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천산갑' 100마리, 中식당 냄비행 위기 탈출

    '천산갑' 100마리, 中식당 냄비행 위기 탈출

    희귀동물로 꼽히는 천산갑 100여 마리가 하마터면 중국 식당 냄비 속으로 들어갈 뻔한 사건이 일어났다. AFP통신은 100마리가 넘는 천산갑을 포획해 중국 식당에 식용 재료로 넘

    중앙일보

    2007.11.12 17:25

  • '뱀술' 정력에 좋다..정말 그럴까?

    보양식의 제철로 꼽히는 여름을 맞아 영양탕, 삼계탕을 비롯해서 몸에 좋다는 음식들이 날개 돋힌 듯이 팔리고 있다. 특히 원기회복은 물론 정력에 좋다는 이유들로 인해 일부 음식의 경

    중앙일보

    2007.08.11 09:28

  • 돈되는 희귀 애완동물 밀수 극성

    돈되는 희귀 애완동물 밀수 극성

    대학생 안모(25)씨는 5월 유황앵무를 사려고 인터넷을 뒤졌다. 호주가 원산지인 이 새는 주인을 잘 따라 인기가 높다. 안씨는 인터넷 애완동물 동호회의 게시판에서 '분양광고'를 보

    중앙일보

    2007.07.18 04:28

  • 주일우의 과학문화 에세이-이미지에 걸린 과학

    주일우의 과학문화 에세이-이미지에 걸린 과학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로 꼽히는 유인원에는 고릴라·오랑우탄·침팬지, 그리고 보노보가 있다. 보노보는 처음에 침팬지의 아종인 피그미 침팬지로 알려졌다. 하지만 90년 전쯤부터 사람

    중앙선데이

    2007.06.30 19:37

  • 과학 영농이 블루오션 만든다

    유전자원은 미래 농업의 寶庫…장미 로열티로 나가는 돈 수백억원 한·미 FTA 타결에 따라 국내 산업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특히 미국의 값싼 농축산물이 들어오면 상대적으로 비

    중앙일보

    2007.04.21 16:12

  • [클릭joins.com] 이 나라 개는 '과우과우' 짖네요

    [클릭joins.com] 이 나라 개는 '과우과우' 짖네요

    조인스 블로거 한상호(자영업.사진)씨는 22년째 아르헨티나에서 산다. 취미는 사냥과 낚시다. 이 때문에 노상에서 가끔 자기도 한다. 그의 닉네임은 '형사 콜롬보'. "돈을 좇기

    중앙일보

    2007.03.23 05:32

  •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새로나온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 탐史(마리아 루시아 G 팔라레스-버크 지음, 곽차섭 옮김, 푸른역사, 607쪽, 2만5000원)=잭 구디, 에이사 브리스, 다니엘 로슈, 피터 버크 등 20세기 후

    중앙일보

    2007.02.02 22:44

  • 멸종위기 조류 인터넷서 수백만원에 매매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 거래가 금지된 희귀 조류들이 밀반입돼 국내 인터넷 사이트에서 수백만원이 넘는 고가에 거래되고 있다고 10일 한국일보가 보도했다. 유황앵무, 아마존앵무, 금강

    중앙일보

    2006.11.10 09:19

  • 해삼 못먹게 되나?…멸종위기 동물 간주 규제 움직임

    앞으로는 해삼 먹기도 힘들어질지 모른다. 해삼을 '멸종위기 동물'로 간주하고 국제 거래를 규제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신문 쿠키뉴스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중앙일보

    2006.07.22 12:12

  • [고선지 루트 1만km] 12. 동서 갈림길 : 카스~키르기스스탄

    [고선지 루트 1만km] 12. 동서 갈림길 : 카스~키르기스스탄

    중국에서 키르기스스탄 국경을 넘자 아름다운 대자연이 펼쳐졌다. 유르탕(유목민 천막)과 말소 등 가축들이 풀을 뜯는 모습이 조화를 이룬 초원은 매우 평화로워 보였다. 조용철 기자동

    중앙일보

    2005.11.01 06:26

  • [과학 칼럼] 단군 후예가 곰 보신관광이라니

    [과학 칼럼] 단군 후예가 곰 보신관광이라니

    5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포유류 학술회의가 이웃나라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 시에서 7월 29일부터 8월 5일까지 일주일 동안 열렸다. 아시아지역에서 처음으로 열린 이 대회에는 55개국

