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회의원선거 입후보자

    정당별 약자 ▶신=신한국당 ▶국=국민회의 ▶민=민주당 ▶자=자민련 ▶정=무정파전국연합 ▶당=무당파국민연합 ▶대=대한민주당▶독=21세기한독당 ▶명=정명당 ▶친=친민당 ▶통=통일한국당

    중앙일보

    1996.03.28 00:00

  • 파문커지는 '강삼재 시계'-퇴진요구로까지 확산

    「강삼재시계」파문이 야당의 강삼재(姜三載)신한국당 사무총장겸선거대책본부장의 퇴진요구로까지 확산되고 있다.야3당은 9일 공세 수위를 한 단계 높였다.강삼재시계를 가장 강력하게 공격하

    중앙일보

    1996.03.10 00:00

  • 이회창 前총리에 들어본 '깨끗한 사회 만들기'

    중앙일보는 새해 비전을 「깨끗한 사회」로 정했다.이에 따라 깨끗한 인물로 널리 알려진 이회창(李會昌)전총리로부터 깨끗한 사회란 어떤 사회며,그런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해야될

    중앙일보

    1996.01.01 00:00

  • 김광일 비서실장

    인권변호사 출신의 정치인.부마(釜馬)항쟁때 부산민주시민협의회상임이사로 투쟁을 지휘했으며 한때 김대중(金大中)국민회의 총재측이 「DJ의 후계자」로 점찍었을만큼 능력을 인정받았다.그러

    중앙일보

    1995.12.21 00:00

  • 광주문제 처음 말문 연 윤공희 대주교

    관가(官街)에서 판결을 내리지 못하면 시골 늙은이를 불러다가판결하곤 했다.우리의 지혜로운 전통이다. 5.18정국의 파도가 격랑이다.80년 5월 광주민주화항쟁의 현장을 온몸으로 부딪

    중앙일보

    1995.12.05 00:00

  • "나 하나쯤이야"가 문제다

    오늘은 그토록 기다려왔던 지방선거일이다.자치단체 의회선거는 4년만에 실시되지만 단체장선거는 실로 35년만에 실시되는 셈이다.우리도 이제 온전한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드는것 같아 가슴설

    중앙일보

    1995.06.27 00:00

  • 6.27기초단체장-광주 동구

    「호남정치 1번지」광주동구에선 여.야가 각각 현직관료에서 영입한 동갑내기와 재야세력을 등에 업은 무소속이 3파전을 벌이고있다. 민자당후보는 24일 시공무원교육원장을 끝으로 명예퇴임

    중앙일보

    1995.05.25 00:00

  • 2.우리現代史 시작은8.15 38%

    민족분단과 동족상잔의 비극을 초래한「6.25 한국전쟁」.우리의 현대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잊을 수없는 비극적 사건이다.역사발전의 흐름을 바꾼「12.12」사태와 뒤이은 광주민주화

    중앙일보

    1995.01.09 00:00

  • 광복50주년 격동의한국 현대50년사50大 그사건들

    올해로 광복 50주년을 맞았다.45년 8월15일 일제의 식민지에서 벗어났다는 기쁨은 잠시였고 분단.전쟁.쿠데타 등 한반도의 질곡은 오늘까지 끊이질 않고 있다.정치적으로는 통치권자들

    중앙일보

    1995.01.01 00:00

  • 장외투쟁 바람직한가-民主시대엔 여론 場內반영해야

    군사정권의 권위주의 체제 시절 우리 야당의 대여(對與)정치투쟁은 장외(場外)투쟁으로 점철돼 왔다.65년 한일(韓日)국교정상화,69년의 3選개헌을 앞두고 야당은 아스팔트에서 치열하게

    중앙일보

    1994.11.16 00:00

  • 김 대통령 「안보강행군」/국론분열 막고 「북핵」 속결 의지

    ◎“시간끌면 경제회복에 결정적 타격” 우려/장성·원로 잇단 접촉… 군사기 올리기 뜻도 「국립묘지 참배,국가안전보장회의 주재,이영덕총리 보고,김덕 안기부장 보고,3부요인 및 여야 대

    중앙일보

    1994.06.13 00:00

  • 176.불발로 그친 衛戌令

    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6.29가 나왔지만 이는 민주화 대장정의 마감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했다.6.29이후 정치적 시위는 사라진 대신 노사분규의 불길이 전국으로 번져갔다.되찾은

