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수재 대비

    알맞은 기후·풍토로 천혜의 농업국임을 자랑해온 우리나라는 근년에 이르러, 특히 8·15해방 이후부터는 거듭되는 남·도벌 등으로 산림이 황폐해지면서 해마다 가뭄소동과 물난리를 연례행

    중앙일보

    1967.06.30 00:00

  • (26) 창원군

    우리나라 서남연안을 휩쓸고 있는 굴 양식 「붐」이 창원에서 제자리를 찾았다. 굴하면 창원의 대명사처럼 된 것도 이 때문. 길고 아늑한 남해의 자연만을 따라 40여개의 어촌계가 작년

    중앙일보

    1967.04.04 00:00

  • 여·야 공천심사 거의 끝내

    공화·신민 양당의 국회의원 공천심사는 최종단계에 접어들어 공화당은 공천예비심사를 이미 마쳐 곧 당무회의 의결과 박 총재의 재가를 얻어 오는 15일께 발표할 예정이며 신민당은 6일까

    중앙일보

    1967.03.06 00:00

  • (15)전남나주군

    광주에서 「버스」로 동남을 향해. 2시간남짓 달리면 우리나라에서 첫손 꼽히는 배(이)의 고장 나주에 이른다. 배말고도 사과·감·포도·복숭아등의 과일이 많이 산출된다. 배의 생산량은

    중앙일보

    1966.11.17 00:00

  • 경남 동래군

    전국 1백39개 군 중에서 다섯번째로 예산이 적은 가난한 동래군은 부산직할시에 눌려 발버둥을 치고 있다. 1년간 군비예산은 고작 3천8백만 원. 부산시가 직할시로 승격됨에 따라 구

    중앙일보

    1966.08.25 00:00

  • (하)

    김현옥 시장이 발표한 바 서울 도시 계획을 완성하자면 24년간 3천2백35억원이 필요하다. 이 액수는 어디까지나 실무자들의 추산. 실제로는 4천억원 정도, 아니 그 이상 들지도 모

    중앙일보

    1966.08.23 00:00

  • 「대 서울」백서|5백만 목표한 「마스터·플랜」발표

    13일 상오 김 서울시장은 올해부터 앞으로 24년 동안에 걸쳐 시행될 인구 5백만 명을 목표로 하는 대 서울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김 시장은 15일부터 이 「마스터·플랜」을

    중앙일보

    1966.08.13 00:00

  • 산하(13)「금수강산의 기원」…수재없는 옥토|다목적 「댐」의 웅도를 펼쳐라!

    예부터 일러 치산치수는 치정의 대도라 했다. 물을 다룰 수 있는 힘을 보유하는 것-. 이것은 곧 국력을 배양할 수 있는 소지를 마련하는 가장 근본적인 명제였다. 「물싸움」-. 물

    중앙일보

    1966.07.19 00:00

  • -조국에 돌아와서-④|김소운

    부산서 제일번화한「메인·스트리트」를 지금은 광복동이라고 부리지만 일제시대 이름은「나가떼도리」(장수통)다. 여기「나쓰가와」(하천)라는 일인상점이 있었다. 4층「빌딩」의 벽에 커다랗게

    중앙일보

    1965.10.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