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보호수

    식물은 지구상의 어디에나 있다. 『이남의 「코스모스」가 이북에도 피어 있었다』는 말은 적어도 생물학에선 별 감동이 없다. 너무도 망연한 자연의 섭리이다. 식물처럼 덕스러운 생물도

    중앙일보

    1972.09.05 00:00

  • 개원된 남산 식물원서 알아본 선인장이 이모저모

    지난 10일 서울 남산 식물원에 선인장 식물원이 개원한 이래 연일 많은 시민과 선인장 애호가들이 붐비고 있다. 선인장은 분재배로 실내에서 기르기 쉽고 다양하기 때문에 취미대상으로도

    중앙일보

    1971.09.13 00:00

  • 자연의 실체-울릉도

    이번 한국자연보존연구회가 실시한 울릉도 학술조사는 문화공보부의 위촉에 의한 것이므로 천연기념물의 보존실태를 파악하여 과학적인 보존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천연자원의 개발방도를 강구하려

    중앙일보

    1971.08.23 00:00

  • (292)우리 나라 화초육종의 현황과 문제

    현재의 재배화초는 모두가 토산종을 개량한 것이다. 처음에 관상을 위해서 품종이 개량됐고 부분적으로 향료의 목적으로 개량되었는데 오늘날 화훼의 품종은 3만종에 육박한다. 장미는 월동

    중앙일보

    1971.05.15 00:00

  • 존폐의 기로에 선 홍릉 임업시험장

    국내 최대의 식물원인 서울 청량리 소재 임업시험장이 정부의 과학「센터」건립계획으로 폐기될 위기에 처했다. 지난 14일 과학기술처장관이 산림청장에게 보낸 임업시험장의 관리이관요청 공

    중앙일보

    1971.01.28 00:00

  • 최현섭씨에 이박

    최현섭씨(35)가 지난 3월 일본 동경대에서 『암 처리한 후에 있어서 채두유식물의 생장해석』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씨는 62년 도일, 동경대 대학원에서 식물학을 전공했다.

    중앙일보

    1970.04.22 00:00

  • 수술의 꽃가루 배양만으로 인공 벼·담배 재배|원자력청 한창렬 박사 성공

    원자력청 방사선 농학연구소에서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수술(웅약)의 꽃가루(사람으로 치면 남자의 정자)만을 배양해서 인공벼와 인공연초를 재배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양란의 뿌리의 생장

    중앙일보

    1969.10.22 00:00

  • (147)남국의 정취|제주 파이내플

    감미롭고 사근한-어쩌면 방순하다 할「파이내플」, 방향과 생김새가 아무래도 우리 나라 아닌 이국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파이내플」 이 6월의 밝은 햇살을 담뿍 받으며 탐스럽게 익어간

    중앙일보

    1968.06.29 00:00

  • (2)어디까지 왔나 - 활기 띈 기초과학

    67년의 과학기술 붐은 순수학문에 속하는 과학이라 하여 한동안 산업계서 소외되었던 「기초과학」부문에도 활기를 불어넣었다. 최근까지 물리·화학·생물·지학 등 순수과학은 순전한 「응용

    중앙일보

    1967.12.14 00:00

  • 무방비 상태의 안전도(상)

    충해와 병해로부터 농작물을 지키려는 인간의 노력은 놀라울이 만큼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해충을 없애려면 익충도 따라서 변을 보게 마련. 진디물에 뿌린 약이 나비를 앗아가고 그

    중앙일보

    1967.05.27 00:00

  • 핵개발 평화이용 「무드」

    6일은 원폭의 생일. 21년전 이날 영국은 일본광도에 첫 원자탄을 던져 2차 대전의 마지막을 재촉했다. 그 후 10년여 계속된「원자력시대」는 잇따른 「우주시대」의 개막으로 그 빛을

    중앙일보

    1966.08.06 00:00

  • 여름방학

    더위, 비, 바람 하면 여름을 연상하지만 이들은 온대지방에서는 생물의 생성발육, 번성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모든 동물, 모든 식물, 미생물까지도 7, 8월이 되어야 제 세상을

    중앙일보

    1966.07.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