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갈무리한 채소로 겨울식탁 풍성하게…

    김장용 소채의 풍작으로 값싸고도 싱싱한 무우·배추가 풍성하게 시장에 나와 있다. 쉽게 변질되는 것이 야채이지만 보관법에 신경을 쓰면 비교적 오랜 기간동안 그 특유의 향미와 신선도를

    중앙일보

    1978.11.29 00:00

  • 팔도의 전통음식|본고장 인사들이 추천하는 「무형문화재」후보|충청도 지방

    순박하고 꾸밈이 없는 충청도 사람들의 기질처럼 이 고장의 음식 또한 흔한 재료를 소박하게 조리한 평범한 것들이다. 사면이 육지로 둘러싸인 충북지방은 생선이 드물어 자반이나 젓갈 구

    중앙일보

    1978.05.10 00:00

  • 과일차

    서양화가 라희균씨가 즐기는 겨울차는 산향나무(아가위나무)의 열매를 말려 다린 아가위차. 엷은 감미와 신맛이 미묘하게 조화된 새콤한 맛의 아름다운 붉은 빛깔차다. 자택의 자그마한 뜰

    중앙일보

    1975.12.16 00:00

  • (380)고유한 미각의 상등 과일-곶감

    상강이 지나 찬 서리가 내릴 무렵, 곶감은 사라지는 가을의 마지막 빛을 온몸으로 불사른다. 마치 다가오는 겨울에 반항이라도 하듯. 그러나 사계의 위엄에 짓눌린 가을의 여운은 곶감

    중앙일보

    1973.10.27 00:00

  • 화신 첫 주자|풍년 화 만개

    우리나라에서 봄철에 맨 처음 피는 꽃인 풍년 화가 활짝 피었다. 화신의 첫 주자인 풍년 화는 서울동대문구 준량2동산1 임업시험장 시범 림에 있는 단 한 그루의 꽃. 이 꽃은 192

    중앙일보

    1973.03.13 00:00

  • (11)|그 보존을 위한 「시리즈」|전주 비빔밥

    후백제의 도읍지였던 고도 전주에 발을 디디면 음식점의 비빔밥 간판이 유난히 눈에 많이 띈다. 비빔밥은 전주 음식의 명물로 대변돼 왔기 때문. 하필 전주 비빔밥이 맛 좋기로 소문난

    중앙일보

    1972.12.14 00:00

  • (1)창평 생강 엿

    우리네 고유의「멋과 맛」이 사라져 간다. 조상 대대로 이어온 뛰어나 솜씨와 슬기로움도 문화의 거센 물결과 생활양식의 변천에 따라 차츰 우리네 생활주변에서 사라져간다. 전래의「멋과

    중앙일보

    1972.11.27 00:00

  • - 강원도

    춘천을 중심으로 한 영서와 강릉·속초 등지의 영동지방으로 크게 구분되는 강원도는 지리적 조건과 기후 차로 두 지역이 각각 독특한 김치 맛을 가지고 있다. 지역적으로 경기도에 가까운

    중앙일보

    1970.11.12 00:00

  • 여름을 시원하게 청량음료|종류와 품질을 알아보면

    청량음료라면 얼핏 콜라나 사이다 정도를 연상하지만 청량음료에는 과즙음료·탄산음료·유산음료등이 모두 포함된다. 과즙음료는 천연과즙과 합성과즙의 두 종류가 있는데 액체와 분말의 두가지

    중앙일보

    1970.06.17 00:00

  • (226)김장

    김장작업은 고역이기도 하고 즐거운 일이기도 하다. 초겨울로 접어들면서 주부들이『아유, 금년 김장은 또 어떻게 하지』라고 걱정할 때, 손끝은 벌써 노란 통배추의 통통한 촉감을 그리워

    중앙일보

    1969.11.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