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감옥 가더라도 생명이 먼저” 생체 폐이식 길 연 선구자

    “감옥 가더라도 생명이 먼저” 생체 폐이식 길 연 선구자

     ━  [이성주의 명의보감] 박승일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교수    생체 폐이식 수술 과정을 설명하는 박승일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교수. [사진 서울아산병원] “부디 이 아이가

    중앙선데이

    2018.06.09 01:00

  •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外

    ◆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건립추진단 전시자료과장 김시덕▶문화콘텐츠산업실 저작권정책관실 저작권산업과장 윤성천▶홍보지원국 홍보콘텐츠기획관실 정책포털과장 이기석▶국립중앙박물관 교

    중앙일보

    2011.08.31 00:07

  • [부고] 강신택씨(전 역삼중 교사)별세 外

    ▶강신택씨(전 역삼중 교사)별세, 강병석(앤드엔터테인먼트 이사)·윤석씨(삼성전자 근무)부친상=2일 오전 8시 삼성서울병원, 발인 4일 오전 5시, 3410-6905  ▶박선웅씨(전

    중앙일보

    2007.10.03 05:34

  • [고교 파워인맥② 경기고] ‘엘리트 그물망’정·관·법조·재계 포진

    이른바 ‘KS(경기고-서울대)라인’. 한국에서 명문고를 말할 때 경기고를 빼고는 아무런 이야기도 할 수 없다. 재계도 마찬가지다. 한국사회를 그물망처럼 엮는 그들의 인맥-. 지난

    중앙일보

    2006.10.05 11:16

  • 서울대 병원장-입원 청탁 잦은 「인술의 손」수장

    『죽기 전 서울대병원에서 진찰이나 한번 받아봤으면….』 불치의 병에 걸린 환자들이 마지막 소원으로 흔히 하는 말이다. 이는 우리 의료진의 최후보루인 서울대병원에 대한 국민의 여망을

    중앙일보

    1992.06.26 00:00

  • "판정·이식 등 심사위 필요"

    보사당국이 최근 뇌사 인정을 긍정적으로 검토함에 따라 뇌사판정기준·장기이식의 절차 등 세부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다. 이들 세부적인 문제는 뇌사인정 여부만큼이

    중앙일보

    1992.02.24 00:00

  • 심장병 연구소장에

    이영균 교수(서울대의대·흉부외과)는 이 달 말로 정년퇴임, 9월1일자로 부천 세종병원 부설 심장병연구소 소장에 취임한다.

    중앙일보

    1986.08.28 00:00

  • 정년퇴임 특별강연회

    이영균 서울대의대 교수(전서울대법원장)는 26일 하오6시30분 롯데호텔 2층 크리스탈 볼륨에서 정년퇴임 특별강연회를 갖는다.

    중앙일보

    1986.08.25 00:00

  • 교수 5명 정년퇴임 식

    장덕순(국문과)·최규원(화학과)·김재극(자원공학과)·이영균(의대)·이영택(의대)교수 등 서울대 교수 5명은 이번 학기를 마지막으로 정년퇴임, 오는30일 정년퇴임 식을 갖는다.

    중앙일보

    1986.08.16 00:00

  • 이영균(62·서울대병원장)

    우리나라 심장의과계의 원로인 이령균박사(62·서울대학교병원장)는 지난 20년간 전국의 산을 두루 누벼온 건각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등산이 유일한 취미이자 자신의 건강비법이기도 한

    중앙일보

    1983.01.29 00:00

  • 서울대병원 4대 원장이 된 이영균 박사

    『원장이 되고 싶은 생각도 없었고 또 되리라고 기대도 안 했어요. 몇 번이나 사양했었지만 직책이 맡겨진 이상 최선을 다해야지요.』 연구나 임상기술분야라면「윗자리」가 두렵지 않지만

    중앙일보

    1982.06.01 00:00

  • (42)선천성 심장병 수술은 5∼6세가 적기|이영균(서울대병원·흉부외과)(1)

    심장은 예로부터 인간생명의 근원으로 생각되어온 기관이다. 심장은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생애를 마치고 무덤에 갈 때까지 잠시도 쉬지 않고 고동을 계속한다. 해부학적인 측면에서의 심장은

    중앙일보

    1980.02.21 00:00

  • "고혈압성 심장병은 짠 음식이 주인이다"|한일합동 심장병학술대회 한국측 발표내용

    오는 15, 16일 양일간 대한순환기학회와 일본심장재단, 한양대학교의 공동주최로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1회 한일합동 심장병학술대회에서는 한국측에서 2편, 일본측에서 4편의 심장병관계

    중앙일보

    1979.10.11 00:00

  • 한일합동 심장병학술대회

    대한순환기학회(회장 서순규)가 한양대학교·일본심장재단과 공동 주최하는 「제1회 한일합동심장병학술대회」가 15일 하오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개최된다. 한일양국 심장병 전문가들의 심

    중앙일보

    1979.10.04 00:00

  • 3·l 문화상 수상자 발표

    재단법인 3·1문화재단(이사장 이정식)은 31일 제20회 3·1문화상 수장자로 ▲학술부문에 이영균 교수(서울대의대·외과) ▲예술부문에 권순형 교수(서울대·공예) ▲기술부문에 김춘수

    중앙일보

    1979.02.01 00:00

  • 올해 심장수술 100회 기록 서울의대 이영균 교수 「팀」

    서울대의대 이영균 교수(사진) 「팀」(흉부욋과)은 지난 26일 구본승씨(25·서울시동대문구면목4동)의 선천성심실중격결손증 및 대동맥판막파열 수술을 함으로써 올해 들어 심장수술(개심

    중앙일보

    1977.12.29 00:00

  • 전기 인공심장 개발성공

    미국 심장학회의 「로엘·T·하미슨」 박사는 2일 인공심장에 대한 두 가지의 획기적인 성과를 발표했다. 하나는 핵가동 심장보조기의 개발이며, 다른 하나는 「플라스틱」제 전기 인공심장

    중앙일보

    1972.03.04 00:00

  • (160)|경성제국대학(14)|강성태

    1940년부터 내선일체이므로 일본인과 한국인이 권리와 의무를 같이해야 한다는 미명 아래 창씨 개명을 지시했고 43년부터는 한국인에 대해서도 징병제를 실시했다. 처음 실시한 징병은

    중앙일보

    1971.05.21 00:00

  • 과학논문 20년|해방이후 한국학자들의 연구 업적|모두 1만 6백 64편|6천2백 94명 중 의약계통이 2/3 차지|다수 발표자는 91편 낸 강영선 박사|해외나간 학자는 통계서 제외

    해방 후 지금가지 우리나라에서 확약해온 과학 기술자는 모두 6천2백 94명, 이들이 20년간 발표한 학술논문은 1만 6백64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난 63년부터 3년간 한국

    중앙일보

    1966.09.2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