    중앙일보

    2005.08.11 20:56

  • [과학으로 세상보기]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부활

    오늘 넉넉한 지리산의 자연으로 북한에서 보내온 1년생 반달가슴곰 여덟 마리가 첫발을 내딛는다. 북한의 묘향산.백두산 등 산림에서 사로잡힌 야생 반달가슴곰의 후손으로 지난해 1월 전

    중앙일보

    2005.06.30 21:22

  • SBS 'TV 동물농장', 2년 넘게 고릴라·침팬지 생태 추적

    SBS 'TV 동물농장', 2년 넘게 고릴라·침팬지 생태 추적

    #1 서아프리카 기니의 보소숲. 2003년 말 이곳 일대에 전염병이 돌았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 침팬지들이 먼저 죽어갔다. 이때 카메라에 잡힌 한 어미의 눈물겨운 모정. 차가워진

    중앙일보

    2005.03.23 16:28

  • [노트북을 열며] 반달곰과 쌀

    "한국에 수천 마리의 반달곰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사람들의 관심이 온통 멸종된 지리산 토종 반달가슴곰의 혈통 복원에만 쏠려 있지만 정작 전국의 곰 농장에는 많은 수

    중앙일보

    2005.01.13 18:39

  • 러시아 반달곰 지리산에 푼다

    러시아 반달곰 지리산에 푼다

    ▶ 국내에 들여와 지리산에 방사 될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새끼 반달가슴곰. 지리산에 풀어놓을 러시아산 야생 반달가슴곰이 곧 국내에 들어온다. 1997년 중국을 통해 백두산 반달가슴

    중앙일보

    2004.09.30 18:27

  • 국내 서식않는 가면올빼미 사체 발견

    국내 서식않는 가면올빼미 사체 발견

    국제적 보호조류인 가면올빼미(Eastern Grass Owl)가 죽은 채 발견됐다. 국내선 처음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해 12월 25일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 예리 일

    중앙일보

    2004.01.16 18:16

  • '웅담 밀렵' 국제 망신

    미국에서 곰을 밀렵하거나 가죽이나 쓸개.발바닥 등을 암시장에서 거래해 온 한국인 1백여명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특히 이들이 밀렵한 곰의 쓸개.발바닥 등은 대부분 한국으로 밀반입된

    중앙일보

    2004.01.10 07:35

  • 中 '4敵' 소탕작전 나서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진원지로 알려진 중국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에서 쥐.바퀴벌레.파리.모기를 사스 전파의 '4적(敵)'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박멸 캠페인을

    중앙일보

    2004.01.09 18:16

  • [행복한 책읽기] '동물원의 탄생'

    [행복한 책읽기] '동물원의 탄생'

    미국 역사학자 니겔 로스펠스가 쓴 『동물원의 탄생』은 원제 ‘야만과 짐승(Savages and Beast)’에서 책의 성격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교육·오락·과학이란 합리적 명분 아

    중앙일보

    2003.09.05 17:48

  • [식약청] 캥거루.오소리.뉴트리아 식품원료 허용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캥거루와 오소리, 뉴트리아 고기를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개정, 고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가운데 캥거루 고기는 수출국 정부

    중앙일보

    2003.07.15 13:30

  • 中, 베이징 식당에서 야생동물 식용 금지

    중국은 수도 베이징 내 식당에서 뱀, 거북을 비롯해 1천800종이 넘는 야생동물의 식용 판매를 금지할 것이라고 관영 일간 '북경오락신보'가 3일 보도했다. 식당의 금지 메뉴에는 희

    중앙일보

    2003.07.04 15:08

  • EBS 자연다큐 '種의 묵시록'

    EBS 이연규(41)PD는 자연 다큐멘터리 전문이다. '하늘다람쥐의 숲'(97), '삼광조'(99) '담비의 숲'(2002) 등 90년 입사 이후 지금까지 주로 자연 다큐물 제작에

    중앙일보

    2003.04.08 18:42

  • 물개·바다표범 "비아그라 고맙다"

    남성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가 멸종위기의 동물을 구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CNN은 7일 미 알래스카대의 프랭크 폰 히펠 교수의 조사보고서를 인용, "비아그라가 보급되기 시작

    중앙일보

    2002.11.09 00:00

  • 중국 곰들, '쓸개즙 공포' 탈출구 찾는다

    중국 곰들, '쓸개즙 공포' 탈출구 찾는다

    사육되는 곰의 대부분은 아주 어릴적에 야생에서 포획되기 때문에 생존기술을 거의 습득하지 못했다. 중국 국경 인근의 러시아 영토 안에 매복해 있던 보안군이 밀수 용의자들을 급습했다.

    중앙일보

    2002.05.31 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