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오염 일으키는 전쟁…알프스 빙하 속 '비스무트'도 전쟁 흔적
1991년 2월 걸프전 당시 파괴된 탱크 뒤로 화재가 발생한 유정에서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당시 패퇴하던 이라크군이 유정에 불을 지르는 바람에 대규모 환경 오염이 일어났다.
-
사막 같았던 독도 바다 밑, 해조 막 뜯어먹는 성게 제거했더니…
성게가 해조류를 먹어 치운 뒤 바위가 드러난 모습. '바다 사막화'로 불리는 갯녹음의 현장이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바위나 자갈이 깔린 바다 밑바닥에서 해조류가 사라지는 갯녹음.
-
계묘년…과학의 눈으로 본 토끼
토끼를 앞두고 설치한 용인 에버랜드의 토끼 조형물 [에버랜드 제공] 2023년 계묘년(癸卯年)은 '검은 토끼의 해'다. 토끼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가축으로 널리 사육됐고, 이
-
사흘 스모그 뒤이어 오늘은 황사…미세먼지 크기가 확 달라졌다
황사와 스모그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 8일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게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서울, 인천, 경기, 대구, 경북,
-
평양 초미세먼지, 서울의 2배…남포·북창 등 서부 오염 심하다
북한 평양시 평천구역에 있는 평양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연기가 나고 있다. 석탄을 주 연료로 때는 이 발전소 연기는 평양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이다. 이 발전소는 1965년 옛 소련의
-
콜레라 균 접촉해도 안 걸리는 사람…비밀은 장 점액에 있었다
2019년 3월 예멘 사나에서 콜레라 예방을 위해 노동자들이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설사와 탈수 현상으로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콜레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
-
"바이러스와 함께 진화한 남세균 …23억년 전 지구에 산소 공급"
폭염이 이어지던 지난 8월 4일 경남 창녕군 길곡면과 함안군 칠북면 경계에 위치한 창녕함안보 일대 낙동강에서 짙은 녹조가 관찰되고 있다.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가 자라면서 강물이
-
스테이크 속 대장균 99% 죽인다…식중독 막을 박테리오파지
대장균 표면에 붙어있는 T1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공격하는 바이러스다. [중앙포토] 야채나 육류 등이 병원성 대장균에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하
-
하와이 마우나 로아 화산 분출… 지구 CO2 대표측정소 운영 중단
지난달 30일 미국 하와이 빅아일랜드의 마우나 로아 화산이 용암을 분출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에서 촬영한 항공사진. AFP=연합뉴스 지난달 27일 밤(현지 시각) 미국 하와이
-
본지 강찬수·최준호 기자 ‘2022 과학언론상’
강찬수(左), 최준호(右) 한국과학기자협회는 14일 중앙일보 강찬수(왼쪽 사진) 환경전문기자와 최준호(오른쪽) 과학·미래전문기자 등 ‘2022과학언론상’ 수상자 16명(팀)을 선
-
중앙일보 강찬수·최준호 기자 ‘2022 과학언론상’ 수상
2022 과학언론상을 수상한 중앙일보 강찬수 환경전문기자(왼쪽)와 최준호 과학·미래전문기자. 과학기자협회 중앙일보 강찬수 환경전문기자와 최준호 과학·미래전문기자가 ‘2022 과학
-
한반도 더 세게 때리는 태풍…뜨거운 바다, 발생지 밀어올렸다
지난달 31일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관측한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모습. NASA 태풍이 달라지고 있다. 한반도에 더 가까운 곳에서 만들어져 더 큰 바람을 몰고, 더 많은
-
4조 피해 매미 닮은 그놈 온다…'1장 5000만원' 그 지도 꺼내라
제18호 태풍 차바가 접근했던 지난 2016년 10월 5일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앞 방파제에 집채 만하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중앙포토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제11호 태풍
-
잠 못드는 한국, 최악은 이태원…"24시간 전화벨 울리는 셈"
서울 등 대도시에서는 심야 시간대에도 차량 통행이 많아 야간 소음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다. 강찬수 기자 요즘 열대야 탓에 밤잠 이루기 힘드시죠. 전기 요금 걱정에 매일
-
개딸도 모르는 개딸…이재명 측 일각 "도움 되지만 불안" [위기의 민주당]
#.1 지난 5일 인천 갈산동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 사무실 입구엔 “나잇값 못하는 노망난 할배”라고 적힌 3m 길이 자필 대자보가 붙었다. 지방선거 패배 후 대표적 친
-
첫 유엔 환경회의 50주년…환경 살리는 노력 계속돼야 한다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됐던 유엔 인간 환경 회의 전체 회의 장면. AFP=연합뉴스 5일은 세계 환경의 날입니다. 우리나라도 1996년부터 법정 기념일로 정해 매년 정
-
"강물 느려지면, 남세균이 지배종 된다…원상복구 쉽지 않아"
댐 건설로 강물 유속이 느려지면 식물성 플랑크톤이 크게 늘어나고, 남세균의 성장이 두드러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해 8월 4일 대구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와 경북 고령군
-
뿌연 죽음의 그림자 "미세먼지때 우울증 극단선택 19% 증가"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하루 앞둔 지난 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왕산 인근에서 바라본 남산 일대가 중국 네이멍구에서 발생한 황사의 영향으로 뿌옇다. 연합뉴스 미세먼지 오염
-
"살충제와 콘크리트 포장 탓에 도시·농촌 야생벌 90% 사라져"
12일 충북 청주의 한 양봉장에서 양봉업자가 아카시꿀을 채밀하기 위해 벌통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보라매공원에서 20년 이상 모니터링을 하고 있는데, 과거보다 벌이 9
-
'침묵의 봄' 책 출간 60주년…오늘도 새와 곤충은 죽어간다
지난 1월 2일 아랍에미리트에 폭우가 내린 후 부르즈 칼리파 두바이 타워 근처에 빗물 웅덩이가 생기면서 화려한 플라밍고가 모여 들었다. AFP=연합뉴스 "미 대륙 한가운데쯤 모든
-
녹조 뒤덮인 호수, 물고기 잡았더니 맑아졌다…中 기적의 실험
장마가 끝나고 낮 기온이 35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진 지난해 7월 28일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 일대 대청호 위를 녹조가 뒤덮고 있다. 연합뉴스 매년 여름이면 낙동강과
-
매년 1만2000명 죽었다…인류 위협하는 '공포의 살인자' 셋
2019년 12월 30일 호주 베른스데일에서 연기 기둥 아래로 산불이 치솟고 있다. AP=연합뉴스 소음 공해로 유럽연합(EU) 내에서 매년 조기 사망하는 사람 1만2000명, 매
-
역대 중국 왕조 붕괴, 지구 곳곳 화산 분출 탓?
일본 규슈 구마모토(熊本)현의 활화산 아소 산이 지난달 20일 분화해 화산재가 연기처럼 솟구치고 있다. 해발 1506m의 나카다케(中岳) 제1 화구에서 분출된 화산재는 3500m
-
동아시아 '중금속 바다'…중국서 강물 타고 수은이 '콸콸콸'
지난 1월 중국 동부 장쑤성 난퉁 부근에서 촬영한 양쯔강의 화물선 모습. 유량이 많은 만큼 양쯔강을 통해 연안으로 유입되는 수은의 양도 동아시아에서 가장 많다. AP=연합뉴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