    중앙일보

    1994.05.21 00:00

  • 김현철씨 월간중앙과 언론 최초 인터뷰

    金賢哲씨는 19일 출간된 月刊中央(6월호)을 통한 언론과의 최초 인터뷰에서 한겨레 신문과의 송사등 현안을 비롯,정부내 인사.정책개입 여부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입장을 5시간에 걸

    중앙일보

    1994.05.19 00:00

  • “인사·정책 관여한적 없어요”/김현철씨 월간중앙과 언론 최초인터뷰

    ◎시중여론 가끔씩 대통령에 전달할뿐/「한겨레」와 송사는 개인의 반론권 차원/「가신」들과 갈등없어… 「학생 김현철」로만 봐줬으면 김현철씨는 19일 출간된 월간중앙(6월호)을 통한 언

    중앙일보

    1994.05.19 00:00

  • 정치분야 좌담(전환과 왜곡 5·16유산 재조명:2)

    ◎힘의 지배… 합리·도덕·경제성 상실/소수 인치… 국회 제도적 장식품 전락/정통성 시비속 공작·보복정치 활개/정책부재로 독재­반독재 구도일관/경제·사회성장 발목만 잡은 정치/김 대

    중앙일보

    1994.05.18 00:00

  • 5.16 33돌 뒤돌아본 사회상

    4.19의 대가로 이룩된 제2공화국을 붕괴시킨 5.16쿠데타(61년)는 이후 30년 한국사회를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건이 됐다. 5.16은 권력층의 교체라는 단순한 정치 변동의

    중앙일보

    1994.05.16 00:00

  • 사회분야 좌담(전환과 왜곡/5·16유산 재조명:1)

    ◎군사문화가 가치관 혼란 불렀다/「힘의 논리」 만연… 부·권력 편재 심화/지역갈등 조장 정통성없는 정권유지/지배층 반민주성이 민주주의 장애/5·16 없었어도 공업화 이행 필연/개혁

    중앙일보

    1994.05.16 00:00

  • 김대통령 광주문제 특별담화후 후속조치 지지부진

    金泳三대통령이 5.18「광주사태」를 「민주화운동」으로 규정하는등 재평가함으로써 광주문제해결의 물꼬를 튼 특별담화가 13일로 발표 1년이 되었다. 그러나 특별담화와 함께 시작됐던 후

    중앙일보

    1994.05.12 00:00

  • 165.全씨의 충격요법"비상조"방망이

    5共은 임기 7년내내 군동원의 유혹과 악몽에 시달렸다.여야의정면 격돌,재야.운동권의 격렬한 시위와 도전이 있을때마다 비상조치설은 고개를 들었다가 수그러들곤 했다. 全斗煥대통령은 모

    중앙일보

    1994.03.04 00:00

  • 162.6.29선언 전두환.노태우 밀약

    87년 당시 盧泰愚民正黨대표의 고뇌에 찬 결단으로 기록되었던6.29선언이 全斗煥대통령의 이니셔티브에 의해 추진되었다는 얘기는 이제 널리 알려져 있다.진실이「全斗煥 주도론」이든「盧泰

    중앙일보

    1994.02.04 00:00

  • 닭장차신세 야의원들 “개혁주체” 포진

    ◎「YH 사건」 14돌… 주역들 뭘하나/진두지휘한 YS는 대통령으로/당시 노조위장 부천시의원 활동/여공 2백30여명 정기모임 가져 70년대말 「신민당 김영삼총재 의원직 제명파동」

    중앙일보

    1993.08.10 00:00

  • (21)모순의 출발점 "현대사 뿌리" 추적|『해방전후사의 인식』한길사간

    한길사에서 펴낸 『해방전후사의 인식』은 80년대 지식인·대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력과 충격을 준 책으로 꼽힌다. 79년 10월에 출간된 이 책은 「해방전후사」라는 용어를 우리 시

    중앙일보

    1993.08.03 00:00

  • 「다산연구가」서 선량으로/호남운동권대부 민주박석무(의원탐구:38)

    ◎교수추천 받고도 「시위경력」 시비로 좌절/수배 피해다니며 저서 집필 ▷약력◁ ▲전남 무안출신(52세) ▲광주고·전남대 법대·동대학원 졸업 ▲중·고교 교사 ▲국제사면위원회 광주지부

    중앙일보

    1993.05.23 00:00

  • 『태백산맥』조정래씨

    태백산맥은 한반도의 척추다. 함남 황룡산에서 시작해 금강·설옥·태백·팔공산등 명산을 거쳐 부산 다대포로 빠지는 길이 5백km의 이 산맥은 또 광주·차령·노령·소백산맥을 가지치며 중

    중앙일보

    1993.03.20 00:00