학)와 김현철 교수(화공생명공

    중앙일보

    2010.09.28 01:14

  • [행복한책읽기Review] 점수 따기, 취업 고시는 '공부계의 쑤레기'

    [행복한책읽기Review] 점수 따기, 취업 고시는 '공부계의 쑤레기'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 고미숙 지음, 그린비, 224쪽, 1만1900원 자나깨나 부모.교사의 입에서 떠나지 않는 말은 "공부해라!"다. 공부하란 말만 안 들어도 살 것 같았던

    중앙일보

    2007.05.18 20:01

  • [week& 기획] 4월 21일~27일 무슨 일 있었나

    [week& 기획] 4월 21일~27일 무슨 일 있었나

    *** 인구가 곧 국력인 시대 출산 여성근로자 90일치 휴가급여 정부서 전액 지원키로. 자연 유산이나 사산한 경우도 45일간 출산휴가. 300인 미만 기업은 내년부터, 300인 이

    중앙일보

    2005.04.28 17:46

  • 인문학 살리기'1,200억 처방'

    교육부와 학술진흥재단이 추진해 최근 매듭 지은 '기초학문육성 주요사업' 선정 작업은 지원 규모가 1천2백여억원에 달하는데다 1천2백여명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우리 대학가에서

    중앙일보

    2002.08.05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65)

    (65)끝. 후학에 주는 충고 필자는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앞으로도 건강이 허락하는 한 여생을 연구에 매진할 생각이다. 현재 유행성출혈열 등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 질환을 한꺼번에 예

    중앙일보

    2001.01.12 00:00

  • [분수대] 돈과 과학자

    시화지역 주민들이 고압선의 지중화 (地中化) 를 요구하고 있지만 한전측은 공사비 문제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화지역만이 아니다. 경관 (景觀) 과 안전 문제 때문에 공중의 고압선

    중앙일보

    1999.08.02 00:00

  • 기초과학 외면·기능에 치중한 해|원자력발전 개시·간염「백신」 개발

    원자력시대의 문을 연 77년의 한국과학기술계는 또한 기능의 저력을 빛 보인 한해였다. 그러나 기초과학 분야는 여전히 외면을 받은 채 이렇다 할 성과하나 거두지 못한 해이기도 하다.

    중앙일보

    1977.12.29 00:00

  • (2)교수

    오래 전부터 교직은 여성의 적성에 알맞는 직업으로 인식되어왔고, 그 가운데서도 여성이 대학의 강단에 서는 것은 지성의 첨단을 걷는 선구적인 역할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것은 대학에서

    중앙일보

    1972.01.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