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역 한문학 연구로 인문계 위기 극복하는 김대현 교수

    지역 한문학 연구로 인문계 위기 극복하는 김대현 교수

    ▶김대현 교수 전남대 국문과 김대현(47) 교수의 한문학에 대한 인식은 남다르다. 이미 알려진 고문을 번역하고 가르치는 것 외에 지방의 고문, 특히 문학작품을 발굴해 세상의 빛을

    중앙일보

    2005.02.10 11:45

  • [인사동 '문우서림'대표 김영복씨] "빛바랜 古書 속에 빛이 있어요"

    인사동은 동네 자체가 한국문화의 기호다. 화랑·고서점·골동품점·지필묵방·공예품전,그리고 전통 음식점과 찻집 등이 즐비한 인사동은 우리의 전통 문화와 마음으로 오늘을 살아나가게 하

    중앙일보

    2002.12.23 00:00

  • 임금이 직접 쓴 한글문집 발견

    조선시대 왕의 한글문집이 처음 발견됐다. 이제까지 알려진 정조.영조등의 문집은 모두 한문으로 돼있으나 이번에 익종 (翼宗.1809~30) 의 한글문집인 '학석집' 이 처음으로 나와

    중앙일보

    1998.06.02 00:00

  • 미술사적 위치 조명-변영섭씨 연구서 출간

    18세기에 활약했던 문인화가 표암 강세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가 출간돼 미술사학계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미술사가 변영섭씨(39·여·이화여대강사)가 펴낸 이 책의 제목은 『표암

    중앙일보

    1988.10.18 00:00

  • 해외 유출 문고 수집 10년

    우리 조상들이 지은 많은 책들이 그 존재조차 알려지지 않은채 먼 이국 땅에 묻혀 있다. 이우성 교수 (성균관대. 한문학)는 지난 10년간 이 책들을 찾아다녔다. 이제 그 결실로 그

    중앙일보

    1987.03.24 00:00

  • 김성일 재평가 논의 활발-학봉 문집·일본각판 퇴계집 발간

    이조 선조 때의 명신으로 1591년 통신사 황윤길과 함께 일본에 사행했던 학봉 김성일의 문집이 국역되어 나왔다(※김성일은 임진왜란 1년 전 일본에 다녀온 뒤 정사 황윤길이 일본의

    중앙일보

    1975.12.23 00:00

  • (40)제9화 고균 김옥균의 유랑 행적기(2)

    태어나자마자 김옥균이 지어준 이름을 지금까지 자랑스레 간직하고 있는 일본인이 있다. 대한제국의 망명정치인 김옥균이 일본 체재 중에 보여준 놀라운 글씨 솜씨는 당시의 일본인들의『경

    중앙일보

    1973.12.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