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두부 크기를 통일

    서울시는 14일 두부크기를 통일시키고 용기를 목판에서「폴리에틸렌」으로 바꾸도록 했다. 시 보사 국은 시내 두부공장 1백21곳에서 제조되는 두부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지역에 따라

    중앙일보

    1974.10.14 00:00

  • 때아닌 연탄파동…갈피 못 잡는 시민들

    한 여름철에 때아닌 연료파동이 몰아쳐 소비자들만 어리둥절하고 있다. 20일부터 연탄 기록판매제가 실시된다는 발표가 있자 전국주요도시의 시민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한 채 당국의「이랬다

    중앙일보

    1974.07.20 00:00

  • 불결한 술집·음식점물수건

    시내 대부분의 접객업소에서 사용하는 물수건이 불결하다. 이같은 사실은 시보사당국이 5월들어 시내중심가에 있는 큰 업소20여곳에서 사용하는 물수건을 무작위 수거해 검사한 결과 15개

    중앙일보

    1974.05.15 00:00

  • (32)|차트사

    관공서·학교·기업체마다 「브리핑」이 많아졌고 각종 자료를 도표로 만들어 보관하거나 현황판·상황판이 흔해졌다. 이래서 생긴 직종이 「차트」사. 행정 기관이나 기업체 등에서 「차트」를

    중앙일보

    1974.03.12 00:00

  • (8) 양주 바람

    언제부터인가 술자리에 예사로 양주가 등장하게끔 됐다. 지난 11월말 현재 양주 수입량은 68만여 병, 이에 사용된 외화는 자그마치 3백40만「달러」란다. 수입한 양주 가운데 공항

    중앙일보

    1973.12.14 00:00

  • 3개식품업소 허가취소

    서울시는 10일 영업정지처분을 받고도 계속 영업을했거나 부정외래품을 사용하고 지방세를 채납한 4개식품접객업소를 적발, 이가운데 3개소에 대해 허가취소하고 1개소에 대해서는 1개월간

    중앙일보

    1973.03.12 00:00

  • 아물지 않은 「상처」|되살아나는 「일색」|광복 27주…한국 속의 일본

    일본에로의 정규 유학생파견, 일어강습소의 양성화, 고교이상학교에서의 일어교과신설-. 덧붙여 서울시내에 일인자녀를 교육하는 일본인학교까지 생겨 일어 「붐」은 「피크」에 도달한 느낌.

    중앙일보

    1972.08.15 00:00

  • (상)건강을 해치는 독소를 캔다|청량음료

    싱싱한 과일, 시원한 음료수, 풍부한 생선 등 여름철 음식은 풍성하다. 30도 안팎의 더위가 계속되면 얼음을 띄운 시원한「주스」등 찬 마실 것들이 가정에나 상점에서 크게 인기를 끈

    중앙일보

    1972.06.12 00:00

  • 늘어나는 직업병 그 실태와 대책|「유해물질허용 농도 및 측정요령」을 보면

    새로운 기술도입과 함께 각종 화학원료사용 증가와 산업시설의 확장 등으로 직업병이 날로 늘어나는 등 근로자들의 건강관리가 점차 크게 문제시되고 있다. 노동청은 지난 7일 근로자들의

    중앙일보

    1972.03.10 00:00

  • 잇단 화재|「위험통보무시」가 부른 재앙|화공 약품 저장 창고·세운상가 화인과 문제점

    대연각 화재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서울 도심의 동방 창고와 세운상가 「가」동 2층 일부에서 잇달아 큰 화재가 발생, 무서운 화마의 복병이 곳곳에 도사려 있음을 다시

    중앙일보

    1972.01.10 00:00

  • 청과 수산물|유사도매업자 고발키로

    서울시는 6일부터 11월말까지 시내 2백26개 소에 흩어져 있는 유사 청과·수산물 도매 업소에 대한 일제단속을 실시키로 했다. 이번 단속은 서울시와 경찰 등 합동 단속반을 편성,

    중앙일보

    1970.10.07 00:00

  • 강물은 썩고 있다 수질 보존 법제화 착수

    강물이 썩고 있다. 각종 폐수·오물 등으로 맑은 강물이 썩다 못해 죽어가고 있다. 한강·낙동강·금강 등 대부분의 강이 썩고 있어 보사부 등 관계 당국이 수질 오염을 막기 위해 여러

    중앙일보

    1970.07.16 00:00

  • (상)현황과 보강계획

    와우시민「아파트」도괴참사이후 서울시가 건립한 4백6동의 시민「아파트」는 모두 안전면에서 불신을 받고 있다. 날림공사로 인한「아파트」의 불신은 좀처럼 가라앉기가 힘들다. 서울시는 4

    중앙일보

    1970.05.04 00:00

  • 급수 비상대책 서울시

    서울시는 29일 오는 7월1일부터 9윌15일까지 75일간 매달 5백톤 이상의 물을 쓰는 도심지 4백98개 「호텔」·목욕탕 등 업소에 대해 12시간씩 제한 급수키로 하는 비상대책을

    중앙일보

    1968.06.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