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민가사유지

    나라를 다스리는 어른들은 다 공부를 많이 해서 잘 이해하고 있지만 백성들이야 어디 그러냐. 그러니 일일이 가르쳐 주고 뭐하고 할 겨를이 없으니 따라만 오라고 하면 그만이다-라는 것

    중앙일보

    1970.09.29 00:00

  • (11)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윤 대비는 열 세살 때에 시집온 후 거의 일생을 창덕궁에서 지냈다. 6·25동란 때에 운현궁으로 나갔던 것과 1·4후퇴 때에 구포로 피난했던 것을 빼놓고는 창덕궁 안에서 밖에 나온

    중앙일보

    1970.05.19 00:00

  • (2)도의의 현대적 의미|정직|대표 집필 김두창

    오늘날 세태는 너무나도 부정이 심각하여 뜻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한탄을 금할 수 없게 한다. 이제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더듬어 보면서 어떻게 하면 정직의 덕을 일으켜 사명의

    중앙일보

    1970.04.23 00:00

  • 근세동양의 석학|퇴계 4백주기

    이조의 대학자 퇴계 이황이 세상을 떠난지 올해로 4백년이 된다. 1570년12월8일 눈 내리는 저녁 69세의 퇴계는 안동 도산의 거소 완학재에서 자손의 부축을 받아 앉은 채로 세상

    중앙일보

    1970.01.27 00:00

  • 신춘「중앙문예」당선 소설|매일 죽는 사람-조해일 작·김송번 화

    일요일데도, 그는 죽으러 나가려고 구두끈을 매고 있었다. 그의 손가락들은 조금씩 떨리고 있었다. 마음의 긴강이 손가락 끝에까지 미치고 있는 모양이었다. 3년 동안이나 그의 체중을

    중앙일보

    1970.01.01 00:00

  • 사실은 사실대로

    어수선한 세상사에 동방교 음독사건까지 겹쳐서 그냥 지나쳤지만 한글 문제를 두고 생각나는 일이 몇 가지 있다. 인물이 워낙 큰 인물일수록 본인이 꿈에도 생각지도 않은 것을 후대가 발

    중앙일보

    1969.10.10 00:00

  • 독립선언서(현대문)

    우리는 지금 우리나라가 독립국가인 것과 우리 민족이 자주민족인 것을 선언한다. 이것을 세계 각국에 알리어 인류평등의 큰 뜻을 밝히고 이것을 또 자손만대에 일러주어 민족자존의 정당한

    중앙일보

    1969.03.01 00:00

  • (2)

    할멈『(화로에 탁탁 장축을 털고) 영감! 영감은 배짱 좋게 들앉아 잠만 자니깨 그렇지. 아어젯밤만 해도.』 최노인!『빌어먹을! 내사 모룬다. 쿵쿵하는 난리 소리밖에 안 들리더라!』

    중앙일보

    1969.01.14 00:00

  • 믿고 살았으면(1) 가정

    오늘-흔히 사람의 길이 땅에 떨어졌다고 한다. 자칫하면 인간을 상실케 된다고도 한다. 곧은 길이 훤하게 튀고, 높은 건물이. 공장이 솟아 우리살림의 물질적 바탕은 한 해가 다르게

    중앙일보

    1969.01.10 00:00

  • 사람 살리는 법·잡는 법

    쥐를 잡는다고 쌀독을 깨서는 안 된다는 속담이 있다. 국회의 공개회의 석상에서 국방장관이 발언한 것이나 국회국방위원장이 국민의 민심안정을 위하여 발표했다는 내용의 보도로 동양통신사

    중앙일보

    1968.08.22 00:00

  • 부정부패와 언론의 자세|홍종인

    사람은 거짓으로는 살수 없다. 개인도 사회도 그렇거던 하물며 국가의경영에서랴! 썩은 나무다리를 썩은줄 모르고 건너자는것도 무지의 죄를범하는 것이 되겠거던, 언젠가 무너지지 않을수없

    중앙일보

    1968.01.09 00:00

  • 신문과 생일

    어릴 때의 생일은 그저 즐겁기만 하다. 맛있는 음식이 나오고 좋은 선물이 들어오고 사람들이 모여들고 하는 것이 어린 주인공에게는 신기하기만 하고 날마다가 생일이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중앙일보

    1967.09.23 00:00

  • (50) - 전통(6) 경세제민…이조의 대현철 율곡 이이의 생가 오죽헌

    ◇친모 신사임당 영향이 커 강릉은 정갈하고 아담한 도시다. 이곳 사람은 유서 깊은 자기 고장을 무척 아낀다. 제일 큰 자랑은 오죽헌. 강릉에서 10리 남짓 경포대 해수욕장 가까이

    중앙일보

    1967.01.28 00:00

  • (1)|한국사상의 확립-박종홍|

    한국사상은 곧 한국사람의 생활신조를 의미한다 그것에 의하여 살며, 그것 때문에 죽을 수 있는 우리의 신조다. 그러기에 그것은 한갓된 이론이나 학설 이상의 것이요, 더구나 어떤 방

    중앙일보

    1967.01.01 00:00

  • (21)수산학의 비조 손암 정야전

    정야전(약전)은 유명한 실학자 이익의 학풍을 이어받은 남인시파의 선비이다. 그는 학문을 좋아하던 정조의 사랑을 받고 벼슬을 살다가 정조가 죽은 후 천주교도로 몰려 멀리 전라도의

    중앙일보

    1966.07.30 00:00

  • 고루어 내리기?

    사립 국민학교에도 학구제를 실시하고, 입학시험을 없애기로 차관회의에서 정한 모양이다. 워낙 의무교육시설을 보충하기 위해서 시작한 일이니, 사리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처사라고 체념해

    중앙일보

    1966.06.28 00:00

  • 〈근대화의 여명〉(16) 이조중엽∼말엽 인물중심

    홍대용은 당당한 양반집의 자제로서 벼슬을 얻기 위한 학문에는 힘을 쓰지 않고 북평으로부터 들어온 서양의 천문서적을 읽고 혼천의라는 천문기기를 만들다가 몸소 사신을 따라 북평까지 가

    중앙일보

    1966.06.18 00:00

  • 용화교주 피살

    【전주=본사 변정구·김준배·전주주재 이치백·고광준 기자】용화교 교주 서백일(79·본명 한춘)씨가 27일 새벽 신도에게 피살되었다. 본 절에서 60리나 떨어진 전주시 동부 완산동 집

    중앙일보

    1966.03.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